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3 제1장 최대의 금기 9 사상 최대의 비폭력 세력 | 토론의 부재 그들의 헌법, 우리들의 헌법 | 부인(否認)상태 | 네루의 견해 “간디는 국가폭력을 인정했다”라는 논리 | 부인상태의 구조 제2장 ‘환상적’ 헌법론의 전모 31 간디의 ‘환상적’ 헌법안과의 만남 | 간디의 헌법안은 유토피아적인 게 아니다 간디와 마키아벨리 | “나는 예언자가 아니다, 나는 현실적 이상주의자이다” 비협력 | 비폭력 | 간디와 헌법 constitution① 체질 | constitution② 조직의 구성 constitution③ 영국 헌법 | constitution④ 신(神)의 뜻 constitution⑤ 조직의 회칙 | constitution⑥ 혁명 전략 사회의 신체로서의 constitution 70만 개의 마을 | 판차야트 ― 근원적인 주권재민 ※ 슈리만 나라얀 아가르왈의 《자유인도를 위한 간디의 헌법안》 중에서 제3장 일어난 일, 일어나지 않은 일 75 간디의 신헌법안은 평화헌법이었다 | 두 종류의 평화헌법 일어나지 않은 일 | 일어난 것 | 간디의 최후의 헌법안 | 창립과 희생 보론 래디컬 데모크라시와 시민사회 101 ― 간디의 유산을 어떻게 계승할 것인가 간디의 유산 | 현대세계의 시민사회 | 시민사회의 반대는? 시민사회와 일본국 헌법 | 시민사회는 비폭력이다 주권재민 재고(再考) | 시민사회와 언어 | 일본의 시민사회는? 간디는 유죄였다 맺음말 140 부록 적극적 평화? 146 왜 제국이면 안되는가 168 제국의 논리, 미국의 전쟁경제 190 역자 후기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