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미셸 투르니에 · 소설
390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3.7(307명)
0.5
4
5
평가하기
3.7
평균 별점
(307명)

프랑스 현대문학의 거장 미셸 투르니에의 대표작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이 재출간됐다. 번역자 김화영 교수의 재검토와 교정과정을 거쳤으며, 오역을 바로잡고 작가 연보를 추가하여 독자의 이해를 도왔다. 이 책은 대니얼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를 뒤집어 다시 쓴 소설이다.18세기 계몽주의 시대의 한 우화로, 진취적인 용기와 독립심, 개척정신과 청교도주의 등 영국적 가치관의 승리를 그려낸 <로빈슨 크루소>. 투르니에는 이 소설을 읽고 큰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내가 볼 때 1719년에 나온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에는 두 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우선 그 소설에는 방드르디(프라이데이)가 있으나 마나 한 존재로 취급되고 있어요. 그는 단순히 빈 그릇일 뿐이지요. 진리는 오로지 로빈슨의 입에서만 나옵니다. 그가 백인이고 서양인이고 영국인이고 기독교인이기 때문입니다. 디포의 소설에서 발견되는 두 번째 문제점은 모든 것이 회고적인 시각에서 처리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섬에 혼자 던져진 로빈슨이 골똘하게 생각하는 것은 오직 한 가지 뿐입니다. 그는 당장 구할 수 있는 것들만을 가지고 과거의 영국을 재현하고자 합니다. 즉 그는 난파한 배의 표류물을 주워 모아 섬 안에 작은 영국 식민지를 또 하나 만들어놓으려는 것입니다." 이 작품에서는 로빈슨 크루소가 아닌 원주민 방드르디가 전면에 나선다. '방드르디'는 '금요일'을 뜻하는 프랑스어. <로빈슨 크루소의 모험>에서 로빈슨 크루소가 우연히 만난 야만인에게 '프라이데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듯이, 이 책 속의 로빈슨은 '방드르디'라는 이름을 붙여준다. 하지만 이후에 전개되는 이야기는 디포의 원작과는 판이하게 다르다. 방드르디는 크루소가 섬에 만들어낸 '또 하나의 완벽한 유럽문명'에 감화받기는 커녕 크루소에 대한 반항심만 키운다. 결국 그는 크루소가 애써 재현해낸 문명의 이기들을 깡그리 없애버린다. 그 후, 놀랍게도 두 사람은 '야성적인 삶의 방식'을 배우게 된다. 크루소는 방드르디가 가르쳐 주는 대로 아무도 봐주는 사람 없는 옷을 벗어던지고, 거추장한 물건을 만들지 않고, 자연과 섬이 베풀어주는 야생의 양식들만을 먹으면서 자유롭게 즐기기 시작한다. 책은 인간의 문명, 뿌리깊은 관습, 진정한 자유로움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한다.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별점 그래프
평균3.7(307명)
0.5
4
5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저자/역자

코멘트

20+

목차

프롤로그 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제5장 제6장 제7장 제8장 제9장 제10장 제11장 제12장 작품 해설 / 김화영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의 신화적 해석 작가 연보 참고 문헌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26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