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원격전송
2장 기계와 은유
3장 정보는 물질적이다
4장 양자와 컴퓨터
5장 계산하는 세포
6장 뇌의 계산
7장 의식과 복잡성
8장 정보수집사용계
9장 양자 실체
10장 블랙홀로부터 초물질까지
11장 마술적인 신비의 이론
12장 비트와 진자
후주
용어해설
참고문헌
찾아보기
정보물리학 입문서. 우주의 본질을 해독하는 열쇠를 '정보'에서 찾는 현대 물리학의 최신 흐름을 소개했다. '정보', '컴퓨터' 개념을 중심으로 양자역학에서 M이론까지 다뤘다. 미국의 과학 저널리스트 톰 지그프리트가 천재들의 모임인 멘사(MENSA)에서 강연한 내용을 토대로 정리한 것이다. 지은이는 우주가 어떻게 운행하는지에 대해서 관련 과학자들과 얘기를 나누던 중 우주가 마치 컴퓨터처럼 운행한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음을 깨달았다. 우주의 모든 것은 정보로 이루어졌고, 컴퓨터는 단지 정보처리 기계가 아니라는 인식에 기반해 지은이는 다음과 같이 이 책의 집필 방향을 정했다. "첫째, 정보를 모든 실체의 근원으로 보며, 둘째, 컴퓨터는 그것을 구체화시키는 수단으로 본다. 그리하여 첫번째 관점은 휠러의 "It from Bit"라는 경구적 표현, 두 번째 관점은 "정보의 삭제에는 에너지의 소산이 필요하다"라는 란다우어의 법칙을 토대로 전개해가고, 마지막 장에서는 그 전체를 집약한다." (p.11) 이와 비숫한 맥락에서 나온 현대물리학의 새 이론이 '복잡성 과학(Science of Complexity)이다. 그밖에도 정보 처리의 관점에서 물리학과 우주과학의 성과를 되돌아보는 시도는 계속되고 있다. <우주 또 하나의 컴퓨터>는 물리학의 첨단에서 논의되고 있는 이 복잡성 과학과 정보물리학, 컴퓨터가 인간의 삶에 끼치는 영향력을 다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