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어 이론

애너매리 야고스
231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3(59명)
0.5
3.5
4
5
평가하기
3.3
평균 별점
(59명)
코멘트
더보기

저자 애너매리 야고스는 지난 세기동안 진행된 동성 간 사랑의 흥미로운 역사의 한 부분으로서 퀴어를 추적하고 퀴어 이론에 대한 보다 분명하고 명확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 주디스 버틀러와 데이빗 핼퍼린 등 주요 이론가들의 통찰을 조합하면서 퀴어이론의 도전은 이성애와 동성애와 같은 고정된 성적 정체성들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섹슈얼리티, 젠더, 그리고 남성과 여성 등 본질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것들에 대해서 새롭게 사유할 수 있는 방식을 창조해 내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성애를 아무런 질문이 필요없는 본질적이고 정상적인 섹슈얼리티로 등극시키는 것으로 귀결되는 규범적이고 이항대립적인 성적 정체성 담론에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다. 이 책을 읽고 나면 퀴어 이론이 어떻게 진화하였는지 보다 잘 이해하게 될 것이고 참고문헌 목차 또한 이 주제에 대한 읽기 목록을 풍부히 제공해 줄 것이다.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별점 그래프
평균 3.3(59명)
0.5
3.5
4
5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저자/역자

코멘트

5

목차

1 들어가며 2 동성애 욕망 이론화하기 정확히 무엇이 동성애인가? 동성애의 발명 동성애 그리고 이성애 3 동성애 옹호운동 4 게이 해방운동 5 레즈비언 페미니즘 6 정체성의 한계들 7 퀴어 동성애, 레즈비언 혹은 게이, 퀴어 후기 구조주의적 맥락에서의 퀴어 수행성 그리고 정체성 HIV/에이즈 담론 퀴어 정체성 8 퀴어 안의 경합들 9 후기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출간 의의 한국사회는 레즈비언, 게이 연구는커녕 섹슈얼리티 연구조차도 제대로 될 수 있는 인프라가 대학 내외부를 막론하고 갖춰져 있지 못할 만큼 여전히 이 분야에 있어서는 매우 척박한 곳이지만 1990년대 이후 섹슈얼리티 담론과 운동, 레즈비언, 게이 담론과 운동의 성장과 성과는 그러한 척박한 현실을 조금씩 바꿔오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애너매리 야고스가 다루고 있는 역사적 사건들과 참조하고 있는 문헌들이 주로 미국, 영국, 호주 등 백인 중심의 영어권 사회를 맥락으로 하고는 있지만 한국사회 또한 산업화와 도시화, 자본주의화, 근대적 섹슈얼리티의 형성, 그리고 후기근대적 변화 등을 다른 여러나라들에서와 마찬가지로 겪어왔고 섹슈얼리티 논의가 영미 사회를 중심으로 앞서 촉발되고 세계화의 흐름을 타고 한국사회에도 꾸준히 유통되어 온 측면을 부정할 수 없다는 측면에서 한국사회에서의 담론과 운동이 전혀 다른 맥락과 내용만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는 이 한국 독자들에게도 여전히 여러가지 면에서 유의미한 책으로 읽힐 수밖에 없는 이유일 것이다. ●책의 내용 지난 수년 동안, 적어도 레즈비언, 게이 연구가 비교적 왕성하게 되어왔던 나라들에서는 퀴어라는 용어가 레즈비언 혹은 게이라는 용어보다 정치적으로 혹은 학문적으로 더 많이 쓰여왔다. 이는 성적 정체성에 대해 레즈비언이나 게이와 같은 비교적 본질주의적인 범주에 초점을 두어 왔던 연구에서 보다 유동적인 혹은 퀴어한 관념에 초점을 둔 연구로 전환되어 온 때문이다. 물론 퀴어는 또한 여전히 형성 과정 중에 있는 범주이기도 하다. 에서 애너매리 야고스는 지난 세기동안 진행된 동성 간 사랑의 흥미로운 역사의 한 부분으로서 퀴어를 추적하고 퀴어 이론에 대한 보다 분명하고 명확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 주디스 버틀러와 데이빗 핼퍼린 등 주요 이론가들의 통찰을 조합하면서 야고스는 퀴어이론의 도전은 이성애와 동성애와 같은 고정된 성적 정체성들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섹슈얼리티, 젠더, 그리고 남성과 여성 등 본질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것들에 대해서 새롭게 사유할 수 있는 방식을 창조해 내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1996년 영문으로 처음 출간되어 그동안 수차례 재판되고 또 여러 나라들에서 현지 언어로 번역되어 소개된 바 있는 이 책은 동성애 옹호운동에서부터 게이 해방운동, 레즈비언 페미니즘, 그리고 퀴어 이론을 역사적이고 계보학적으로 엮어 설명하면서 궁극적으로 이성애를 아무런 질문이 필요없는 본질적이고 정상적인 섹슈얼리티로 등극시키는 것으로 귀결되는 규범적이고 이항대립적인 성적 정체성 담론에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 이 책을 읽고 나면 퀴어 이론이 어떻게 진화하였는지 보다 잘 이해하게 될 것이고 참고문헌 목차 또한 이 주제에 대한 읽기 목록을 풍부히 제공해 줄 것이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8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