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출판사 제공 책 소개
2005년 『시와 반시』에 시, 2010년 『창비어린이』에 동시를 발표하며 ‘감각적 이미지스트’라는 평을 받은 김개미 시인의 세 번째 시집 『악마는 어디서 게으름을 피우는가』(걷는사람)가 출간되었다. 김개미의 시는 현실과 환상, 그 어딘가를 맴돌며 서늘한 분위기로 발화한다. “숲 가장자리에서”(「춤추는 자는 노래하지 않는다」) 존재하는 화자는 “외롭고 답답하”며 “흉측하고 너덜너덜하다”(「좀비가」). 화자를 고립시킨 것은 다름 아닌 사랑이다. “너를 너무 사랑”했다는 시인의 말처럼, 사랑은 그의 아침을 갈기갈기 찢어버리고, 한 방울씩 녹아 사라지게 하고, 어두울수록 희망적이게 만든다. 시인은 이러한 사랑의 연가를 ‘악마’ ‘인형’ 그리고 ‘기다림’이라는 키워드로 천착한다. 화자가 말하는 이 지독한 사랑을 한 단락씩 살펴보자. 김개미 시인에게 악마란 혼자 오래 있다보면 목소리가 들리는, 원하는 게 많은 존재이다. 게으름을 피우느라 남은 젊음을 가져가지 않으며, 그러면서도 영화처럼 사랑에 빠지기를 바라는, 사랑을 저버리기로 결심한 날의 아침에 찾아와 함께 노는 존재. 악마는 시인을 사랑이라는 환상에 빠트려버린 원망의 대상이기도 하고 숨 막히는 현실에서 탈출시켜주길 바라는 구원의 대상이기도 하다. 시인은 그런 그를 탓하면서도 어느새 동화되어 함께 시간을 보낸다. 마치 그가 연인이라는 관계 속 상대방이자 당사자라도 되는 것처럼. 인형은 눈에 이끼가 덮이고, 납작하게 밟혀 팔다리를 잃은, 말하지 않고 걷지 않고 화내지 않고 아파하지 않고 살아나지 않는 존재로 시집 속에 등장한다. 그런 인형을 두고 김개미 시인은 기꺼이 본인이 그의 할 일을 하겠다고 말한다. “상처받은 날도 웃을 일은 있어야”(「인형을 위한 시」) 하기 때문일까. 그게 아니면 시인은 이미 “행복한지는 잘 모르겠어. 그런 말은 사용하지 않아. 말할 수 있는 건 오늘은 숨이 찰 거라는 것.”(「인형에게서 온 편지」) 같은 기분을 느껴서일까. “나는 암사마귀처럼 오랫동안/너를 기다렸던 것 같아/너와 헤어지고 나서도 오랫동안/너를 기다렸던 것 같아/아픈 동안에는 더 기다렸던 것 같아 (중략) 한낮이면 햇빛에 녹아 사라지다 / 저녁이면 바람의 힘으로 단단해지곤 했던 것 같아/눈을 뜨고 있으면 보이지 않고/눈을 감으면 보이는 시간들이 있었던 것 같아 (중략) 할 일을 생각해낼 수 없는 날도 있었던 것 같아/게으르지 않지만 일할 수 없는 날들이/여러 날 있었던 것 같아“(「나는 암사마귀처럼」). 화자는 숲 가장자리에서 악마를 부르짖고 인형의 일을 하며 대답 없는 ‘너’를 기다린다. “나는 너를 기다리지/그게 나의 일/여기선 그 일밖에 없어”(「네가 나를 탄생시켰으니」). ‘너’에 대한 기다림은 기약이 없기 때문에 ‘나’에 대한 기다림으로 확장된다. “일부의 내가 가서/일부의 나를 기다리는”(「시인의 창세」) 그 기다림의 세계는 한없이 넓어져서 세상을 조망한다. “내 눈엔 그런 것만 보인다. 모두 무엇인가를 기다린다.”(「사천」). ”지옥이란 죽어서 가는 특별한 곳이 아니라/길을 잃었을 때 누구나 들어서는 곳“ (「조난」)이기 때문일까, 아니면 화자 또한 죽음 또는 그에 준하는 고통을 겪었기 때문일까. ”나도 오빠처럼/죽었다가 살아난 아이잖아/죽은 채로 살아가는 아이잖아“(「안산 오빠」). 김개미 시인은 절망 속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몸부림치지 않는다. 오히려 담담한 어투로 체념하고, 그 속에서 자신의 할 일을 찾는다. 이것이 기꺼이 악마의 이름을 외칠 수 있는 이유이자 명분이다. “사람들은 나더러 왜 울지 않느냐고 한다. 나는 묻고 싶다. 울지 않는 사람이 어디 있어? 당신들 앞에서 울지 않을 뿐이지.”(「사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