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 출판을 하면서 한국 전통문화와 나의 건축 프롤로그 건축, 고독한 괴물 덩어리 건축의 세 가지 숙명 / 건축의 규제와 과잉, 그리고 강정제 시책 / 케인스의 난폭한 마술 / 약자를 위한 건축이라는 속임수 / 욕망하는 건축에 부는 역풍 / 모든 건축은 불필요할까 모더니즘을 넘어 : 다시 보는 안도, 코르뷔지에, 미스 건축이 비평을 담는 속내 비평성, 투쟁의 핵심적 도구 / 제1차 세계대전과 새로운 건축가들의 등장 / 주택과 비평성과 헤게모니 전략 / 잃어버린 비평의 역동성 / 부담스러운 공동체성 / 비평의 강박에서 해방된 건축 공급자와 형식은 승리했는가 형식 대 자유, 그 오래된 대립 / 형식의 정점에서 나오는 표층과 변형 / 형식주의의 생존 모색 / 형식주의를 살린 포스트구조주의 /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열어젖힌 건축의 유동성, 그리고 한계 / 수요자의 자유 대 공급자의 형식, 그 지루한 변증법 / 시민 참여는 형식과 자유의 경계를 허물었나 / ‘이긴다’와 ‘진다’ 공공에서 개인으로, 안도 타다오라는 브랜드 건축 붐과 건축가의 곤경 / 안도 타다오, 공공의 시대에서 개인의 시대로 / 단게 겐조, 공공 부문의 왕정복고 / 안도 타다오와 브랜드 그리고 버블 / 개발 붐과 브랜드 / 진정 건축가의 최대 위기일까 욕망, 건축과 세상을 나누는 마력 일본의 토지 신화와 버블 경제 / 건축을 상품화하는 광고업계 / 건축가를 부린 종합건설회사 / 오피스 빌딩으로 대표되는 모더니즘 / 유니버설 스페이스는 욕망을 통제할 수 있는가 / 지대제는 20세기 도시를 지켜 냈는가 / 요동치는 모더니즘과 자본주의 / 포스트모더니즘 건축 디자인 / 끝나지 않은 건축의 상품화 / 건축과 세상이 조화를 이루는 법 데스타일이 코르뷔지에와 미스를 넘지 못한 이유 기하학과 무브망을 통합하는 딜레마 / 공간의 상대주의, 패러다임의 변화 / 데스타일의 성공 비결 / 코르뷔지에와 미스, 건축의 상품화 /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모더니즘의 승자 / 전쟁의 논리를 활용하지 못한 데스타일 권력과 거대 건축을 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민주주의 건축을 ; 루돌프 쉰들러 민주주의 건축 / 공간과 물질, 표층의 깊이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가능성 / 예술가 라이트와 쉰들러의 갈림길 / 민주적인 절차와 건축 사이의 간극 / 미디어에 무감했던 쉰들러 / 민주주의 건축과 웨스트 코스트 경쾌해지는 성 문화, 그리고 조립식 주택 좌절한 건축가를 위한 주택 설계 / 주택의 마력 / 새로운 성 문화와 조립식 주택 콘크리트의 시대 자유롭고 보편적인 콘크리트 / 목조건축물의 모호함 인클로저, 닫힌 도시와 건축 건축 프로젝트의 지연을 필요로 하는 사회 / 공공 건축을 할 수밖에 없는 근대적 권력 / 인클로저의 숙명 / 인클로저의 한계와 오늘날 경제 위기 이념은 건축 상품을 구원할 수 있는가 ; 무라노 토고 양식주의자 무라노 토고 / 무라노 건축의 근대성 / 고전주의에 대한 무라노의 대응 / 이념의 결여, 무라노의 아르데코 건축 / 무라노와 스키야 / 무라노와 단게 겐조 / 건축이라는 상품과 교환가치 / 무라노에게 이념이 없는 이유 건축의 외부 변수들 건축 사진, 아름다움을 대체하다 진실을 왜곡하는 아름다움 / 건축 사진의 한계와 극복 도심에 알맞은 건축 표현이란 ; 미요시 드림센터 도심의 초라함 / 장소, 존재, 표상의 부조화 / 선형성에 대한 강박관념 / 분열의 자유로움 건축 예술과 민주주의의 갈등 ; 우치다 요시치카 왜곡된 모더니즘과 건축 / 예술로서의 일본 근대 건축 / 일본 근대 건축의 민주주의 / 콘크리트라는 악마와의 싸움 “집을 달라, 텔레비전을 보여 달라” ; 1995년 베니스 비엔날레 보편 논쟁의 시작 / 전후 일본에서 보편 논쟁의 흐름 / 건축에서 보편성과 특수성 논쟁 / 정치적 올바름과 비근대성 / 집을 달라, 텔레비전을 보여 달라 소녀와 행자 ; 2000년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 사회파와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 / 소녀와 행자, 사회성을 비웃다 현실 세계에 기생하는 가상 세계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 / 게임장 파칭코의 쾌감 / 컴퓨터 게임의 약점 극복 / 컴퓨터 게임의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 / 모호해진 세계 에필로그 쿠마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