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1987년 12월에 시작된 팔레스타인인의 항쟁 인티파다는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받았다. 장갑차와 헬기와 총으로 무장한 이스라엘 군대에 팔레스타인 청년들은 몽둥이와 돌과 조잡한 화염병을 들고 맞섰다.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는데도 팔레스타인인들은 단호한 투지로 싸웠고 군대는 저항을 쉽사리 억누를 수 없었다. 팔레스타인인들이 일으킨 이 대중운동은 경제적·군사적 지배가 정치적 통제를 보증하지는 못한다는 것, 부나 권력만으로 집단적 저항 의지를 분쇄하기에는 충분치 않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 줬다. 이스라엘과 서방 제국주의 국가들이 팔레스타인을 강탈하기 시작한 이래 팔레스타인인들은 이들에 맞선 위대한 투쟁을 거듭 벌였다. 1936년에는 영국의 식민 지배와 시온주의 운동에 맞서 거대한 파업이 벌어졌다. 1987년에는 이스라엘의 식민 정착촌 확대에 맞서 1차 인티파다가 벌어졌고, 이어 2000년에는 전혀 평화를 보장하지 못하고 오히려 이스라엘의 강탈을 정당화하기만 한 '평화 프로세스'에 분노해 '2차 인티파다'라고 불린 거대한 저항이 분출했다. 2011년 아랍 혁명이 벌어졌을 때 팔레스타인인들의 투쟁은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기존 질서에 맞서 일으킨 반란의 일부가 됐다. 이렇게 거대한 투쟁 외에도 크고 작은 충돌과 저항은 끊임없이 벌어졌고, 2021년 5월에도 최근 10년 사이 가장 큰 대중 시위가 팔레스타인 전역에서 일어났다. 이런 저항과 시위가 벌어진 역사를 보면 팔레스타인인들이 단지 강탈과 억압의 비극적 역사 속에서 좌절해 무력하게 눈물만 흘리는 존재가 아님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용기 있고 단호한 저항들이 여러 차례 벌어졌어도 팔레스타인 문제가 아직 진정으로 해결되지는 못했다. 팔레스타인 문제의 해결은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적당히 영역을 나눠 살면서 서로의 국가와 영토를 존중하고 평화를 지키기로 약속하면 되는 것일까? 그 말은 곧 이미 빼앗긴 땅은 어쩔 수 없으니 팔레스타인인들이 양보해야 한다는 말이 아닐까? 또는 서방에 있는 이스라엘의 우방들이 이스라엘에 양보하라고 압력을 넣게 만들 수 있을까? 팔레스타인인들의 저항만으로 해방에 도달할 수 있을까? 이 책의 저자 필립 마플릿은 1987년 항쟁('1차 인티파다') 직후 쓴 이 책에서 이런 몇몇 질문들에 대답하려 했다고 밝힌다. 이 책의 전제는 제국주의의 역사라는 맥락 속에서만 팔레스타인 문제를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스라엘은 바로 그 제국주의라는 사회적 힘에서 출현했으며 제국주의에 봉사해 왔다. 이 책은 시온주의 이스라엘의 기원을 고찰하고, 팔레스타인에 정착촌을 건설하려는 이스라엘의 노력과 이에 대한 팔레스타인인들의 초기 대응을 살펴본다. 또한 이스라엘을 지지하는 주요 서방 국가인 미국과 이스라엘의 관계가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검토하고, 현대 팔레스타인 민족주의 운동의 출현과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가 추구해 온 전략들도 살펴본다. 그리고 팔레스타인 항쟁의 성과와 한계도 고찰한다. 또 팔레스타인 해방에서 핵심적으로 중요한 실마리, 즉 아랍 세계의 광범한 대중투쟁과의 연결이라는 문제도 살펴본다. 아울러 이 책에는 최근 상황을 다루는 글 두 편도 함께 실었다. 2000년 '2차 인티파다'가 분출한 직후, 중동 문제 전문지 《미들 이스트 솔리대러티》의 편집자인 앤 알렉산더가 쓴 글 "2000년 인티파다"는 '평화 프로세스'의 모순과 위선을 지적하며, 이것에 분노한 팔레스타인인들이 저항에 나선 배경을 살펴본다. 이스라엘과 서방 제국주의 국가들이 '평화 프로세스'를 통해 관철하고자 했던 제국주의적 의도를 들춰내고, 이것에 타협한 팔레스타인 운동 지도자들의 약점도 함께 살핀다. 필립 마플릿이 2015년에 쓴 글 "고립의 종식? 팔레스타인과 2011년 아랍 혁명"은 팔레스타인인들이 이스라엘의 봉쇄와 아랍 정권들의 외면으로 고립된 상황에서 2011년 아랍 혁명으로 희망을 발견했으나 이내 어려움에 처하게 됐음을 지적한다. 또, 팔레스타인 민족주의 운동의 성장과 쇠락을 다루며 팔레스타인 지도자들의 이데올로기적 지향, 이스라엘과의 타협, 열렬한 신자유주의 수용도 다룬다. 근래의 혁명적 투쟁들, 특히 아랍 혁명이 팔레스타인 문제에 왜 그토록 중요한지 살피고, 팔레스타인 투쟁이 중동 전역의 사회정의를 위한 투쟁의 일부가 될 새로운 전망도 살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