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해제: 인간은 ‘우정과 환대의 사회’를 희망할 수 있는가?_정재승 머리말: 진화의 청사진은 어떤 인간을 만드는가 1부 인간, 사회, 공동체 1장 우리 안에 새겨진 8가지 사회성 형질 말이 필요 없는 아이들의 놀이 세계 l 3개월짜리 아기도 사회생활을 안다 l 언덕이 아니라 산을 보자 l 사회성 모둠: 우리가 타고난 8가지 선한 능력 l 우리를 하나 되게 하는 것 2장 우연한 공동체: 재난에서 살아남기 리얼리티 쇼의 사회 실험은 성공했을까 l 자연 실험이라는 유익한 도구 l 난파선 생존자들은 어떤 세상을 만들까 l 무엇이 두 조난 집단의 운명을 갈랐나 l 핏케언섬: 반란자 무리가 만든 새 사회는 왜 실패했을까 l 섀클턴 탐험대: 남극에서 살아남기 l 태평양 섬들은 지상낙원일까 l 사회생활: 진화가 제공하는 청사진 3장 의도한 공동체: 유토피아를 꿈꾸며 소로가 월든으로 간 까닭은? l 새로운 공동체 만들기라는 오랜 꿈 l 미국의 유토피아 공동체 실험 l 브룩팜: 초월주의 공동체 l 셰이커교: 신앙 공동체 l 키부츠: 자발적 민주 공동체 l 월든 투: 스키너의 유토피아 공동체 l 1960년대 미국 도시 공동체들 l 극지의 과학자들: 남극 기지 공동체 l 남극 기지의 다양한 사회 연결망 l 공동체는 어떻게 성공하는가 4장 인공 공동체: 상상 가능한 모든 세계 크라우드소싱이 사회과학에 불러온 혁신 l 브레드보드 실험: 축소판 사회 만들기 l 대규모 온라인 게임 속 사회생활 l 조개껍데기의 모양은 얼마나 다양할까 l 가능한 사회 유형은 얼마나 될까 l SF 속 상상 사회는 특별할까 l 인간 환경의 가장 중요한 특징, 다른 인간의 존재 2부 사랑, 우정, 관계 5장 사랑이 이긴다: 하나뿐인 짝, 여럿인 짝 입맞춤은 보편적인 행동일까 l 일부일처제는 언제 생겼을까 l 왜 일부다처제 대신 일부일처제가 주류가 되었나 l 수렵채집인 하드자족의 일부일처제 l 유목민 투르카나족의 일부다처제 l 한 어머니와 여러 아버지 사회 l 남편과 아버지가 없는 나족 사회 l 중매는 사랑일까 6장 왜 서로 끌리는가: 사랑의 진화 초원들쥐가 우울증에 빠진 이유는? l 단독생활 종에게서 진화한 짝결속과 일부일처제 l 인간의 짝결속은 집단생활에서 진화했다 l 암컷의 선물 선호가 수컷을 길들였다 l 암컷의 전략, 수컷의 전략 l 행동유전학: 인간의 모든 행동 형질은 유전된다 l 유전자 실험: 문란한 종을 일부일처제 종으로 바꾸기 l 자녀 사랑 이후에 짝 사랑이 진화했다 l 유전자가 짝을 고르는 3가지 방법 l 짝 사랑을 넘어 모르는 사람 사랑으로 7장 무엇을 위해 사귀는가: 우정의 진화 제인 구달과 니콜라 테슬라, 동물 친구와 사랑에 빠지다 l 동물 사회와 인간 사회의 유사성이 말해주는 것 l 동물 연구의 새 장을 연 침팬지 그레이비어드와 구달의 우정 l 동물은 어떻게 친구를 사귈까 l 영장류의 우정 나누기 l 인기 있는 개체의 존재 이유: 온건한 계층 구조와 리더십 l 코끼리의 우정 만들기 l 고래의 친구 사귀기 l 인간만이 특별하다는 오만에서 벗어나자 l 누가 가깝고 누가 먼지 어떻게 알아낼까 l 짝에서 친구로, 친구에서 사회로 8장 어떻게 서로 연결되는가: 관계의 진화 왜 우리는 다른 사람을 위해 목숨까지 버릴까 l 사람에게 우정이란 어떤 관계일까 l 전 세계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우정의 특징 l 은행가 역설: 인간에게 우정이 진화한 이유 l 우정의 유전학: 유전자가 우리를 연결한다 l 유유상종은 과학이다 l 우정에서 사회 연결망으로 l 적의 적은 친구일까 l 사람은 왜 내집단을 편애할까: 민족중심주의와 외국인 혐오의 진화 l 집단 간 갈등이 협력으로 바뀌는 순간 l 인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