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감수의 글 무엇하러 철학은 알아야 하는가? 들어가는 글 세상을 새롭게 보게 하는 힘, 철학 1.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1958) 2.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기원전 4세기) 3. A. J. 에이어 《언어, 논리, 진리》(1936) 4. 줄리언 바지니 《에고 트릭》(2011) 5. 장 보드리야르 《시뮬라시옹》(1981) 6. 시몬 드 보부아르 《제2의 성》(1949) 7. 제러미 벤담 《도덕과 입법의 원리》(1789) 8. 앙리 베르그송 《창조적 진화》(1907) 9. 데이비드 봄 《전체와 접힌 질서》(1980) 10. 놈 촘스키 《촘스키, 세상의 물음에 답하다》(2002) 11. 키케로 《키케로의 의무론》(기원전 44) 12. 공자 《논어》(기원전 5세기) 13. 르네 데카르트 《성찰》(1641) 14. 랠프 월도 에머슨 《운명》(1860) 15. 에피쿠로스 《서간집》(기원전 3세기) 16. 미셸 푸코 《말과 사물》(1966) 17. 해리 프랑크푸르트 《헛소리에 대하여》(2005) 18. 샘 해리스 《자유 의지는 없다》(2012) 19. G. W. F. 헤겔 《정신현상학》(1807) 20. 마르틴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1927) 21. 헤라클레이토스 《단편》(6세기) 22. 데이비드 흄 《인간의 이해력에 관한 탐구》(1748) 23. 윌리엄 제임스 《실용주의》(1907) 24. 대니얼 카너먼 《생각에 관한 생각》(2011) 25. 임마누엘 칸트 《순수이성비판》(1781) 26. 쇠렌 키르케고르 《공포와 전율》(1843) 27. 솔 크립키 《이름과 필연》(1972) 28. 토머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1962) 29.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 《변신론》(1710) 30. 존 로크 《인간오성론》(1689) 31. 니콜로 마키아벨리 《군주론》(1513) 32. 마샬 맥루한 《미디어는 마사지다》(1967) 33. 존 스튜어트 밀 《자유론》(1859) 34. 미셸 드 몽테뉴 《몽테뉴 수상록》(1580) 35. 아이리스 머독 《선의 지배》(1970) 36. 프리드리히 니체 《선악의 저편》(1886) 37. 블레즈 파스칼 《팡세》(1660) 38. 플라톤 《국가》(기원전 4세기) 39. 칼 포퍼 《과학적 발견의 논리》(1934) 40. 존 롤스 《정의론》(1971) 41. 장 자크 루소 《사회계약론》(1762) 42. 버트런드 러셀 《행복의 정복》(1930) 43. 마이클 샌델 《정의란 무엇인가》(2009) 44. 장 폴 사르트르 《존재와 무》(1943) 45.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1818) 46. 피터 싱어 《물에 빠진 아이 구하기》(2009) 47. 바뤼흐 스피노자 《에티카》(1677) 48.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 《블랙 스완》(2007) 49.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철학적 탐구》(1953) 50. 슬라보예 지젝 《종말의 시대에 살아가기》(2010) 또 다른 철학의 명저 50 용어 설명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