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이 책은 일본 근대 여명기에 탄생한 후쿠자와 유키치의 명저,『문명론의 개략』을 통해 인민 자립의 국민주의와 국가 지상의 국가주의라는 서로 다른 두 주제가 격렬히 대립하며 19세기 초의 신생국가 일본을 형성해 나간 과정을 살펴보고 있는 사상사 연구서이다. 일본의 대표적 석학 고야스 노부쿠니는 "근대주의적인 시각을 넘어서" 자신의 사상사 방법론에 기반한 다시 읽기를 시도했다. 그는 근대를 넘어선 자리에서 근대사와 사상사를 거시적으로 되돌아보는(해체해기는) '탈근대'적인 입장에서, 후쿠자와 유키치의 일본국가론이라 할 수 있을 『문명론의 개략』을 집요하게 파헤친다. 이 책은 일본 사상사의 고전이라는 관점으로『문명론의 개략』을 읽는 것을 거부하며, 교양주의적 담론의 아닌 근대 일본의 자기검증이자 "현대 일본의 진로라는 문제"와 직접적으로 연결시켜 이해하고자 한다. 고야스가 바라본『문명론의 개략』은 "19세기 말 동아시아의 일본이라는 시대와 환경에서 오는 긴박한 과제를 짊어지고서, 동시대의 많은 담론과 격렬하게 항쟁하면서 쓰인 문명론 서적"이다. 그와 더불어 이 책에서 고야스 스스로 밝히고 있듯이 선행작업으로서 마루야마 마사오의『『문명론의 개략』을 읽는다』를 강하게 의식하면서 "후쿠자와를 위한 변명의 책"이라는 마루야마 마사오의 저술이 지닌 한계를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독자들은 동일한 대상을 두고 서로 다른 성격의 고야스 노부쿠니·마루야마 마사오라는 일본사상사계의 두 석학이 보여주는 독해를 통해 그들이 가지고 있는 사상사를 보는 시각과 방법론, 세대 차이, 읽은 시점의 차이 등 다양한 요인을 비교해가며, '누가 제대로 읽었는가'가 아닌 '왜 그렇게 읽었는가'하는 관점에서 텍스트를 이해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