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미

오드리 로드 · 에세이/사회과학
484p
구매 가능한 곳
별점 그래프
평균3.8(16명)
평가하기
3.8
평균 별점
(16명)
《자미》는 우리 시대 페미니스트들의 가장 중요한 원천이자 목소리인 오드리 로드의 자전신화로, 이 기념비적인 인물이 우리가 익히 아는 모습이 되기까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자미(zami)’는 서인도제도의 캐리아쿠섬에서 친구이자 연인으로서 함께 일하는 여성을 일컫는 단어다. 서인도제도 출신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난 시인 오드리 로드는 사실과 허구의 경계를 아우르는 자기 정체성의 기원에 관한 이야기를 뜻하는 ‘자전신화(biomythography)’라는 새로운 장르의 글에서, ‘자미’라는 단어로 스스로를 정체화하고 자신에게 흔적을 남겼던 수많은 여성으로부터 자신이 탄생할 수 있었음을 밝힌다. 매카시즘이 득세하던 1950년대 뉴욕 할렘은 흑인 여성이자 레즈비언이었던 오드리 로드에게 결코 아름다운 배경이 아니었지만, 그 시공간 속에서도 오드리 로드는 불온한 이름으로 불린 자신의 낙인을 오히려 서사의 시작으로 삼고, 꼿꼿하고 기꺼이 자신의 삶을 살아내며 이를 기록한다. 2019년 BBC가 선정한 ‘세상을 빚은, 규칙을 부수는 책’이자, 《나쁜 페미니스트》 작가인 록산 게이가 소수자에 대한 폭력과 혐오를 목격할 때마다 의지하는 책이며, 한국의 페미니즘 진영 최전선에서 분투하는 권김현영, 유진목, 은유, 이라영, 하미나 작가가 찬탄과 연대의 마음으로 함께한 책이다.

[월간 소장] 레벤느망

매월 1일, 100원으로 누리는 최고의 가치!

왓챠 개별 구매

별점 그래프
평균3.8(16명)

[월간 소장] 레벤느망

매월 1일, 100원으로 누리는 최고의 가치!

왓챠 개별 구매

저자/역자

코멘트

4

목차

추천의 글 제목 없는 헌사 프롤로그 자미 에필로그 감사의 글 옮긴이의 글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내가 사랑한 여자들은 저마다 나에게 자신의 흔적을 남겼다.” 여성이자 흑인이자 페미니스트이자 레즈비언이자 시인으로서 스스로 정체화한 새 이름의 철자를 써 내려간 오드리 로드의 자전신화 “내 삶에 오드리 로드의 이름을 ‘정서적인 타투’로 새기고 싶다!” 권김현영, 유진목, 은유, 이라영, 하미나 추천 《자미》는 우리 시대 페미니스트들의 가장 중요한 원천이자 목소리인 오드리 로드의 자전신화로, 이 기념비적인 인물이 우리가 익히 아는 모습이 되기까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자미(zami)’는 서인도제도의 캐리아쿠섬에서 친구이자 연인으로서 함께 일하는 여성을 일컫는 단어다. 서인도제도 출신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난 시인 오드리 로드는 사실과 허구의 경계를 아우르는 자기 정체성의 기원에 관한 이야기를 뜻하는 ‘자전신화(biomythography)’라는 새로운 장르의 글에서, ‘자미’라는 단어로 스스로를 정체화하고 자신에게 흔적을 남겼던 수많은 여성으로부터 자신이 탄생할 수 있었음을 밝힌다. 매카시즘이 득세하던 1950년대 뉴욕 할렘은 흑인 여성이자 레즈비언이었던 오드리 로드에게 결코 아름다운 배경이 아니었지만, 그 시공간 속에서도 오드리 로드는 불온한 이름으로 불린 자신의 낙인을 오히려 서사의 시작으로 삼고, 꼿꼿하고 기꺼이 자신의 삶을 살아내며 이를 기록한다. 2019년 BBC가 선정한 ‘세상을 빚은, 규칙을 부수는 책’이자, 《나쁜 페미니스트》 작가인 록산 게이가 소수자에 대한 폭력과 혐오를 목격할 때마다 의지하는 책이며, 한국의 페미니즘 진영 최전선에서 분투하는 권김현영, 유진목, 은유, 이라영, 하미나 작가가 찬탄과 연대의 마음으로 함께한 책이다. “나는 삶을 필요로 하는 만큼, 확인을, 사랑을, 나눔을 필요로 하는 만큼, 흑인으로 자랐다.” 1920년대 뉴욕 할렘가에서 태어난 오드리 로드는 아프리카계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났다. 안경을 쓰지 않으면 앞을 보지 못할 정도의 심한 근시를 앓았고, 또래보다 뒤늦게 입이 트인 아이였다. 뉴욕이라는 곳에서 소수자일 수밖에 없던 어머니는 자신과 같은 처지인 오드리가 그 누구보다 세상의 규율을 빠르게 깨우쳐 적응하기를 바랐으나, 오드리는 시각장애인 교실에서 처음 글자를 배우던 때부터 세상의 규칙에 맞서 살아남기 위해 투쟁한다. 오드리는 부진아를 표시하는 고깔을 쓰고 인종차별적 의미가 내포된 ‘브라우니’ 모둠에 앉아 있거나, 흑인에게서는 백인과 다른 특유의 체취가 난다고 여기는 수녀님의 주의를 듣거나, 흑인이라는 이유로 반장 선거에서 떨어지거나, 여름휴가로 가족들과 함께 떠난 워싱턴의 아이스크림 가게에서 쫓겨난다. 부모는 애초에 인종차별을 당할 가능성을 미리 계산하지 못했다는 사실에만 죄책감을 느낄 뿐, 오드리가 세상의 질서에 잠잠히 편입하기를 요구한다. 따라서 오드리는 ‘유색인’이라는 단어의 정확한 의미도 듣지 못한 채 스스로를 ‘백인’으로 정체화하겠다고 말하거나, 흑인 순교자로 불리는 미국혁명 최초의 열사인 크리스퍼스 애턱스를 열여덟 살까지 들어보지 못하거나, 어머니의 고향이던 서인도제도의 캐리아쿠섬이 전혀 표기되지 않은 지리부도들 사이에서, 자신의 기원을, 자신의 모습을,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지 못한 채 자라난다. 그러나 오드리 로드는 감춰지는 자, 차별받는 자에 머무르지 않는다. 어릴 적 언니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결심했던 것처럼 오드리는 자신의 이야기를 직접 만들어낸다. 흑인 학생이 고작 세 명뿐이었던 헌터고등학교에서 오드리는 주변인이던 친구들과 모여 ‘낙인찍힌 자들’이라고 스스로를 정체화하고, 일생의 우정을 경험하게 한 제니를 만나며 사랑을 인식한다. 스탬퍼드의 공장에서는 진저를 만나 자신의 성정체성을 깨닫고, 자신이 처음으로 머물기를 선택한 장소인 멕시코에서는 유도라를 만나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사랑받는다. 그리고 다시 뉴욕으로 돌아와 정서적으로 깊은 타투를 남긴 뮤리얼과 아프레케테를 만나며 절망 안에서도 새로운 답을 찾아낸다. 끊임없이 자신이 존재할 장소를 찾아내고 만들어낸 오드리는 어머니의 집을 떠나 자신만의 서사를 만들고, 차별과 혐오가 가득했던 할렘 거리마저 자신의 ‘집’으로 만들며 흑인으로서, 여성으로서, 그리고 성소수자로서 기어코 자전신화를 이루어낸다. 쉴 곳이 필요할 때 쉼을 내주었던 여성들 검게 물든 모습 그대로 태양 아래로 나를 밀어내준 여성들 《자미》는 오드리 로드가 사랑한 여자들에 관한 이야기다. 흑인 페미니스트 시인이라는 수식 이전에, 오드리는 여자를 사랑하는 한 여자였다. 오드리가 처음 사랑한 여자는, 어머니와 갈등이 심하던 무렵에 만난 제니다. 방종한 여자처럼 욕설을 일삼고, 길에서 담배를 피우고, 어머니 지갑에서 돈을 훔치고, 거리를 쏘다니며 함께 노동조합가를 불러대던 제니와 오드리. 그러나 온 세계에 변화의 바람이 몰아치던 1948년, 제니는 자살한다. 몸을 맞대고 서로의 열정을 털어놓은 적도, 함께 책을 쓴 적도, 사랑을 나눈 적도 없이, 오드리는 제니를 무력하게 떠나보낸다. 이후 오드리는 집을 나와 가혹한 홀로서기를 시도한다. 첫 교제의 결과는 낙태로 이어졌고 적당한 일을 찾지 못한 오드리는 스탬퍼드로 떠난다. 그리고 이곳에서 진저를 만나 레즈비언으로서의 정체성을 처음으로 자각한다. “여자와 사랑을 나눈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도 전혀” 모르던 오드리는 “그 일이 일어나길 바란다는 것, 그리고 그것은 내가 여태껏 해본 그 어떤 일과도 다르다는 것”을 어렴풋하게 느낀 채, 파도처럼 몰아치는 기쁨과 만족감을 만끽한다. 그러나 관계를 진지하게 여기지 않는 진저를 보며, 오드리는 그 누구도 사랑하지 않고 그 누구와도 가까워지지 않겠다고 마음먹는다. 그 결심은 낯선 소리와 냄새, 경험으로 이뤄진 멕시코의 쿠에르나바카에서 연상의 여성 유도라를 만나며 깨지고 만다. 매카시즘을 피해 멕시코로 이주한 기자였던 유도라는 “생각하느라 평생을 보낸 사람, 내가 무슨 말을 하건 나를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었고, 유도라의 집에서 한없이 대화를 나누며 여러 날을 보내던 오드리는 그를 끌어안고 사랑을 나누고 싶다고 처음으로 제안한다. 그 제안에 유도라는 이렇게 답한다. “너는 정말 아름답고 또 갈색이야.” 자신이 “있고 싶었고 또 선택한 장소에 와 있다”는 감각, “사회적으로도 뚜렷한 윤곽을 지닌 확실한 존재”라고 느끼게 해준 멕시코에서 오드리는 사랑을 통해 스스로를 긍정한다. 사랑의 전지전능함을 알려준 여자는 다시 돌아간 뉴욕에서 만난 뮤리얼이다. 오드리가 일했던 공장의 선임자이자 시를 썼던 뮤리얼. 처음 그를 만난 순간부터 오드리는 뮤리얼이 “내 말은 물론이고 말로 표현할 수 없이 무거운 고통 때문에 말하지 못한 수많은 것들마저도 그 어떤 설명도 없이 다 이해하는 것 같았다”고 느낀다. 뮤리얼과 주고받던 편지에는 그들이 품은 허기와 고립감, 그러나 유머러스하면서도 선명하게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이 담겨 있었고, 그들은 서로의 고독은 물론 꿈조차 서로 닮아 있다고 확신한다. 함께 고양이 밥을 주고, 오래된 가구를 거리에서 주워 오고, 과일과 술을 슬쩍하고, 사랑을 나누며, 오드리는 자신의 삶 깊은 곳까지 뮤리얼이 스며들도록 공간을 내어준다. 그들은 그들만의 방식으로, 그들의 세계를 배열하며 서로에게 확실성과 마술, 근면한 노력에서 오는 경이를 건네주었고, 오드리는 이 모든 것이 사랑하는 이와 관계 맺을 때 오가는 정당한 감각임을 알게 된다. 동시에 오드리는 뮤리얼이 자신이 만든 창조물이 아님을 깨닫는다. 뮤리얼은 언제나 자기 자신이었음을, 그가 형성되는 과정에 자신이 도움을 보탰을 뿐임을, 뮤리얼이 오드리에게 그랬듯이. “그곳이 더는 내 집이 아니게 된 뒤에야 나는 캐리아쿠의 위도를 알게 되었다.” 《자미》는 오드리 로드가 여성들과의 관계 안에서 정체성을 탐구하며 ‘집’을 찾아가는 여정에 관한 글이기도 하다. 어릴 적, 오드리가 꿈꿨던 집이란 “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3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