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출판사 제공 책 소개

한국 현대시의 최전선에서 울려퍼지는 죽음과 부활, 희생과 구원의 서사 여기, 세상의 모든 것에 관해서 말하는 단 한 편의 시가 있다! 독창적인 상상적 언술의 최극단으로 한국 현대시의 미학을 끊임없이 갱신해온 시인 김혜순이 열한번째 시집 『피어라 돼지』(문학과지성 시인선 480, 문학과지성사, 2016)를 출간했다. 미당문학상(제6회, 2008)과 대산문학상(제16회, 2008)을 수상한 『당신의 첫』(2008)에서 강렬한 이미지와 메시지를 한데 추동하는 장시 「맨홀 인류」를 수록한 『슬픔치약 거울크림』(2011)에 이르기까지, 김혜순의 시 세계는 시적 화자 스스로 몸이 부서지고 변화하며 격렬한 이미지의 연쇄를 이끌어내는 동시에 몸서리치는 파동으로서의 몸-리듬 혹은 몸-소리라는 새로운 시-언어를 발견/발명하는 데 전력을 다해왔다. 김혜순의 시를 통해 우리는 산/죽은 채로 남성 중심의 지배적 상징질서의 역사가 휘둘러온 폭력에 맞서는 ‘모래 여자’의 몸-비명을 들었고, 악취로 진동하는 ‘전 세계의 쓰레기와 쥐들’이 투척된 구멍 속에서 분출하는 ‘맨홀 인류’의 탄생을 목격할 수 있었다. 이렇게, 관습적으로 해석돼온 한국 여성시의 풍경과 문법을 비틀고 타파한 이가 김혜순이며, 그리하여 김혜순의 시는 1980년대 이후 한국 시에서 강력한 미학적 동력으로 자리매김했다. “김혜순이라는 이름은 하나의 시학이며, 김혜순 시학은 하나의 공화국”으로서, “동시대의 여성 시인들이 김혜순 공화국의 시민이었으며, 특히 2000년대 젊은 시인들의 언술 방식과 김혜순 시학의 상관성은 더욱 긴밀”(이광호, 문학평론가)하다고 말해지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멈추지 않는 상상적 에너지로 좀처럼 자기 반복이라곤 허용하지 않는 놀라운 집중력을 발휘하며 매번 다른 목소리를 내온 김혜순은 이번 시집에서 “세상의 모든 약한 존재자들을, 죽음과 부활을, 사랑과 욕망을, 성과 식(食)을 제 몸에 구현한 ‘다면체-돼지”(권혁웅, 문학평론가)의 몸과 입을 빌려 우리가 발 딛고 선 이 땅, 이 세계의 부패와 폭력, 비참과 오욕의 현실을 거침없이 비판한다. “붉은 물감처럼, 세계를 핏빛으로 물들이는 돼지들의, 돼지들을 위한, 돼지들에 의한 장엄한 비창”(조재룡, 문학평론가)으로서, 시집 『피어라 돼지』는 허섭스레기처럼 너덜너덜해진 우리 삶과 사회를 때로는 조롱과 유머로, 때로는 격렬한 아픔으로 통과하며 “시를 가동”한다. 언어 안에서 핏빛으로 산파되는 오늘의 시적 사건 “돼지는 말한다 ― qqqq 돼지라서 괜찮아” 2011년 초 우리는 한동안, 좀처럼 잊히지 않는 보도사진을 목격해야 했다. 연일 수십 수백만 마리의 돼지들이 구제역으로 무더기로 생매장되는, 말 그대로의 살풍경한 현실과 함께였다. 시집의 1부에 놓인 장시 「돼지라서 괜찮아」는 총 15편의 연작시를 한데 꿰어, 이 어처구니없고 그로테스크한 ‘돼지 판 홀로코스트’를 피비린내 진동하는 언어로 그리고 있다. 훔치지도 않았는데 죽어야 한다 죽이지도 않았는데 죽어야 한다 재판도 없이 매질도 없이 구덩이로 파묻혀 들어가야 한다 [……] 무덤 속에서 운다 네 발도 아니고 두 발로 서서 운다 머리에 흙을 쓰고 운다 내가 못 견디는 건 아픈 게 아니에요! 부끄러운 거예요! 무덤 속에서 복부에 육수 찬다 가스도 찬다 무덤 속에서 배가 터진다 무덤 속에서 추한 찌개처럼 끓는다 핏물이 무덤 밖으로 흐른다 비오는 밤 비린 돼지 도깨비불이 번쩍번쩍한다 터진 창자가 무덤을 뚫고 봉분 위로 솟구친다 부활이다! 창자는 살아 있다! 뱀처럼 살아 있다! ―「피어라 돼지」 부분 장시 「돼지라서 괜찮아」의 서시에 해당하는 「돼지는 말한다」에서 “사실 나 돼지거든. 있지, 나 태어날 때부터 돼지였어”라는 화자 ‘나’의 고백을 보자. 매일같이 더러운 물과 미끈거리는 진흙 속에서 잠을 깨는 돼지는 “물컹거리는 슬픔으로 살찐 몸”에서 한 순간도 자유롭지 않다. “돼지더러 돼지를 버리라 닦달”하는 면벽 수행과는 어울리지 않는 시간 속에서 우울과 불안을 거듭하며 “타인의 고통을 먹고 사는” 너-나를 거쳐서(「철근 콘크리트 황제 폐하」), 산채로 구덩이에 처박힐 때까지 “제가 돼지인 줄 모르는 우리나라 돼지들의 교성”에 이르면 ‘돼지-나-너-우리’의 구분은 더는 의미가 없다.(「뒈지는 돼지」) “미래의 어느 날 다큐멘터리”인 줄로만 여겼던, 때리고 두들겨 맞는, 버리고 버림당하는, 파먹고 파먹히는 황폐한 인간사회가 어느 새 우리 앞에 당도해 있다. “영혼이 빠져나간 다음 쇠갈고리에 걸리는” 돼지-나-너-우리는 산 것도 죽은 것도 아닌 매일의 삶에 ‘명복’을 건넬 뿐이다.(「마릴린 먼로」) 나는 당신의 슬픔, 당신의 눈물, 당신의 불안, 당신의 공포, 당신의 장애가 되려고 길러진다. 나 없이 세상에서 제일 심심한 사람이 되고 싶어요? 내가 가끔 물었지만 당신은 나를 당신이 되게 하려고 기른다. 내가 완전이 당신이 되는 날, 예예 주인님 내 염통이 당신에게 가서 인사하는 날을 상상해본다. 그런데 고깃덩어리만 남은 내가 내 얼굴을 알아볼까? 당신은 연두색 형광조끼를 입고 와서 내 사지를 묶어서 질질 끌고 간다. 당신은 내 간, 당신은 내 콩팥, 당신은 내 심장, 당신은 내 눈알, 당신은 내 피부, 간절히 울부짖어도 당신은 내가 당신인 줄로 모르고 나를 끌고 간다. 곤봉으로 가끔 쑤셔대면서 간다. 당신은 돼지 사찰 모독 횡령 고문 협박으로 감옥에 가야 한다. 당신은 나를 이런 암덩어리 하면서 침대보다 작은 우리에 처박는다. ―「돼지에게 돼지가」 부분 모든 것을 품은 단 한 편의 시 “내가 이 세상을 허리에 묶어서 끌고 가는 춤을 추는 중이에요” 돼지는 살아서도 우리 속, 죽어서도 구덩이 안이다. “흙이 얼어붙었다가 녹으면서 한 생”마저 흐물흐물해지고 형상이라곤 조금도 알아볼 수 없게 된 돼지는 죽어서도 사방에서 꿀꿀거린다.(「모욕과 목욕」) “잉크가 묻지 않는 방법을 쓴 글인데/병을 생각하지 않으려고/병상에서 쓴 글인데/불에 달군 몸으로 쓴 글인데”(「글씨가 아프다」) “그런 게 시냐 빳빳이 선 지렁이 같은 시선을 쏘아대는” “군수님 경찰관님 기관장님 앞에서 시 낭독해야” 시인의 처지 또한 치욕스럽긴 마찬가지다. 내 오물을 독자들과 나줄지언정 타인을 위로하고 꾸짖고 금지하고 실현하는 말의 전령이 분명한 시인이 곧 아름다음과 아픔이라는 수난의 역사를 증거하는 “노출증 환자 돼지”에 비견되는 대목이다. 아름다움이란 어려운 것, 버크셔 피고/아픔은 상상의 필수 조건, 요크셔 피그/아름다움을 견디느라 나는 늙고 병들었네, 햄프셔 피고//첼로 없이 산다는 건 죽음 없이 시를 쓰는 시인과 같은 것, 라지 화이트 피그 -「사라진 첼로와 검은 잉크의 고요」 부분 더는 떨어질 수 없는 나락, 더는 비천해질 수 없을 만큼 영혼의 주체성을 빼앗긴 돼지가 인간에 의해 부정당하고 매를 맞고 살이 찢겨 먹힐 때, 우리는 자주 남성에게 착취당하고 폭력에 휘둘리고 철저하게 파괴당하는 여성을 어렵지 않게 떠올린다. 오 더러운 년 간다 두들겨 맞고 간다 오 눈부신 망할 년 간다 도망간다 오 검게 반들거리는 시궁창 같은 년 간다 내뺀다 [……] 누가 돼지를 껴안았다가 뺨을 갈긴다 이 더러운 돼지가 나를 화나게 하잖아 이 더러운 암퇘지가 ―「지뢰에게 붙은 입술」 부분 더럽혀지고 죽임을 당하고 인간의 식탁 위에 오르는 돼지는 그렇게 자신을 희생하여 인간에게 생명을 지속할 에너지를 제공한다. 제 몸을 주는 돼지는 정녕 돼지-여자를 아껴가며 사랑했던 것일까(「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돼지」). 모든 고통의 흔적이 사랑의 표현이 되듯, 죽어 남긴 돼지의 장기는 병든 인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