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식민사학 비판 총서’를 출간하면서
책머리에
프롤로그 근대 일본 역사학의 국가주의 시원 단초를 찾아
1. 연구의 실마리와 인연
2. 1902년, 일본사에 강제 편입된 한국사
3. 책의 구성과 관련 자료 확보 과정
4. 현지답사: 하기, 야마구치, 모리오카
제1부 ‘동양사’ 개발과 침략주의 역사교육: 요시다 쇼인과 나카 미치요
1장 ‘동양사’ 용어의 유래와 인식 현황
1. 천황이 지배하는 새로운 동아시아 세계 ‘동양’
2. 도쿄대학의 ‘동양사’ 인식 현황
3. 교토대학의 ‘동양사’ 인식 현황
4. 일본 학계의 동향과 인식
2장 메이지 정부의 대외 침략주의
1. 도쿠가와막부와 존왕파의 대결
2. 메이지 신정부의 중앙집권체제
3. 메이지 신정부의 주변 지역 및 국가에 대한 침략정책
4. 자유민권운동과 세이난전쟁
3장 1880년대 국가주의 체제 확립과 요시다 쇼인
1. 내각제의 성립
2. 제국헌법의 제정과 「교육칙어」 반포
3. 국가주의 학제 정비
4. 국가주의 교육의 바탕, 요시다 쇼인 현창
5. 요시다 쇼인의 주변국 선점론
4장 서양식 역사학 수용과 나카 미치요의 ‘동양사’ 제안
1. 구화주의 시대의 일본 역사학
1) 일반 지식계의 서양 문물 수용
2) 서양 역사학 수용 양상
2. 1894년 나카 미치요의 ‘동양사’ 제안 배경
1) 양부 나카 미치타카와 요시다 쇼인
2) 나카 미치요의 학문적 성장 과정
3) 1890년 「교육칙어」 반포와 나카 미치요의 ‘동양사’ 제안
3. ‘동양사’ 과목 제안 전후의 학계 상황
5장 일본·동양·서양 3과 역사교과서 제도 수립과 천황제 국가주의
1. 일본국회도서관 소장 구 역사교과서 조사(I)
1) 구 역사 3과 교과서의 발행 시기 분포
2) 1902년 상반기 이전 ‘과도적’ 역사 3과 교과서
2. 일본국회도서관 소장 구 역사교과서 조사(II)
1) 1902년 후반~1910년 역사 3과 교과서 체제의 발전
2) 동양사가 아니라 일본사에 편입된 한국사: 역사합병의 만행
3) 1910년 ‘한국병합’ 후 간행 교과서: 복속의 역사 강조
3. 도쿄제대·고등사범학교 출신 일색 저자들: 어용 역사교과서 제작
〈자료 1〉 일본국회도서관 소장 메이지~쇼와 연간 역사교과서 검색 결과
제2부 러일전쟁 이후 도쿠토미 소호의 황실 중심주의
6장 도쿠토미 소호의 평전 『요시다 쇼인』
1. 저널리스트 도쿠토미 소호의 사상적·정치적 편력
1) 도쿠토미 소호 연구의 필요성
2) 민권운동가 도쿠토미 소호와 『고쿠민신문』
3) 『요시다 쇼인』(초판): 대일본주의로의 전향
4) 청일전쟁과 『고쿠민신문』의 전쟁 홍보
2. 조슈벌과의 밀착과 침략주의 미화 선봉
1) 삼국간섭의 ‘굴욕’: 백벌 타도론 제창
2) ‘정치가’ 도쿠토미 소호, 『고쿠민신문』의 정부 기관지화
3) 가쓰라 다로 내각과의 밀착
4) 『요시다 쇼인』(개정판): 황도주의 제창
7장 제1차 세계대전 전후 도쿠토미 소호의 반미주의
1. 『경성일보』 감독 도쿠토미 소호: 총독 데라우치와의 밀착
1) 총독 데라우치의 『경성일보』 감독 초빙
2) 「조선 통치의 요의」 10조
2. 제1차 세계대전 중의 반미 저술
1) 조슈벌의 균열과 ‘다이쇼정변’
2) 가쓰라 신당과 도쿠토미 소호의 『시무일가언』(1913)
3) 제1차 세계대전 발발과 도쿠토미의 ‘동양 먼로주의’ 제창
제3부 대륙 침략과 도쿠토미 소호의 황도 파시즘 국민독본
8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