목차

1장 창원신도시 중심지구 도시설계 도시개발의 배경 | 현장 방문과 문제의 발견 | 대안 | 평가와 교훈 2장 특정지역 제주도 종합개발계획: 관광부문 배경 | 연구진 구성과 진행 | 현장 답사와 대상지 지정 | 연구의 진행 | 관광단지와 관광지구의 계획 | 평가 3장 반월특수지역 도시계획 재정비 도시개발의 배경 | 현장답사와 문제의 발견 | 도시 구조의 변경 | 인구지표와 도시계획시설 | 도시계획 결정고시 | 평가와 교훈 4장 안산시 도시설계 배경 | 신도시 개발의 과제 | 도시설계의 목표 | 경관계획 | 상업지역의 도시설계 | 도심상업지역 상가 부지 개발 방식 | 주거지역의 도시설계 | 기타 계획 | 간판 규제 | 간선도로의 기본설계 | 평가와 교훈 5장 목동 신시가지 개발 기본설계 현상 대상지 여건 | 기본구상 | 당선안과의 비교 6장 서울시 주요 도로 노선번호 부여 및 표지판 설치 계획 배경과 문제점 | 주요 도로 판정 | 노선 결정 | 노선 번호 부여 원칙 | 도로 표지판 개선 방안 7장 안양·평촌지구 택지개발 배경 | 평촌신도시의 입지 | 인구 규모의 결정 | 지하철 4호선 노선 대안 | 간선도로망 패턴 | 토지 이용 | 도시계획시설 | 지하철역사 주변 지구 | 평가와 교훈 8장 안양·평촌지구 도시설계 용적률 조정 | 도심부 보행자 네트워크 | 국토연구원 부지 | 쇼핑센터 부지의 독점 | 평가와 교훈 9장 분당 택지개발 배경 | 신도시 개발사업자 결정 | 신도시 개발에 대한 전문가들의 반응 | 연구팀 구성 | 도시의 성격과 개발 목표 | 개발 일정 | 신도시의 입지 | 신도시 경계 설정 | 인구와 세대수 조정 | 용적률과 지가연동제 등장 | 원주민과 지장물 | 현장 조건 | 건설업체의 대안 | 도시 골격의 구상 | 가로망 계획 | 토지이용계획 | 서비스축 | 전철 노선 | 자족도시 | 공원·녹지계획 | 보행자전용도로와 생태통로 | 시범단지 | 단계별 개발계획 | 광역교통망 구성 10장 분당 도시설계 택지개발계획 변경과 도시설계 착수 | 도시설계의 목표 | 필지 규모 | 오토캐드의 등장과 컴퓨터의 사용 | 보행몰과 복합역사 | 초고층 아파트 등장 | 아파트의 높이와 길이 규제 | 고속도로변 주상복합건물의 등장 | 쇼핑몰 현상과 파크뷰 아파트 단지 | 마을 명칭 부여 | 마을별·단지별 색채 조정 | 하우징 페어 | 가로시설물 | 사업의 진행과 문제점 | 정책 결정자와 시행자 | 평가와 교훈 | 판교의 개발 11장 일산 택지개발 계획의 배경과 목표 | 연구 인력 구성 | 입지와 구역 경계 | 인구와 세대수 조정 | 지역 여건 | 원주민의 반발 | 방어선 변경과 육군 부대 이전 | 광역교통 여건 | 도시 구조 | 가로망 패턴 | 지하철 노선 결정 | 도심부 설정 | 토지이용계획 | 주거지 계획 | 공원과 녹지축 | 호수공원 | 보행자몰 | 일산의 도시 특화를 위한 노력 | 출판단지 | 일산 도시설계 | 평가와 교훈 12장 부천 중동신도시 택지개발 현상 현상 참여 | 대상지 여건 | 가로망 골격 | 토지 이용 | 현상 당선안과의 비교 | 실패와 교훈 13장 용인 동백지구 배경 | 현장 조사 | 도시 골격 구상 | 토지이용계획 | 실개천과 함양지 | 계획의 변화 14장 아산신도시와 탕정산업단지 고속철도 역사 설계 | 천안과 아산의 경쟁 | 아산신도시 계획 15장 평택 고덕신도시 개발의 배경 | 입지 여건 | 개발 방향 | 계획의 아이디어 | 토지이용계획 16장 송산그린시티 배경 | 환경단체들의 반발 | 개발 구상 | 도시의 구조 | 운하도시 아이디어 | 계획의 변경 | 동부 지역 계획 17장 화성 동탄1신도시 개발 배경 | 입지 여건 | 도시 구조 | 상업지역 배치 | 주거지역 배치 | 녹지 체계 | 계획의 변화 | 시범단지 현상 18장 화성 동탄2신도시 배경 | 고속철도, 철도, BRT 등 모든 교통수단을 동원하다 | 동탄1과의 관계 | 입지 특성 | 도시 골격 | 광역 비즈니스 콤플렉스의 창출 | 복합환승센터 | 공장들의 존치와 이전 | 시범단지 현상 19장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