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엄마가 힘들다

사이토 다마키님 외 5명
272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4(19명)
0.5
3.5
5
평가하기
3.4
평균 별점
(19명)
코멘트
더보기

일본의 정신과 전문의이자 비평가인 사이토 다마키와 일본의 유명 문인들이 대담 형식으로 모녀 갈등의 양상과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모녀 관계의 회복을 고민한 일종의 '모녀 관계 보고서'다. 일본 소녀만화계의 대모 하기오 모토, <공중정원>, <종이달> 등을 통해 여성들의 섬세한 심리묘사를 보여준 소설가 가쿠타 미쓰요, 페미니즘 사회학자이자 로 국내에도 이름을 알린 미나시타 기류 등 다양한 연령대의 여성들이 모여 실제 경험담을 토대로 모녀 관계를 둘러싼 현실과 여성의 삶을 깊이 있게 토론하며 많은 공감과 이해를 이끌어냈다. 모녀 관계는 사랑과 연민, 원망, 애증, 동정, 질투, 죄책감 등이 섞여 저마다 상당히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지나치게 억압적인 엄마 때문에 괴로워하는 딸이 있는가 하면 엄마와의 관계가 너무 가까워 의존도를 낮추지 못해 갈등을 겪는 모녀도 있다. 언뜻 보기에 이 갈등은 개인과 개별 가정의 내밀한 문제처럼 보이지만 갈등의 원인과 배경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성차별과 여성 혐오, 가부장제, 세대 갈등 등 수많은 사회적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일본과 우리나라처럼 가부장적인 가족관이 여전히 당연시되는 환경에서 엄마로, 며느리로, 딸로 여성이 겪는 억압과 착취, 감정 노동은 필연적으로 '아빠 소외'를 비롯해 엄마와 자녀 간의 밀착 관계를 낳을 수밖에 없고, 여기에 성 편견의 무의식적 수용에서 비롯된 육아 방식까지 더해지면 모녀는 필연적으로 과도하게 밀착될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된다. 이러한 모녀 관계의 특수성에 주목한 <나는 엄마가 힘들다>는 대담자들의 생생하고 구체적인 사적 체험이 녹아든 자기 고백으로 공감과 정서적 울림을 안기는 동시에 모녀간의 갈등이 시대적 맥락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성찰한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별점 그래프
평균 3.4(19명)
0.5
3.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저자/역자

코멘트

8

목차

머리말 I ― 엄마와 싸우고 있습니다 : 다부사 에이코 × 사이토 다마키 병은 아니지만 괴롭다|아빠 소외의 문제|저주인가 삶의 방식인가|해방의 계기| 자신의 몸과 마음을 직시할 것|대담을 마치고 II ― 엄마라는 이상한 사람 : 가쿠타 미쓰요 × 사이토 다마키 모녀와 모자의 차이|가족관에 대한 의문|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남녀의 거리| 밀착된 모녀 관계의 이면|엄마와 떨어져도 죄책감은 남는다|엄마는 모르는 것| 모성은 본능인가|대담을 마치고 III ― 엄마에 대한 죄책감은 사라지지 않는다 : 하기오 모토 × 사이토 다마키 엄마의 딸 차별|나의 일을 인정해주지 않는 부모|부모에게도 어린 시절이 있었 다|죄책감은 나이가 들어도 사라지지 않는다|엄마의 눈물이 응어리진다|하기 오 씨의 후기|대담을 마치고 IV ― 왜 엄마와 딸은 갈등하는가 : 노부타 사요코 × 사이토 다마키 몸을 공유하는 모녀|다시 태어나고 싶은 엄마|신체 감각의 남녀차|여성과 대 환상의 낮은 친밀도|살아남는다는 함정|무적의 엄마와 어떻게 대치할까|대담 을 마치고 V ― 모녀 문제는 시대의 산물 : 미나시타 기류 × 사이토 다마키 호시 잇테쓰를 닮은 엄마|엄마의 역할은 너무 크다|엄마의 고립감|여성은 모성 을 주체하지 못한다?|모녀 문제의 시대적 배경|강고한 일본의 가족주의|가사 의 외부화|대담을 마치고 감사의 말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딸들만 아는 ‘엄마’라는 고민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3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