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서문 책을 시작하며 01. 전쟁을 공부하는 이유 02. 상식과 진리 03. 국가는 전쟁을 잘하기 위한 조직 (1) 무정부 상태란? (2) 국가는 전쟁을 잘하기 위해 발달된 조직 (3) 아무리 나쁜 평화라도 전쟁보다는 낫다는 우리의 정치가들 (4) 우리나라도 강대국으로 나아가자 (5) 전쟁과 평화에 대한 혼동 (6) 국가안보 혹은 전쟁과 평화의 기본원리 04. 전쟁과 국제정치를 연구하기 위한 방법 (1) 전쟁의 정의 (2) 전쟁과 평화 그리고 국제정치를 보는 관점 1)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A. 이상주의 B. 현실주의 2) 자유주의와 마르크스주의 국제정치관 3) 전쟁과 국제정치를 분석하는 3차원 05. 전쟁 연구의 현황 (1) 전쟁 연구의 선구자들 (2) 전쟁의 실제 현상과 기원 (3) 인간의 자연상태는 전쟁상태였을까 평화상태였을까 1) 원시사회의 전쟁 2) 원시사회의 싸움의 특징 3) 평화로운 야만인 4) 원시인들은 전혀 평화롭게 살지 않았다는 최근의 학설 (4) 전쟁의 평균 길이: 긴 전쟁, 짧은 전쟁 1) 짧은 전쟁에 대한 환상 2) 예상보다 훨씬 길었던 전쟁의 지속기간 (5) 전쟁의 빈도: 인류의 역사에는 얼마나 많은 전쟁이 있었을까 06. 세계의 역사를 바꿔놓은 대전쟁들 (1) 한 시대 세계 챔피언을 결정한 전쟁들 1) 퀸시 라이트의 대전쟁 리스트 2) 길핀의 대전쟁 리스트 3) 월러스타인의 대전쟁 리스트 4) 토인비의 대전쟁 리스 트 5) 톰슨의 패전전쟁과 패전국리스트 (2) 챔피언 결정 전쟁(패권전쟁)의 규모 (3) 패권전쟁은 새로운 챔피언을 탄생시켰다 07. 전쟁의 목록 (1) 전쟁관련요인 연구계획(COW Project)의 전쟁 데이터 (2) 잭 리비 교수의 “강대국 전쟁” 데이터 08. 전쟁은 왜 일어나는 것일까?: 인간적 차원 (1) 인간의 속성과 전쟁 1) 인간의 공격본능 2) 인간의 전쟁 본능에 관한 프로이드의 설 명 3) 콘라드 로렌츠의 동물 행동학과 전쟁의 원인 4) 사회 생물학적 전쟁 원인 5) 인간의 공격본능이 전쟁의 원인이라면 인간에게 희망은 있는가? (2) 전쟁은 인간 사유의 결과: 전쟁과 철학 1) 전쟁은 인간사고의 결과 2) 전쟁은 죄악: 평화의 전쟁 철학 3) 싸워도 되는, 싸워야 하는 전쟁: 정의의 전쟁 4) 호전적 전쟁 철학 5) 호전적 문명의 상징 이슬람의 전쟁 철학 09. 국가 및 사회적 차원의 전쟁 원인 (1) 국가와 전쟁: 국가란 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최적의 조직 (2) 전쟁 잘하는 나라들의 이야기: 강대국과 강대국의 흥망 성쇄 1) 강대국의 의미 2) 강대국이란 돈도 많고, 전쟁도 많이 하는 나 라 3) 강대국의 흥망 성쇄 4) 초강대국은 전쟁을 정말 잘하는 나라인가? 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미국과 소련 (3) 국가의 자연적 속성과 전쟁 1) 전쟁은 인구변화(감소)에 영향을 미쳤는가? 2) 인구와 전쟁 3) 기후 및 환경과 전쟁 (4) 정책 결정 과정: 인간이 만든 조직의 불완전성과 전쟁 1) 각하의 결정이 전적으로 옳습니다! 2) 집단사고로 도출된 외교정책의 문제점 | 피그만 침공사건 3) 국내정치와 군제분쟁: 대통령 선거가 있던 해에 유난히 많았던 미국의 군사행동 4) 여자들이 세계 모든 나라의 대통령과 수상이 된 세상은 평화의 세상일까? A. 전쟁의 남성적 속성 B. 여자들이 국가의 통치자였는 경우의 전쟁과 평화 C. 여권주의 국제정치학 (5) 민주주의 국가들은 평화적인가? 1) 민주주의 국가들은 서로 싸우지 않는다: 민주주의적 평화론 2) 민주적 평화론 비판 (6) 국가의 경제적 성격과 전쟁 1) 마르크스주의의 전쟁 원인론 2)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전쟁 및 군사문제 연구 3) 레닌의 제국주의론과 전쟁의 원인 4) 레닌의 제국주의론 비판 5) 자유주의자들이 말하는 경제체제와 전쟁의 관계 10. 국제체제와 전쟁 (1) 세력균형 이론과 전쟁 1) 힘의 균형은 평화의 조건 2) 세력균형이론의 비판적 해석 (2) 국제정치 체제의 힘의 분포 상황과 전쟁 1) 강대국이 몇 나라 있는 국제체제가 가장 평화로울까? 2) 영토와 전쟁 (3) 힘의 전이이론 (4) 전쟁에 관한 구조적 역사적 접근 방법 1) 패권안정이론: 하나의 막강한 강대국이 있으면 세계는 안정과 평화를 누릴 수 있다. 2) 패권국은 주기적으로 바뀐다: 장주기 이론 11. 전쟁과 전략 (1) 전략의 연구 1) 전략의 정의 2) 전략과 전술: 개념적 차이점 3) 국가전략과 군사전략 4) 전략적 사고 5) 군사의 영역과 일상생활 영역의 본질적 차이점 (2) 국가의 대전략 1) 지정학 2) 독일의 지정학 3) 영국·미국의 지정학 A. 마한의 해양세력 우위론 B. 매킨더의 심장지역 이론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