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머리말 | 역사 속 말 없는 여성들에게 말 걸기 제1강 우리 역사의 여신들 선사시대의 ‘비너스’ / 신화 속의 여성 신격 / 신과 소통하는 여성들 / 관음의 현신 사료 읽기 ― 더 읽을거리 제2강 왜 신라에만 여왕이 있었을까? 어떻게 여왕이 즉위하게 되었을까? / 신라의 여성, 무엇이 달랐을까? / 여왕 통치의 성공과 실패 사료 읽기 ― 더 읽을거리 제3강 어느 고려부인의 일생 고려시대 혼인의 의미 / 25세에 급제자와 혼인 / 장가드는 남자, 시집에 가지 않는 여자 / 남녀동등의 제사 문화와 여성들의 이식 행위 / 친정 아버지 곁에 묻힌 염경애 사료 읽기 ― 더 읽을거리 제4강 남녀상열지사: 성의 자유인가, 재혼의 자유인가? 고려시대 성과 여성 / 남편 생전에 한했던 정절의식 / 여성에게 불리했던 간통죄 처벌 / 성적 욕망과 실천의 사이 사료 읽기 ― 더 읽을거리 제5강 딸에서 며느리로: 여성 정체성의 변화 ‘출가외인’은 언제부터? / 달라지는 혼인 / 딸로서의 신사임당 / 며느리로서의 장씨부인 사료 읽기 ― 더 읽을거리 제6강 열녀: 죽음인가, 죽임인가? 열녀는 누구인가? / 조선 이전의 열녀 / 열녀를 권하는 사회 / 내면화되는 열녀의식 / 열녀 열전 사료 읽기 ― 더 읽을거리 제7강 조선 후기 여성지식인의 출현 절제와 분출 / 실용서를 쓴 지식인 여성들 / 여성 성리학자들 사료 읽기 ― 더 읽을거리 제8강 현모양처론의 두 얼굴 근대적 여성의식의 태동 ― 천주교와 동학 / 근대적 여성의식의 출발―개화파와 개신교 / 찬양회와 순성여학교 / 근대적 여성 교육의 발전과 여성 교육단체의 활동 / 근대 여성의 아이덴티티, 현모양처론 / 현모양처론을 둘러싼 논란 사료 읽기 ― 더 읽을거리 제9강 신여성의 이상과 현실 신여성은 누구인가? / 나, 배운 여성! / ‘직업여성’이 된다는 것 / 신여성 스캔들 사료 읽기 ― 더 읽을거리 제10강 끝나지 않은 역사, 일본군 ‘위안부’ 문제 일본 군대의 ‘위안부’ 여성들 / 근대 국가와 병사, 그리고 성의 국가 관리 / 1931~1945년 일본의 침략 전쟁과 위안소 설치 / 동원명령과 ‘위안부’가 된 여성들 / 위안소 이용규칙 / 일본군‘위안부’ 문제, 새로운 역사를 쓰다 / 일본군 ‘위안부’ 피해여성의 용기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사료 읽기 ― 더 읽을거리 제11강 전쟁이 바꾼 여성, 여성이 바꾼 사회: 한국전쟁과 여성 전쟁을 맞은 여성들 / 총을 멘 여성 전사 / 흥남부두의 금순이, 사선을 넘다 / 잊혀진 역사, 특수위안대 / 이중의 시선에 포획된 ‘양공주’ / 전쟁미망인, 집을 나서다 / 아프레 걸, 전통에 맞서다 사료 읽기 ― 더 읽을거리 제12강 호주제는 어떻게 전통이 되었나? 왜, 다시 호주제인가? / 일제시기 호주제의 법제화 / 가족의 근대화와 여성의 국민화, 시험대에 놓인 가부장제 / 식민지적 호주제, ‘민족 전통’으로 탈바꿈하다 / 호주제의 유산과 가족의 미래 사료 읽기 ― 더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