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론과 해방

김경만 · 사회과학
362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4.6
평균 별점
(5명)

민속방법론, 부르디외, 기든스, 하버마스, 해석학, 그리고 리처드 로티의 실용주의 등 20세기 주요 이론들이 가지는 중대한 이론적 모순을 폭로하는 책. 저자는 이들을 포함한 지식인들이 '대리(代理)적 시공간'에 살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서 생산된 비판이론은 일상 행위자들의 생활세계에는 어떤 영향도 미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소위 "비판이론가"들의 해방 이론은 세미나실, 학술발표회장, 각종 출판물, 무엇보다도 비판이론의 지적전통을 따르는 동료들 사이에서나 준엄한 자태를 뽐낸다는 것이다. 저자는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모든 지식인이 이론적 비판을 통해 사회.정치.문화적 변동에 중요한 역학을 해야 한다는 믿음"이 강조되어 왔다고 지적하고, 이렇게 우리가 당연시하는 지식인들의 사회적.정치적 역할이 우리가 당연하다고 상정한 방식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저자는 한국 학계에 만연해 있는 독특하게 "야누스적 반-이론적 문화"와 별다른 성과 없는 "토착화" 논쟁을 두고 이렇게 일간한다. "우리는 이제 고도로 추상적인 이론적 논의를 사회나 정치개혁에 도움이 안 된다는 구실로 외면하면서 하버마스 같이 평생 고도로 추상적인 이론을 추구해 온 이론가들을 한편으로는 존경하고 대접하는 이중적인 태도를 버려야 할 때가 됐다" "독자적 한국사회이론을 만들어 내는 것은 단순히 우리가 서양의 이론에 의존해왔다는 자성만으로는 가능하지 않고, 그들 이론에 정면으로 도전하고 그들과의 '비판적 대화'를 유도해냄으로써만 가능할 것이다. " *한국과 미국에서 동시 출간되었다.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저자/역자

목차

감사의 글 서문 1장 서론 | 이론과 실천을 다시 생각하며 2장 시간성의 관리 | 실천적 행위에 대한 역사적.이론적 재구성으로서의 민속방법론 3장 부르디외의 비판이론은 우리를 상징폭력으로부터 해방시킬 수 있는가? 4장 비판받은 비판이론 | 기든스의 이중해석학과 언어놀이 변환의 문제 5장 좌초한 하버마스의 해석학적 재구성주의 6장 사회이론은 상호작용적 범주(interactive kind)에 속하는가? 7장 권력의지에 대한 리처드 로티의 비판 8장 에필로그 | 비판이론가들은 누구를 향해서 말하고 있는가? 부록 | 에 대한 비판과 그에 대한 반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