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_ 메갈리아 신드롬, 어떻게 볼 것인가 1부.메갈리아 신화를 넘어서 1장_다르면서도 비슷한 일베와 메갈리아 일베의 부침 | 메갈리아의 건국신화 | 메갈리아는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았다 | 메르스 신화는 없다 | 서로를 거울에 비추는 일베와 메갈리아 2장_사이버폭력과 메갈리아의 사건사고 묻지 마 폭력과 이유를 갖다붙인 폭력 | 사례 연구: 인터넷 마녀사냥 | 메갈리아/워마드의 사건사고 2부. 혐오의 시대와 돌팔이 의사 3장_사람들은 왜 인터넷에서 평소와 다르게 행동할까 위기에 처한 인터넷 공론장 | 인터넷과 환경권력 | 전쟁터로 변해가는 인터넷 | 메갈리아에 대한 슬픈 짝사랑 4장_인권 담론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남녀관계가 자신에게 불공정거래라 생각하는 젊은이들 | 또래문화의 단절과 뒷담화의 공동체 | 문제 해결 능력이 없는 사람은 죄책감을 강요한다 5장_충격요법은 효과가 없다 충격요법을 애용한 돌팔이 의사들 | 왜 언론은 강남역 살인사건 때 통계를 소홀히 보았을까 | 공감 능력을 도구화하는 세상 6장_혐오의 시대에서 살아남기 메갈리아/워마드를 둘러싸고 인터넷에서 대논쟁이 일다 | 진보진영 일부가 메갈리아를 옹호하다 | 냉소주의자에게는 약도 없다 | 혐오 발언에 대한 모니터링과 규제 장치를 마련하자 | 더 나은 대안은 현명한 독자들의 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