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작가의 말 1장 파괴적이지만 아름다운 운명적 사랑 이야기 * 스콧 피츠제럴드 『위대한 개츠비』 - 그에게 ‘위대한’이라는 수식어가 붙은 이유 * 에밀리 브론테 『폭풍의 언덕』 - 의심의 독화살을 맞은 치명적인 사랑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전 세계를 울린 운명적 사랑과 슬픔 * 샬럿 브론테 『제인 에어』 - 불타버린 대저택의 비밀 속에서 피어난 사랑 * 제인 오스틴 『오만과 편견』 - 오만과 편견을 걷어내면 마법이 작동한다 * 너새니얼 호손 『주홍글씨』 - 누가 누구에게 낙인을 찍는가? * 레프 톨스토이 『안나 카레니나』 - 파멸의 사랑 끝에 남은 뜨거운 허망 * 밀란 쿤데라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무거움과 가벼움,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 막스 뮐러 『독일인의 사랑』 - 그 어떤 격정보다 깊고 간절한 짧은 사랑 *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콜레라 시대의 사랑』 - 51년 9개월 4일간의 기다림 2장 모두의 아픈 성장에 대한 따뜻하고 절절한 이야기 * J. M. 바스콘셀로스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 - 아이들은 철이 들어야만 하나요? *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어린 왕자』 - 중요한 건 눈에 보이지 않는다 * 헤르만 헤세 『데미안』 -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파괴해야 한다 * 마크 트웨인 『허클베리 핀의 모험』 - 뗏목 위에서 펼쳐지는 자유와 모험의 세계 * 진 웹스터 『키다리 아저씨』 - 모든 아이들에게는 키다리 아저씨가 필요하다 * 안네 프랑크 『안네의 일기』 - 전쟁의 참상 속에서 반짝인 희망의 빛 3장 운명의 소용돌이에 휘말린 인간의 이야기 * 허먼 멜빌 『모비 딕』 - 흰 고래와 인간의 숙명적인 투쟁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 마음의 증오가 범인이다 * 토머스 하디 『테스』 - 한 순결한 여인에 대한 진실된 묘사 * 귀스타브 플로베르 『보바리 부인』 - 욕망의 판타지, 그 대가는 쓰디쓴 비소의 맛 * 루이제 린저 『생의 한가운데』 - 그렇게 생은 흐른다 * 버지니아 울프 『댈러웨이 부인』 - 세월이 아프지 않은 사람은 없다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 - 수용소 3천6백53일 중 오직 하루의 이야기 * 사뮈엘 베케트 『고도를 기다리며』 - 기다림은 만남을 목적으로 하지 않아도 좋다 * 서머싯 몸 『인간의 굴레』 - 평범한 행복에 몸을 맡기는 굴레의 삶이 가장 아름답다 * 알베르 카뮈 『이방인』 - 모든 것은 태양 때문이었다 4장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 프란츠 카프카 『변신』 - 어느 아침, 잠에서 깨 벌레가 된 자신을 발견하다 * 빅토르 위고 『레 미제라블』 - 혁명의 시기를 인간애로 살아간 장 발장 * 어니스트 헤밍웨이 『노인과 바다』 - 파괴당할지언정 패배할 순 없다 * 니코스 카잔차키스 『그리스인 조르바』 - 자유를 향한 끝없는 사랑과 투쟁 *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지킬 박사와 하이드』 - 우리 안에 공존하는 선과 악 *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 인간에게 불행할 권리가 필요한가 * 콘스탄틴 게오르규 『25시』 - 최후, 그로부터 한 시간 후 * 서머싯 몸 『달과 6펜스』 - 6펜스의 일상 속에서 달을 품고 키워나가다 * 레프 톨스토이 『부활』 - 선善을 향한 노력이 영혼을 구원한다 * 오 헨리 「마지막 잎새」 - 희망, 이 세상 그 어떤 명작보다 고귀한 걸작 * 알렉상드르 뒤마 『몬테크리스토 백작』 - 문명의 시대, 욕망하는 인간의 의무 * 레프 톨스토이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 천사는 세 번 미소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