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후기 현대사회의 위기와 레이몽 부동의 사회학 | 민문홍 구조주의에 대한 비판: 행위의 사회학적 관점에서 | 2011년 한국어판 서문 2004년 문고판(Quadridge) 서문 머리말 제1장 사회변동이론 하나의 프로그램: 사회변동의 이론들 하나의 환상? 세 가지 대답 제2장 개인 행위, 집합효과 그리고 사회 변동 베버식 패러다임 사회과학에 관한 심리학 합리성의 개념에 대하여 '개인주의'의 개념에 대하여 개인행동들의 집합 제3장 사회변동의 법칙들: 법칙 추구적 편견 일반적인 조건적 법칙 모델과 법칙 정치적 동원의 법칙 발전과 근대화의 법칙 사회변동이론을 위한 한 가지 사례 분석 제4장 구조와 변동: 구조주의적 편견 구조는 유형이다 구조는 기본적 특징이다 '구조적'법칙 구조와 이데올로기 변동에 맞선 구조의 일관성 구조적 요인과 비구조적 요인 제5장 주된 원동력의 탐구: 존재론적 편견 사회갈등의 역할 이념과 가치의 역할: 그것은 때때로 우리가 믿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 이념과 가치의 역활: 그것은 때때로 우리가 믿는 것보다 덜 중요하다 외생적 변동 또는 자생적 변동? 제6장 잘 절제된 결정론 닫힌 과정과 열린 과정 혁신과 사회변동 사회변동에서 우연의 위치 제7장 무질서의 사회학적 위치 가정과 확인된 사실 구분 짐멜의 한 주제에 대한 변주곡 무질서의 거부 타당성의 개념에 대한 하나의 짧은 논평 지식, 이해관계 그리고 사회변동에 대한 해석 맺음말: 사실주의 함정 참고문헌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