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 이순신을 경제전문가로 재조명한 책
프롤로그 | 이순신을 보는 새로운 시각
제1부. 이순신 7년전쟁의 중심에 서다
1장. 7년전쟁의 재구성
01_‘통보된 기습’, 1592년 4월 13일 부산포
02_‘정보의 빈곤’, 바다를 버린 대가
03_도요토미의 실수, 일본의 착각
04_2단계 전쟁 - 일본, 수륙병진을 시도하다
05_침략군의 비극 “조선 수군을 몰랐다”
2장. 이순신과 한산대첩
01_제법 용맹하나 국량은 부족한 장수, 원균
02_주도면밀한 선비형 무장, 이순신
03_‘조선의 살라미스’ 내량과 한산바다
>> 한산대첩의 숨은 공로자, 김천손
04_한산대첩의 숨겨진 진상’
3장. 원균의 역설’, 이순신 삼도수군통제사 취임하다
01_이순신과 원균의 갈등, 불화
02_이순신 함대의 한산도 이진
03_제2차 진주성 전투와 수군통제사직 신설
제2부. 한산수국에서 경제기반을 확립하다
1장. 한산수국의 ‘건국’- 영역확보와 해변의 대개간
01_경제적 자립의 필요성
02_수군 군정체제 수립 - 수국의 영역을 확보하다
03_둔전책- 버려진 땅을 일궈 백성과 군사를 먹이다
>> 둔전 개간과 조정의 반응
2장. 한산수국의 경제전쟁 - 말업을 키워 전쟁비용을 조달하다
01_‘바다 농사’를 본격화하다
> 물고기 잡이
> 해조류 채취
> 소금을 굽다
02_ 국내외 해상무역에 나서다
>> 유성룡의 중강 개시와 ‘이순신의 대외무역 개설’
03_ 공업 생산력을 확충하다
> 전선건조 박차
> 무기생산 확대
> 종이?의류?가죽 등 민수품 생산
3장. 한산수국 독자행보 3년 6개월
01_강력한 인재풀을 갖추다
> 수군 독자 무과의 실시
> 인재 확보 주력
> 부정?무능한 인재 축출
02_독자적 상벌체제를 확립하다
03_한산수국, ‘조선의 3분의 1’
제3부. 1597년 이순신, 역사의 전면에 서다
1장. 정유재란과 한산수국의 붕괴
01_선조, 이순신을 불신하다
02_조정과 일본군의 ‘이순신 죽이기’ 공모
03_체포당하는 이순신, 한산수국의 몰락
04_백의종군하며 재기를 준비하다
2장. 청해진 옛터에서 수국을 재건하다
01_원균의 몰락과 이순신의 재기
02_‘기적의 싸움’ 명량대첩
03_보화도에 기지를 건설하다
04_‘제2의 수국’ 고금도 군영
3장. 정치적 도약 - 이순신, 대명 수군도독에 제수되다
01_인재들의 운집
02_이순신, 명군의 신망을 얻다
03_이순신, 명나라 수군도독에 오르다
04_대명 수군도독, 이순신의 ‘꿈’
제4부. 이순신은 죽고, 조선은 살아남다
1장. 이순신의 죽음과 수국의 체제 편입
01_이순신 ‘도독’ 제수와 조정의 불안감 증폭
02_머리 좋은 선조의 ‘자객 활용론’
03_수수께끼의 인물 ‘손문욱’
04_홀중비환, ‘문득 날아든 탄환에 맞다’
05_임금의 승리, ‘수국’의 체제 편입
2장. 수국의 계승 - ‘해변의 총독부’ 삼도수군통제영
01_종전 후 최대 논쟁 - 해방 본영의 위치 선정
02_두룡포에 통제영을 건설하다
03_통제사, ‘해상 총독’으로 격상되다
04_‘3만 6,009명의 장졸과 548 함대’의 병권을 쥐다
|책속의 책| 바다를 버린 나라, 조선
01. 포상팔국에서 삼별초까지-한반도 해상왕국의 전설
02. 공도정책과 해금령
03. 기말이반본 - 이데올로기가 된 해변 천시
04. 조선은 왜 대마도를 지키지 못했나?
05. “해변은 2등 백성의 땅”
에필로그 | 이순신 수국 프로젝트의 현재적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