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대한민국 B급 문화의 유쾌한 기록! 그 시절 그 시간을 채운 즐거움에 대하여 “이 책은 내 유소년기의 문화적 경험에 대한 기록이다. 그 기록은 거의 전적으로 기억에 의존하고 있고 당연히 불완전할 수밖에 없다. 내 모든 기억 은, 누구나 그렇듯이 단편적이고 파편화되어있다. 그것들은 어느 순간 불쑥 현재의 내 시간 속에 뛰어들어 지금의 나를 제멋대로 잡아먹곤 한다. 나이 먹을수록 가까운 기억은 빨리 사라지고 오래된 기억만이 선명하게 남는다는 얘기가 있다. 가까운 시점의 기억이 빨리 사라지는 건 틀림없지만 그렇다고 오래된 기억이 선명하게 남는 것 같지는 않다. 기억은 대체로 흐릿하고, 빛바랜 사진마냥 아련하다. 그 속에 선명한 부분이 남아 있다면 그것은 기억 자체가 아니라 지금의 내 욕망이 나도 모르게 과거의 한 부분에 투사된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 기억의 진실성을 결코 그대로 믿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그럼에도 부정할 수 없는 건 사람은 기억하는 만큼 산다는 사실이다. 기억은 과거의 것일 뿐 아니라 지금 나 자신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것이기도 하다. 이 책은 내 기억 속으로 나를 찾아 떠난 여행기다.” - 본문 중에서 응답하라! 6070 《나의 문화편력기》는 대중문화평론가이자 대중문화연구가인 김창남이 오랜만에 선보인 책으로, 개인의 문화적 경험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다. 유년기에서 사춘기를 거치며 청소년으로, 다시 청년으로 성장하면서 겪은 문화적 편력에 대한 기록이다. ‘춘천’이라는 지방 소도시에서 유년을 보내면서 특유의 감수성과 문화적 취향을 완성하고, 문화에 대한 욕망을 가진 저자만의 특수한 경험 프리즘을 통해 그 당시 세대의 ‘작은 역사’라 칭할 수 있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여기서 ‘작은 역사’의 주 무대는 6, 70년대로 박정희 시대, 산업화 시대, 조국 근대화 시대 그리고 냉전 시대 등으로 불리는 바로 그 시절이다. 다양한 문화적 경험을 통한 문화 감성의 성장 《나의 문화편력기》는 70년대 후반에서 90년대 초반에 대학을 거친 세대가 경험한 소위 ‘운동권문화’, ‘민중문화’라 불리는 미디어와 시장을 지배하는 문화 경험 중에서 ‘대중문화’에 관한 것만을 다루고 있다. 영화와 드라마들은 어떤 식으로든 개인 안에 흔적을 남긴다. 또한 각자가 생각하고 느끼고 바라보는 것들은 대부분 그 시절에 형성된 어떤 원형의 감성에 기대고 있다. 아마도 그것은 비슷한 시대를 살며 비슷한 경험을 해 온 많은 사람들이 함께 가지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개인이 자라며 영향 받은 책과 만화, 영화와 드라마, 음악을 기억 속에서 끄집어내 살펴보는 것은, 말하자면 세대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감성의 원형질을 재구성하면서 그 내면 풍경의 한 구석을 헤집어 들여다보는 일이라고 할 것이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유년 시절 유행하던 《어깨동무》, 《소년중앙》, 《새소년》과 같은 어린이 잡지부터 《선데이 서울》같은 성인 잡지, 고우영의《대야망》, 임창의《땡이와 영화감독》에서 《김일성의 침실》, 《세기의 간첩 마타하리》, 《꿀단지》, 김일의 레슬링, <웃으면 복이 와요>, <로하이드>, <보난자>, <월하의 공동묘지> 와 최희준, 배호, 김민기, 신중현, 김추자 등 책과 영화, TV 프로그램과 대중음악에 이르기까지 각 분야의 다양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세대와 세대의 공유와 공감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앞부분은 대체로 초등학교 입학을 전후한 60년대 중반 정도에서 중학교에 입학한 72년 전후 기간의 기억들이고, 뒷부분은 중학교에서 고등학교에 이르는 시기, 사춘기를 겪으며 청소년으로 성장한 시기의 기억들이다. 앞부분의 프롤로그에는 그 시절 저자가 자란 지방 소도시의 환경과 일상적 삶에 대해, 뒷부분의 에필로그에는 70년대 말에서 80년대 초까지 대학을 다니며 사고와 감성의 변화를 겪었던 과정에 대해 간략히 정리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세대와 세대의 공유하고 과거를 추억하며 재미를 느낄 수 있게 하였고, 의식과 감성의 이해와 공감이 가능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