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이미 1970년대 화제작 <만다라>로 문학계에 충격을 던져주었던 작가 김성동의 작품이다. 시대의 아픔 속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야만 했던 김성동의 문학적 예술혼이 담긴 이 작품은 19세기까지 이어져왔던 풍요로운 우리말에 대한 철저한 천착으로부터 시작된 잃어버린 우리의 마음과 정신 그리고 사상까지도 되찾아내는 민족의 대 서사시이다. 이 작품에서 말하는 '국수'의 뜻은 나라 안에서 가장 소리 잘하고 악기 잘 다루고 글씨 잘쓰고 그림 잘 그리는 사람, 또한 바둑을 가장 잘 두거나 의술이 가장 뛰어난 사람 등 가장 높은 단계의 예술을 이루어낸 사람들에게 바치던 최상의 헌사로, 조선조 말 격랑의 역사 속에서 몰락의 위기에 놓인 우리의 전통 예인들과 민중들의 희망 그리고 좌절을 당시의 정치, 경제. 사회, 풍속 언어에 대한 섬세한 고증과 독보적인 문장으로 탁월하게 그려내고 있다.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