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

정용준
96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1(55명)
0.5
3
5
평가하기
3.1
평균 별점
(55명)
코멘트
더보기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

2030세대를 대표하는 소설가와 일러스트레이터의 단편 소설 시리즈 '테이크아웃'의 열여덟 번째 이야기는 정용준과 무나씨가 전하는 <이코>이다. 인간의 몸과 병 그리고 한계에 질문을 던지는 작가 정용준은 틱 장애를 가지고 자신과 세상을 신뢰하지 못한 채 숨어 말의 문을 닫아 버린 청년의 가난한 사랑의 노래를 그리고 있다. 무나씨는 서로의 존재를 온전히 인식하고 그 말에 집중하려는 존재들의 운명적인 연결을 강력하고 아름다운 검은색과 그 사이에서 소중하게 빛나는 노랑으로 비추고 있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별점 그래프
평균 3.1(55명)
0.5
3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저자/역자

코멘트

4

목차

이코 09 작가 인터뷰 79

출판사 제공 책 소개

<테이크아웃> 시리즈 동시대 젊은 작가들의 참신한 이야기에 몰입하는 기쁨 그들이 구축한 촘촘한 이야기의 세계를 <테이크아웃>으로 나눈다 미메시스는 2018년 6월부터 2030세대를 대표하는 소설가와 일러스트레이터의 단편 소설 시리즈 <테이크아웃>을 출간한다. 2018년 하반기부터 2018년 12월까지 매달 2-3종, 총 20종을 발행했다. 이야기의 순수한 즐거움을 전달하고자, 독특한 발상과 상상력으로 자신만의 이야기 세계를 구축해 가는 젊은 소설가 20명을 선정했고, 이들의 단편 소설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이미지로서 대중과 성실히 소통하는 일러스트레이터 20명을 매치해 새로운 이미지를 탄생시켰다. 누구나 부담 없이 공평하게 즐길 수 있는 매체인 <이야기>는 무한히 확장될 수 있으며 누구든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자신만의 것을 지어 갈 수도 있다. 미메시스는 본 시리즈로 이러한 이야기의 훌륭한 습성을 작고 간편한 꼴 안에 담아 일상의 틈이 생기는 곳이면 어디든 <테이크아웃>하여 독자들이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젊은 크리에이터들이 즐기는 각기 다른 모양의 <이야기>를 통해 일상의 기쁨이 전달되길 바란다. 테이크아웃은 단편 소설과 일러스트를 함께 소개하는 미메시스의 문학 시리즈입니다. 01 섬의 애슐리 정세랑×한예롤 02 춤추는 사신 배명훈×노상호 03 우리집 강아지 김학찬×권신홍 04 밤이 아홉이라도 전석순×훗한나 05 우리는 사랑했다 강화길×키미앤일이 06 정선 최은미×최지욱 07 뷰티-풀 박민정×유지현 08 부산 이후부터 황현진×신모래 09 사랑하는 토끼 머리에게 오한기×이소냐 10 비상문 최진영×변영근 11 몫 최은영×손은경 12 문학의 새로운 세대 손아람×성립 13 팬텀 이미지 정지돈×최지수 14 끓인 콩의 도시에서 한유주×오혜진 15 목견 임현×김혜리 16 꿈은, 미니멀리즘 은모든×아방 17 목격 김엄지×람한 18 이코 정용준×무나씨 19 부케를 발견했다 최정화×이빈소연 20 아무도 없는 숲 김이환×박혜미 스스로를 미워하는 것 외에 달리 살 방법이 없는 존재들의 이야기 2030세대를 대표하는 소설가와 일러스트레이터의 단편 소설 시리즈 '테이크아웃'의 열여덟 번째 이야기는 정용준과 무나씨가 전하는 「이코」이다. 인간의 몸과 병 그리고 한계에 질문을 던지는 작가 정용준은 틱 장애를 가지고 자신과 세상을 신뢰하지 못한 채 숨어 말의 문을 닫아 버린 청년의 가난한 사랑의 노래를 그리고 있다. 무나씨는 서로의 존재를 온전히 인식하고 그 말에 집중하려는 존재들의 운명적인 연결을 강력하고 아름다운 검은색과 그 사이에서 소중하게 빛나는 노랑으로 비추고 있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3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