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1부 마르틴 마이어와 나눈 대화들 안드라스 쉬프가 이야기하는 음악과 그 해석 레퍼토리 작품, 그리고 작곡가 하이든과 베토벤 악기의 비밀 실내악의 마법 가르치기-무엇을 위해? 업계와 비평 안드라스 쉬프의 삶의 궤적 2부 에세이들 헝가리-비호감 누가 외르크 하이더를 두려워하랴? 현대의 피아노로 연주하는 바흐 페달은 없이, 하지만 아주 색채감 있게: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평균율 클라비어>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 앞을 향해 되돌아봄: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여섯 개 파르티타 유머는 재미가 아니다: 하이든에 대한 오마주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대학생과 해석자를 위한 제안. 오이제비우스와 플로레스탄 풍으로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을 위한 카덴차와 아인강 모차르트의 A장조 피아노 협주곡 KV488 어느 등반가의 사색: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들에 관한 몇 가지 대단치 않은 생각들 “순수한 원본 악보만으로”: 베토벤의 <디아벨리 변주곡>에 관한 질의응답 베토벤의 현악 사중주 Op.132: 팩시밀리본에 부치는 서문 어느 개종자의 고백: 함머클라비어로 연주하는 슈베르트 슈베르트의 피아노 트리오 E플랫장조 펠릭스 멘델스존: 하나의 옹호 극락의 로베르트 슈만 씨에게 띄우는 드레스덴 편지 드보르자크의 피아노 협주곡 피아노에서의 벨러 버르토크 팔 카도사: 내 스승에 바치는 작은 오마주 세상 최고의 그랜드피아노: 죄르지 쿠르탁에 대한 기억 페렌츠 라도스의 80세 생일을 맞이하여 알베르트 시몬 애니 피셔 조지 말콤 산도르 베그 루돌프 제르킨에 대한 기억 왜 우리는 자필악보를 필요로 하는가?: 슈테판 츠바이크를 추념하며 음악 콩쿠르: 예술인가 스포츠인가? 독일 연극계는 어찌된 일인가?: 작가들의 옹호를 위한 하나의 시도 안드레아 바르카-이력서 연주회장을 찾는 이들을 위한 십계명 앙코르 역자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