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클린턴의 마이 라이프

빌 클린턴
651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빌클린턴의 마이라이프를 읽고.... 광화문통 회사를 다니는 덕에 점심시간등을 이용해서 운 좋게 점심을 일찍 먹어 짬이 나면 회사 근처 대형서점인 교보문고에 들러 책 숲 사이로 식후 산책을 하곤 합니다. 말 그대로 산책인지라 넓찍한 도서코너를 유유히 걸으며 요즘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이슈의 트렌드는 무엇인지 정도를 겻눈질하는 맘보탓에 정작 서점을 나설 때는 제 손에 책 한 권 안 들려 있기 십상이지요. 어쩌다 책을 사도 아들녀석이 부탁한 아동도서나 가벼운 시사잡지류 정도일 뿐 막상 제가 읽기 위해 제대로 된 책을 사기는 쉽지 않더군요. 그런 독서 짠돌이(?) 제가 얼마전 책 두 권을 오랜만에 큰 맘 먹고 샀습니다. 책 두권의 값 치고는 적지않은듯 싶은 퍼런 지폐 3장을 내고 산 책. 그 책이 바로 미국의 前 대통령 빌클린턴의 자서전, {빌클린턴의 마이라이프(My Life Bill Clinton)}였지요. 빌 클린턴...나뿐 아니라 많은 세인들이 그가 얼마나 위대한 업적을 남긴 미국 대통령이었는지는 잘 몰라도 그가 대단한 바람둥이였다는 것은 알 만큼 유감스럽게도 클린턴하면 파블로프의 조건반사처럼 "르윈스키 섹스스캔들"부터 떠 오르게 됩니다. 그리고 자본주의의 메카 미국답게 대통령들은 퇴임을 하면 그들의 업적의 상하를 막론하고 대부분 돈벌이의 목적으로 자서전을 쓴다고 들었던 터라 과연 이 책들을 요즘처럼 모두가 어려워 죽겠다고 말하는 불경기에 내가 돼지고기 세근도 더되는 돈을 주고 살 가치가 있는가 하는 쪼잔한 생각마저 들더군요. 이 책들을 집은 이유를 억지로라도 찾는다면 얼마전 업무상 알게된 미국친구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대통령이 클린턴이라고 한 말 탓일지도 모르지만 그보다는 클린턴은 같은 남자로서 뭔지 모를 Something Special한 것이 느껴져서라는 것이 솔직한 대답일 것 입니다. 어쩌면 섹스스캔들을 호방한 영웅담으로 착각하는 저의 낡아빠진 남성우월주의적 마인드 탓일지도 모르지만... 아무튼 저는 그렇게 어리버리한 이유로 클린턴의 마이라이프를 만나게되었지요. 그러나 책장을 한장 두장 넘기면서 이 책과의 만남이 아니, 빌클린턴에 대한 새로운 발견이 저에게도 무척 유익하고 뜻 있는 경험이 되었습니다. 무엇보다도 미국의 대통령으로서의 정치인 클린턴에 대한 전문적 이해의 결여는 물론, 지나치게 말초적이고 선정적인 뉴스로만 그를 ?i아 정작 인간 클린턴에 대해서 많은 것을 오해하고 있었다는 것을 깨달았다는 것이지요. 객관적 3인칭의 인물평전과는 달리 자서전은 저자의 주관의 늪에서 헤어나오기 어렵기 때문에 인물에 대한 정확한 팩트를 알고자 하기보다는 그 인물이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듣는것인 만큼 물론, 이 책도 보는 이에 따라 클린턴의 변명과 자기 과시로만 보일 수도 있는 책입니다. 그러나 이 책을 읽으면서 그가 자신의 과오를 어떻게 합리화하는지를 따지는 것보다는 우리와는 또 다른 가문적 배경이 성공한 정치인의 직간접적인 필요충분조건으로 중시되는 미국사회에서 유복자로 태어난 내세울 것 없는 환경에서 미국의 대통령에까지 이르게 되었는지와 그가 8년이나 대통령직을 수행하며 미국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를 이해하게되는 것만으로도 이 책은 그 가치가 충분한 것 같습니다. 섹스스캔들 등의 가십성 이슈로 우리가 제대로 모르던 그의 정치적 재능과 역량 그리고 성취를 통하여 오늘의 미국, 역사상 최고로 강대한 슈퍼파워 U.S.A가 가능해졌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니까요. 클린턴이 대통령에 취임하던 무렵의 미국은 20세기 초 영국이 맥없이 몰락했듯이 침몰하는 제국의 운명이 아니냐는 말이 나올 만큼 미국 사회 곳곳에 패배주의가 팽배하고 활력을 잃어가던 시점이었습니다. 그러한 무기력한 패배주의에 빠진 미국을 오늘의 세계 초유의 감히 대적할 상대가 없는 슈퍼파워로 다시 일으켜 세운 사람이 바로 클린턴이었습니다. 그가 이런 업적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이 책에서도 언급했듯이 "완벽하지는 않지만 이만하면 훌륭하다"는 그의 합리적이고 유연한 사고에 기인한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는 중산층의 감세를 주요 공약으로 내걸어 과도한 세금으로 불만이 팽배해있던 중산층의 지지를 등에 업고 대통령에 당선됩니다. 그러나 그렇게 대통령이 된 후 감세보다는 국가재정적자를 줄이는 것이 더 시급하고 중요한 일이라고 판단되자 그는 선거공약과 배치되는 것은 물론이고 정통적인 민주당의 정책과도 어긋나는 보수적인 재정적자축소와 저금리정책을 많은 반대를 무릎쓰고 펼치게 됩니다. 그 결과는 이후 그의 8년 임기를 넘어서는 10년 대호황을 이루어내어 오늘의 슈퍼파워 미국을 이루게 되는 원천이 되지요. 그가 명분론에만 급급해서 지지층인 중산층을 위해서 또는 눈 앞의 인기에만 급급한 포퓰리즘에 집착한 정책을 폈더라면 그의 정치생명은 물론 미국의 운명도 지금과는 많이 달라졌겠지요. 이런 그의 포지티브한 면모는 지나치게 경직되고 눈 앞에 보이는 것에만 급급하는 우리나라의 정치인들과 사회 지도층 인사들뿐 아니라 저처럼 일반 소시민들에게도 처세의 방편으로 몇 번이고 곱씹어 볼 가치가 있는 부분이겠지요. 그가 말하는 그를 대통령으로 이끈 결정적인 힘이 된, 클린턴의 친구(FOB)의 존재를 이 책을 통하여 알게 되면서는 역시 세상은 혼자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것임을 그리고 성공한 삶에는 튼튼한 우정이라는 인적유대가 큰 힘이 된다는 것도 저에게는 크게 공감되는 부분이었습니다. 클린턴... 그는 미국 대통령으로 케네디에 필적하는 대중들의 사랑을 받은 대통령이었습니다. 아니, 퇴임한 지금도 그의 인기는 이 자서전이 출간하자마자 동이 날 만큼 오히려 인기없는 현직 대통령보다 더 낫다고도 하지요. 젊고 핸섬하고 달변의 대중연설 솜씨에 끊임없이 스캔들에 휩싸이는 모습은 마치 여느 인기 헐리웃 스타 못지 않은 대중적 관심의 대상이 되었지만 그런 그의 私적인 매력에 죽어가는 미국 경제를 다시 건강하게 살려낸 公적인 능력이 더해져 그를 스타대통령으로 증폭시켜 기억하게 하는 것이겠지요. 물론 그에게도 흠결은 많았습니다. 대통령으로서 그도 적지않은 실망스런 잘못을 했고 무엇보다도 거짓말이라는 치명적인 도덕적 흠결의 그림자까지 드리우며 탄핵의 위기에까지 처했었으니까요. 더구나 미국의 대통령

출판사 제공 책 소개

▶프롤로그 법대를 갓 졸업하고 인생을 한번 제대로 살아보고 싶은 마음으로 가슴이 뜨거웠던 젊은 시절, 나는 즐겨 읽던 소설과 역사를 잠시 옆으로 밀어두고 실용서 한 권을 사 보았다. 앨런 라킨이 쓴 『시간과 인생을 통제하는 방법 How to Get Control of Your Time and Your Life』이라는 책이었다. 이 책의 요점은 단기, 중기, 장기 인생 목표를 나열한 다음, 중요도에 따라 구분을 해보라는 것이었다. A 그룹에는 가장 중요한 것, B 그룹에는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 C 그룹에는 마지막 목표들을 집어넣고, 각 목표마다 그것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 행동을 적어야 했다. 나는 30년 가까운 세월이 흐른 지금도 문고본으로 나온 그 책을 가지고 있다. 그때 목표를 적은 종이도 어딘가에 있을 것이다. A 그룹에 적었던 목표들은 지금도 기억한다. 나는 좋은 사람이 되고 싶었고, 좋은 결혼생활을 하면서 좋은 자식들을 두고 싶었고, 좋은 친구들과 사귀고 싶었고, 정치에서 성공을 거두고 싶었고, 훌륭한 책을 쓰고 싶었다. 내가 좋은 사람이 되었느냐 하는 것은 물론 신이 판단할 문제이다. 하지만 나의 가장 강력한 지지자들이 생각하는 만큼, 또는 내가 되고 싶은 만큼 좋은 사람은 못 되는 것 같다. 그렇다고 나의 가장 가혹한 비판자들이 주장하는 것만큼 나쁜 사람이 아닌 것도 분명하다. 나는 힐러리, 첼시와 함께 누린 가족생활을 통해 한없는 은총을 받았다. 누구나 그렇듯이 우리의 가족생활도 완벽하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그만하면 훌륭했다. 세상이 다 알듯이 그 결함은 대부분 나의 결함이며, 그럼에도 계속 희망을 가질 수 있는 것은 그들의 사랑 덕분이다. 내가 아는 사람들 가운데 나보다 더 많은 또 더 좋은 친구들을 사귄 사람은 없다. 사실 나는 내 개인적인 친구들, 이제는 전설이 된 FOB, 즉 '빌의 친구들'의 어깨 위에 올라타고 대통령 자리에 올랐다고 말해도 지나치지 않다. 나의 정치생활은 기쁨을 주었다. 나는 선거운동을 좋아했으며, 통치를 좋아했다. 나는 늘 상황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고 가려고 노력했고, 더 많은 사람들에게 꿈을 실현할 기회를 주려고 노력했고, 사람들의 기운을 북돋우려고 노력했고, 사람들을 통합하려고 노력했다. 그것이 내가 점수를 딸 수 있었던 비결이다. 훌륭한 책? 그거야 모른다. 어쨌든 이 책이 괜찮은 이야기인 것만은 틀림없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