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정판 서문
서문
1부 편집의 역사 
1장 무성영화 시대	
에드윈 포터: 콘티뉴이티의 시작	
D. W. 그리피스: 극적 구조	
세계적인 관점	
프세볼로트 푸도프킨: 구조적 편집 기술과 리얼리즘의 강화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몽타주 이론	
지가 베르토프: 리얼리즘 실험	
알렉산드르 도브젠코: 시각적 연상에 의한 편집 	
루이스 부뉴엘: 시각적 불연속성	
결론	
2장 초기 유성영화 시대	
기술적 한계들	
기술의 발전	
음향과 관계된 이론적 논쟁들	
사운드의 초기 실험: 히치콕의 '협박'	
음향·시간·장소: 프리츠 랑의 '엠'	
사운드의 원동력: 루벤 마물리언의 '갈채'	
결론	
3장 다큐멘터리의 영향	
사회에 대한 생각들	
예술과 문화에 대한 생각들	
전쟁과 사회에 대한 생각들	
결론	
4장 대중 예술의 영향력	
촌극	
뮤지컬	
연극	
라디오	
5장 감독이 된 편집자들	
로버트 와이즈	
데이비드 린	
6장 앨프리드 히치콕과 실험적 편집	
단순한 도입: 평행 편집	
극적 강조: 사운드 편집	
극적 발견: 동작 편집	
긴장감: 익스트림 롱숏	
의미의 정도: 컷어웨이	
집약성: 클로즈업	
영원의 순간: 익스트림 클로즈업	
극적 시간과 페이스	
사운드의 조화	
시각전달의 정통성: 추격 장면	
몽환적 상태: 주관적 시점과 움직임	
결론	
7장새로운 기술의 등장	
와이드스크린	
시네마 베리테	
8장 국제적 진보 	
관계의 역동성 	
점프 컷과 비연속성	
객관적 무질서: 장 뤼크 고다르	
과거와 현재의 융합: 알랭 레네	
외적 풍경으로서의 내면세계	
9장 텔레비전과 연극의 영향	
텔레비전	
연극	
10장 영화적 내러티브 관습에 대한 새로운 도전	
페킨파: 소외와 무정부	
올트먼: 무질서라는 이름의 자유	
큐브릭: 신세계와 구세계	
헤어초크: 다른 세상들 	
스코세이지: 드라마적인 기록영화	
벤더스: 대중 예술과 순수예술의 혼합 	
스파이크 리: 편집의 호흡과 사회적 행동	
폰 트로타: 페미니즘과 정치학	
페미니즘과 반서사적 편집 	
혼합된 장르	
11장 편집에 미친 MTV의 영향 Ⅰ	
뮤직비디오의 기원 	
단편영화	
현재 우리는 어디쯤 있는가-MTV 스타일의 상황	
감정 상태의 중요성	
플롯 격하하기	
분절된 편집-시간과 공간 없애기	
자기 반영적인 꿈 같은 상태	
스스로를 관조하는 매체	
올리버 스톤의 경력	
'올리버 스톤의 킬러'	
12장 편집에 미친 MTV의 영향 Ⅱ	
'라이언 일병 구하기'	
'와호장룡'	
'화양연화'	
'인생은 아름다워'	
'탐포포'	
결론	
13장 페이스의 변화	
페이스의 진화	
결론	
14장 스타일의 전유 Ⅰ: 모방과 혁신	
서사와 양식	
스타일을 위한 스타일 	
기대를 배반하기	
모방 대 혁신	
모방과 혁신	
15장 스타일의 전유 Ⅱ: 한계와 혁신	
시네마 베리테의 진화	
미장센으로의 회귀	
클로즈업과 롱숏	
카메라 위치 설정과 페이스: 주관적 시점의 간섭
16장 스타일의 전유 Ⅲ: 디지털 리얼리티	
만들어진 현실	
리얼리즘	
2부 장르별 편집
17장 액션	
당대의 문맥	
'제너럴': 초기 액션 시퀀스	
'레이더스': 현대의 액션 시퀀스 	
18장 다이얼로그 편집	
다이얼로그와 플롯	
다이얼로그와 캐릭터	
다양한 목적의 대화	
'낙원에서의 곤경': 초기 영화의 대화 장면 	
'차이나타운': 현대의 다이얼로그 시퀀스	
19장 코미디	
캐릭터 코미디 	
시추에이션 코미디	
풍자	
익살극	
편집 고려 사항	
코미디 감독	
과거: '레이디 이브'-역할 전도를 다룬 초기 코미디	
현재: '빅터 빅토리아'-역할 전도를 다룬 최근 코미디	
결론	
20장 다큐멘터리 편집	
윤리, 정치학, 그리고 미학적 질문	
다큐멘터리 장면 분석: '메모랜덤'	
21장 창조적인 다큐멘터리	
의미를 변화시키기 	
전시의 다큐멘터리: 상상력과 선전 도구	
'리슨 투 브리튼'	
결론	
22장 다큐멘터리의 혁신 Ⅰ	
퍼스널 다큐멘터리	
내레이션 사용의 변화	
결론 	
23장 다큐멘터리의 혁신 Ⅱ	
24장 아이디어와 사운드	
음악	
음향효과	
대사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사운드를 통한 실험	
3부 편집의 원리
25장 영상 편집과 연속성	
명쾌한 연속성 구축하기	
적절한 적용 범위 제공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