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서문. 한국 증시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1부.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넘어 대변혁이 온다 1장. 한국 주식시장을 좀먹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한국 주식시장에서 장기투자가 안 되는 이유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유발하는 요인들 일반주주가 피해를 입는 유형 2장. 주주환원 시대가 열린다 한국 주식시장을 뒤바꿀 세 가지 변화 주주환원의 효과 주주환원 시대의 투자 방식 2부. 명품 중소형 우량주의 8가지 유형 3장. 중소형 우량주에 주목하라 왜 중소형 우량주인가? 우량 기업을 알아내는 방법 4장. 유형1: 글로벌 최고 경쟁력을 가진 기업 주머니 속에 든 송곳은 드러나기 마련이다 사례1: 글로벌 No.1 반도체 부품 기업 사례2: 글로벌 No.1 중소형 화학 기업 5장. 유형2: 국내 1위 중소형 기업 독과점 수준의 기업이 변화할 때를 주목하라 사례1: 국내 No.1 중소형 ERP 기업 사례2: 일본의 ‘코끼리 밥솥’을 퇴출시킨 기업 6장. 유형3: 일상생활 속 브랜드 기업 아이템의 경쟁우위가 수익의 지속성을 담보한다 사례1: 작은 의류 기업으로 시작한 아시아 브랜드 기업 사례2: 스크린골프 업계의 역사를 쓴 기업 7장. 유형4: 초고마진 기업 기업의 특별함은 지속 가능한 이익률로 나타난다 사례1: 돈 잘 버는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사례2: 의류 산업의 TSMC라 불리는 기업 8장. 유형5: 전통 산업에 속한 기업 전통 산업에서도 큰 투자 기회가 있다 사례1: 시멘트 산업 내 컨솔리데이션 흐름 사례2: 제지 산업의 이익 스프레드 변화 9장. 유형6: 가치주에서 성장주로 진화하는 기업 가치주에서 성장주로 진화하는 기업은 가치투자의 최종병기다 사례1: 전통 소재에서 신성장 소재로 탈바꿈한 기업 사례2: 신재생에너지의 순풍에 올라탄 전통 소재 기업 10장. 유형7: 본질적 역량을 꾸준히 쇄신하는 기업 투자에서 편견은 깨지기 위해 존재한다 사례1: 역전 만루 홈런을 날린 주류 기업 사례2: 엔터테인먼트 업계에 시스템을 도입한 선도 기업 11장. 유형8: IT 산업의 반도체 소·부·장 기업 IT 산업은 늘 투자 기회가 있는 노다지 밭이다 사례1: 반도체 소재 기업들 사례2: 반도체 부품 기업들 사례3: 반도체 장비 기업들 3부. 실패하지 않는 주식투자 12장. 매매: 기질을 따르되 원칙을 지켜라 매매의 판단 기준은 무엇인가? 투자자의 기질이 왜 중요할까? 주식은 얼마나 오래 보유하는 것이 좋을까? 주도업종과 소외업종의 접근은 어떻게 다를까? 13장. 전략: 늘 비교우위를 질문하라 투자하는 주식 종목 수는 몇 개가 적당할까? 투자 대상은 좁히는 편이 좋을까? 레버리지로 투자하는 것은 독일까? 주식시장의 변곡점에서는 어떤 종목을 선택해야 하는가? 초보 투자자는 어느 시점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할까? 14장. 분석: 기업 이익의 질을 평가하라 고금리 시대에는 어떤 기업에 투자해야 할까? 고PER과 저PER 중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 기업의 가치는 무엇으로 평가하는가? 종목을 고르는 기준은 무엇인가? 주식투자에서 목표는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가? 사업보고서는 꼭 봐야 할까? 증권사 리포트를 믿고 투자해도 될까? 다트 공시만 봐도 투자가 가능할까? 15장. 마인드: 투자는 자기와의 싸움이다 주식투자에 성공하려면 어떤 마인드를 갖추어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