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걸음을 옮기며 1. 뭔가 수상한 재개발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 | 달동네와 10명의 건축가 2. 그때 그 마을의 기억 여기는 민속촌이 아닌데 | ‘터 무늬’ 있는 백사마을 3. 진짜 사람이 남는 마을로 무엇이 공동체를 만들까 | 20퍼센트만 남는 재개발 | 반半이라도 남는다는 꿈 | 다시 정산하는 재개발 비용 (백사마을의 시간) 버스가 하루 두 번만 다니던 곳 4. 골목이 회오리치는 동네 토막촌, 판자촌, 빌라촌 | 똥냄새 난다는데 왜 아직도 5. 덩칫값을 못 하는 아이러니 헌 집 줬는데 새집이 없다니 | 재개발 셈법이 말하지 않는 것 6. 떠나지 못하는 사람들 폐허에서 나타난 사람들 | 노인에게 하지 않은 질문 7. 신림 반지하와 종로 고시원 반지하라는 합리적 선택 | 고시원이라는 합리적 선택 8. 현실의 ‘홍반장’을 찾아서 다산동의 골목대장들 | ‘사람’으로 만든 사회안전망 9. 사람이 스무 살에 죽는다면 마을이 요절하는 사회 | 위험에 처한 산업 생태계 (창신동의 시간) 1000개의 공장이 돌아가는 곳 10. “떠나지 않게만 해달라” 400일 넘게 천막을 쳤건만 | 메뚜기 신세가 된 상인들 | 청계천의 산업 생태계 | 청계천을 맴도는 사람들 11. 여기는 백지가 아닌데 한 눈을 감은 속도전의 결말 | 늘 뒷전인 산업 생태계 (청계천의 시간) ‘주상복합 하꼬방’이 있던 곳 12. 유산을 망각한 도시 자초한 문화유산의 위기 | 파리·뉴욕·도쿄에서 말하지 않는 것 13. ‘힙지로’의 교훈 낡은 공간의 힘 | 산업 생태계의 계승자들 | 긍정할 수만은 없는 변화 (세운상가의 시간) ‘종삼’이라 불리던 곳 발걸음을 마치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