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언 007
1. 조율 015
2. 아브라함 찬사 027
3. 문제 047
(1) 서론적 구상·47
(2) 윤리적인 것의 목적론적 정지라는 것은 존재하는가?·108
(3) 하느님에 대한 절대적 의무라는 것은 존재하는가?·137
(4) 아브라함이 자신의 기도를 사라와 엘리에셀과 이삭에게 말하지 않은 것은 윤리적으로 책임을 져야할 일이었던가?·166
결론 249
역자 후기 256
■ 부록 키에르케고르의 생애에 대한 짧은 이야기 271
신 앞에 선 단독자로서의 인간을 고뇌했던 북유럽의 파리 코펜하겐의 고독한 철학자이자, 당대 유럽 철학의 정점을 달리던 헤겔에 대항에 실존철학의 기초를 닦은 철학자 키르케고르. <공포와 전율>은 실존 철학의 원형과 사랑의 의미가 고스란히 투영된 키르케고르의 초기 대표 저작이다. <공포와 전율>의 주제는 믿음 두 글자이다. 저자는 이 주제를 구약성서에 나오는 아브라함과 이삭의 이야기를 통해 파고드는 한편,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에 나오는 예와, 아그네테와 물의 요정의 북유럽신화, 토비아와 사라의 이야기, <리차드 3세> 및 <파우스트> 예를 들며 단단하게 뒷받침한다.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