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의 글 4
프롤로그 - 왜 뒤르케임의 『자살론』인가? 7
제1부 『자살론』의 현대적 해석 23
제1장 자살과 통치: 한국 자살예방정책의 의료화 24
제2장 자살의 사회학: 『자살론』의 실재론적 해석 60
제3장 숙명론적 자살의 수수께끼: 『자살론』의 정치적 해석 126
제2부 자살과 정치 173
제4장 자살과 국가: 「5·18 자살자 심리부검 보고서 2.0」 174
제5장 자살과 가족: 자살자 유가족의 사회적 고통과 상(喪)의 과정 219
제6장 자살과 분단: ‘탈북자 자살’과 이중의 생명정치 267
제3부 자살과 인권 315
제7장 자살과 재난: 이태원 참사 159번째 희생자의 인권과 ‘자살 과정’ 316
제8장 자살과 직업집단: 초등 교사들의 자살에 대한 제도적 문화기술지 383
제9장 자살 레짐을 넘어서: 뒤르케임의 도덕과학과 좋은 사회의 존재론 460
에필로그 – 오래된 미래, 통합과학으로서 사회학의 전망 531
참고문헌 561
실린 글의 출처 603
상세 목차 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