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롤로그 |
육아의 원리를 이해하면 어떤 상황에도
흔들리지 않는 부모가 될 수 있습니다
1부 부모 공부가 육아의 모습을 결정한다
육아 정보의 홍수, 대체 어느 장단에 맞추지?
사고 처리법 말고 사고 안 내는 법을 공부하라
발달 단계를 이해하면 육아가 훨씬 쉬워진다
육아의 규칙이 바뀌는 시기가 세 번 있다
1부 요약
2부 애착(0~3세) 부모가 사랑하는 만큼 잘 자라는 아이들
[아이의 성장 1단계] 세상에 대한 신뢰가 싹트는 시기
[부모의 변신 1단계] 아이와 건강한 애착을 형성하자
[애착의 방해물] 안정적인 애착을 방해하는 것들
? 어머니의 우울
? 몸이 아픈 양육자
? 치료받는 아이
? 양육자의 잦은 변동
[애착의 기술 1] 민감성_민감하게 반응하며 인내심을 발휘하기
[애착의 기술 2] 관계_화목한 가정과 애정 어린 부부 관계
2부 요약
3부 훈육(4~12세) 부모가 가르치는 만큼 잘 자라는 아이들
[아이의 성장 2단계] 개체성과 주도성이 나타나는 시기
? 나와 남을 분리할 수 있는 시기
? 여전히 매우 자기중심적인 시기
? 주도성과 역할을 찾는 시기
[부모의 변신 2단계] 훈육을 시작하고 규칙을 가르치자
[훈육의 방해물] 원칙 있는 훈육을 방해하는 것들
? 훈육하기 불쌍해요
? 할머니, 할아버지가 그리워요
? 동생이 미워요
? 훈육할 일이 없어서: 부모의 상처
? 훈육할 일이 없어서: 아이의 상처
? 훈육의 눈높이
? 공부의 함정
? 훈육이 잘 안돼요
[훈육의 기술 1] 성공 경험_칭찬으로 성공의 바퀴를 굴려라
? 악순환에서 선순환으로
? 섣부른 칭찬이 위험한 이유
? 칭찬할 기회를 끈기 있게 기다리는 부모
? 부모는 자녀의 성공 연출가
? 아이의 숨통을 조이는 칭찬
? 칭찬의 초점을 주도성에 맞추자
? 칭찬을 발굴하는 요령
[훈육의 기술 2] 놀이_실컷 놀면서 공부하는 방법
? 놀이라는 이름의 마법
? 놀이로 마음을 표현한다
? 놀이로 상처를 치유한다
? 연습한다, 극복한다, 성숙한다
? 놀이로 경쟁과 협동을 배운다
? 놀이로 애착을 적립한다
? 놀이로 가르침을 전한다
? 공부에서 놀이를 발견한다
? 성취하고 소통하면 즐겁지 아니한가
3부 요약
4부 자립(13~18세) 부모가 믿어 주는 만큼 잘 자라는 아이들
[아이의 성장 3단계] 정체성과 인생관을 고민하는 시기
[부모의 변신 3단계] 아이의 자립을 돕는 조언자가 되자
[자립의 방해물] 건강한 자립을 방해하는 것들
? 부모의 상실감
? 부모의 불안감
? 부모의 오해
? 아이의 짜증과 반항
? 부모의 경쟁심
[자립의 기술 1] 마음 공감_최선의 방어는 공감이다
? 상상하는 즐거움을 깨닫자
? 공감은 기술이자 인격이다
? 마음과 행동을 구분하라
? 공감의 주파수를 맞춰라
[자립의 기술 2] 역할 모델_행복한 부모, 행복한 아이
? 산소마스크를 써라
? 행복 캐릭터를 잡아라
[자립의 기술 3] 메시지_자녀 양육, 그 수많은 갈림길
? 육아의 다양한 변수들
? 부모의 메시지를 다르게 받아들이는 아이
? 온몸과 온 마음으로 전하는 메시지
4부 요약
| 에필로그 |
‘다 함께 잘사는 사회’를 만드는 것,
부모가 자녀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큰 선물입니다
| 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