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스 과학

나탈리 앤지어님 외 1명
904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3.4
평균 별점
(4명)
코멘트
더보기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

지난 100년 이상 과학 뉴스의 등대 역할을 한 《뉴욕타임스》의 과학 기사 중 125개를 엄선해 묶었다. 13년 동안 《뉴욕타임스》의 과학 섹션 <사이언스타임스>의 편집장으로 일한 데이비드 코코런이 천문학, 수학, 물리학, 지구과학, 생물학, 의학 등 13개의 분야로 나눠 신중하게 고른 기사들로, 지난 한 세기 동안 과학계에서 주목받은 발견, 실패, 수수께끼를 폭넓게 다루고 있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저자/역자

코멘트

1

목차

추천사 …… 데이비드 그린 006 서문 …… 데이비드 코코런 011 chapter 01 고고학: 문명의 재발견 3,400년 만에 세상에 드러난 투탕카멘왕의 내부 무덤 …… 024 고고학자들, 고대로 가는 문을 열다 …… R. L. 뒤퍼스 035 한 과학자가 우연히 유물의 연대 측정법을 발견하다 …… 045 1607년 건설된 미국의 ‘발생지’ 제임스타운 요새 발견 …… 존 노블 윌포드 049 주차장 지하에서 발견된 유골, 리처드 3세로 밝혀지다 …… 존 F. 번스 055 chapter 02 천문학: 시간과 별의 학문 르메트르 신부, 별이 갑자기 탄생했다고 주장하다 …… 월데머 캠퍼트 062 천문학자들이 시간을 되돌려 관찰하면서 은하계의 탄생을 훔쳐보다 …… 존 노블 윌포드 069 빅뱅 전에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 …… 데니스 오버바이 079 화성의 위성 …… 083 새로운 태양 이론 …… 085 화성에 있는 운하가 ‘착시’로 밝혀지다 …… 088 바이킹 로봇 화성에 안착 돌투성이 평원 사진 전송 …… 존 노블 윌포드 093 명왕성은 뉴욕에서만 행성이 아니다 …… 케네스 창 103 화성의 단서를 찾는 큐리오시티 탐사로봇 …… 케네스 창 109 하버드 천문학자의 계산 결과 우주의 크기가 1,000배로 커지다 …… 116 새로운 5미터짜리 눈으로 인류는 무엇을 보게 될까? …… 제임스 H. 진스 118 이론이 맞는다면, 우주 질량의 대부분은 여전히 ‘미지의 상태’다 …… 윌리엄 J. 브로드 129 허블망원경의 성능이 개선되다 …… 존 노블 윌포드 137 천문학자들이 진귀한 초신성 폭발 장면을 보고 즐거워하다 …… 맬컴 W. 브라운 143 세상의 종말 …… 데니스 오버바이 148 멀리 있는 ‘적당한’ 행성을 추적하다 …… 데니스 오버바이 160 chapter 03 생물학: 생명의 메커니즘 생명은 과학자의 시험관에서 태어난다 …… 윌리엄 L. 로렌스 172 유전화학의 실마리 …… 178 50년 후, 로절린드 프랭클린이 찍은 X선 사진이 논란이 되다 …… 데니스 그래디 182 영국 과학자들, 사상 최초의 포유류 성체 복제에 성공 …… 지나 콜라타 187 두 개체의 성적 행위가 유전자에 각인되다 …… 니콜라스 웨이드 195 나의 유전체, 그리고 나 자신: DNA 속 단서를 찾아서 …… 에이미 하먼 204 새로운 생식 기술 논란 …… 사브리나 태버나이즈 211 chapter 04 지구과학: 판, 극지방, 그리고 바다 얼음에 덮인 그린란드에서 대륙이동설을 시험하다 …… 쿠르트 베게너 218 미국 위성, 방사선 장벽 발견 …… 존 W. 피니 226 산의 생성이 바다와 연관된 것으로 밝혀지다 …… 월터 설리번 231 워싱턴에 저장된 샌프란시스코 지진 기록 …… 237 세인트헬렌스산 폭발, 과학자들이 마침내 원인을 명확히 밝히다 …… 월터 설리번 240 첩첩산중인 뉴올리언스 홍수 대책 문제 …… 존 노드하이머 248 전혀 예측할 수 없는 지진에 좌절한 지진학자들 …… 샌드라 블레이크슬리 255 지진이 일어났을 때 흔들리는 다리를 건설하다 …… 헨리 파운틴 261 허리케인 ‘샌디’의 여파: 해안 마을 지원에 필요한 비용 …… 코넬리아 딘 268 chapter 05 환경: 삶에 대한 도전 1,300년에 걸친 나무의 인생 …… 276 유독물질이 우리를 둘러싸고 있다: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 서평 …… 로러스와 마저리 밀른 285 실험을 통해 분무제가 지구에 위협이 될 수 있음이 밝혀지다 …… 월터 설리번 292 위험에 빠진 서부 …… 298 세상의 모든 낙엽 밑에 있는 무시무시한 야생의 세계 …… 제임스 고먼 302 점점 커지고 있는 바다의 쓰레기 섬 …… 린지 호쇼 310 얼음이 녹아내리는 북극 …… 월데머 캠퍼트 000 따뜻해지는 북극, 녹아내리는 빙하, 상승하는 해수면 …… 글래드윈 힐 317 실제 변하고 있는 기후 …… 레너드 엥겔 319 지구 온난화는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한 탓일지도 모른다 …… 월데머 캠퍼트 328 교토에서 온실가스 감축에 합의 …… 윌리엄 K. 스티븐스 332 chapter 06 탐험: 여기, 그리고 저 밖에 있는 신세계 나일강의 수원을 찾은 탐험가 …… 338 피어리, 23년에 걸친 여덟 번의 도전 끝에 북극점에 도달하다 …… 342 쿡 박사가 북극 탐험에 관한 《뉴욕타임스》의 질문에 답하다 …… 348 북극 사기꾼과 그 추종자들 …… 존 티어니 356 아문센이 남극 탐험에 관해 설명하다 …… 362 데이비 존스의 상자 속으로 내려가다 …… 윌리엄 비브 369 심해로의 여행: 어둠, 황금 그리고 고지라 …… 윌리엄 J. 브로드 382 소련, 우주로 인공위성 발사 …… 윌리엄 J. 조든 395 미국 위성은 “정상 작동 중” …… 존 W. 피니 400 러시아인이 지구를 한 바퀴 돌면서 우주선 창밖으로 지구를 관찰하다 …… 오스굿 카루더스 407 글렌 중령이 무사히 지구를 세 바퀴 돌다 …… 리처드 윗킨 414 인간, 달 위를 걷다 …… 존 노블 윌포드 427 달 착륙을 기념하는 시를 수정하기 위해 대기하다 …… A. M. 로젠탈 441 달을 향한 여정 …… 아치볼드 매클리시 445 우주 왕복선 컬럼비아호 첫 비행에서 궤도에 진입 …… 존 노블 윌포드 448 우주 왕복선 챌린저호 폭발 …… 윌리엄 J. 브로드 456 chapter 07 지구의 생명체: 생물학, 고생물학, 동물학 찰스 다윈의 『자연선택에 의한 종의 기원, 또는 생존경쟁에서 선호되는 종의 보존에 관하여』에 대한 서평 …… 468 인간은 진보한 원숭이에 불과한가? …… 482 최초로 새로운 종의 탄생을 재현하다 …… 캐롤 계숙 윤 486 떠버리 유전자를 상속받다 …… 모린 다우드 494 진화의 춤, 혹은 예술은 어떻게 시작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뉴욕타임스》 기록 보관소에서 엄선된 최고의 과학 기사들 《뉴욕타임스》는 지난 100년 이상 과학 뉴스 보도의 최전선에 있었다. 이미 1970년대에 미국 신문사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인 10명의 과학 및 의학 기자가 있었고, 그 권위 또한 인정받았다. 1978년에는 미국 언론 최초의 과학 전문 섹션 <사이언스타임스>를 만들어 과학과 대중의 접점을 만드는 데 열중했다. 이 책은 이렇게 그 어떤 언론보다도 과학 보도에 심혈을 기울였던 《뉴욕타임스》가 꼼꼼하게 기록한 근현대 과학의 발자취를 다루고 있다. 13년 동안 <사이언스타임스>의 편집장으로 일한 데이비드 코코런이 1860년부터 2015년까지 과학계가 주목한 발견, 탐구, 질문은 물론 도전과 좌절을 담은 기사 125개를 엄선해 묶었다. 13개의 키워드(고고학, 천문학, 생물학, 지구과학, 환경, 탐험, 지구의 생명체, 수학, 의학, 신경과학, 과학과 과학자, 물리학, 과학기술)로 분류된 기사는 지적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하는 한편, 놀라운 통찰로 가득하다. 다윈의 『종의 기원』에 관한 문학적이면서도 날카로운 장문의 서평(1860), 뢴트겐선 발견과 그에 따른 사진가들의 논평(1896), 아인슈타인이 자신의 이론을 직접 설명하는 인상적인 인터뷰(1919), 살바르산 개발(1910), 페니실린의 활약(1944) 같은 근현대 과학사의 주요 사건을 다룬 기사는 물론이거니와 지질학자와 기후 전문가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지구 온난화의 대두와 경과, 그리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일련의 흐름(1934~1997), 냉전 시대 미국과 소련의 우주 탐사를 둘러싼 생생한 경쟁(1961~1962), 컴퓨터를 이용해 인간과 대화하는 침팬지(1974), 초기 은하 관찰(1998), 뇌의 사고 능력 대부분을 담당하는 뉴런인 회색질과 성별 문제(2005), 유전자에 각인되는 성적 취향(2007), 위대한 무명 수학자 에미 뇌터(2012), HIV와 인종의 관계에 관한 사회학적 고찰(2013), 대규모 항암제 임상시험과 그에 따른 희비의 교차(2015) 등 현대 과학의 발전과 진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사들이 대거 실려 있다. 150년이란 물리적 시간을 뛰어넘는 유익하고 광범위한 주제의 과학 기사를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과학이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 학문인지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다. 과학과 대중의 접점을 만드는 데 열중한 《뉴욕타임스》만의 과학 저널리즘이 만든 특별한 과학사科學史로도 손색없는 이 책은, 과학은 어려운 학문이라는 오해를 걷어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부담 없는 과학 입문서를 찾는 독자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2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