옮긴이 머리말 / 5
머리말 / 9
서 론 / 19
제1장 형이상학의 제거 53
철학의 목적과 방법은 무엇인가? / 철학은 초월적 실체에 관한 지식을 제공한다는 형이상학적 논제의 거부 / 칸트도 이런 의미에서 형이상학을 거부함. 그러나 그는 형이상학자들을 인간 오성의 한계를 무시했다고 비판하지만, 우리는 형이상학자들이 언어의 의미 있는 사용에 관한 규칙을 따르지 않다고 비판함 / 사실에 관한 잠정적 진술의 의미를 테스트하기 위한 기준으로 검증가능성을 받아들임 / 결정적 검증과 부분적 검증의 구별. 어떤 명제도 결정적으로 검증되지 않음 / 결정적으로 논박되지도 않음 / 사실에 관한 진술이 진짜 명제이기 위해서는 그것의 참이나 거짓의 결정과 관련된 가능한 관찰이 있어야 함 / 우리의 기준에 의해서 배제되지만 철학자들에게 익숙한 종류의 주장의 예 / 동어반복도 경험적 가설을 표현하는 문장도 아닌 것으로 정의되는 형이상학적 문장 / 형이상학의 근본적 원인인 언어적 혼동 / 형이상학과 시
제2장 철학의 기능 73
철학은 제일원리를 탐구하는 것이 아님 / 데카르트적 과정의 무익성 / 철학의 기능은 전적으로 비판적임. 그러나 이것은 철학이 과학적 가정이나 상식적 가정에 대한 선험적 정당성을 제공한다는 뜻은 아님 / 일반적으로 생각되는 것처럼 귀납에 관한 진짜 문제는 없음 / 철학함은 분석활동임 / 일반적으로 위대한 철학자라고 여겨지는 대부분의 철학자는 형이상학자라기보다는 우리가 의미하는 바의 철학자임 / 분석가로서의 로크, 버클리, 흄 / 유신론이 제거된 버클리의 현상론을 받아들임 / 인과관계에 관해 흄의 견해를 받아들임 / 우리가 의미하는 바의 철학은 전적으로 형이상학과 무관함. 우리는 원자론의 어떤 주장도 받아들이지 않음 / 분석가로서 철학자는 사물의 물리적 속성에 관심을 갖는 것이 아니라, 단지 그것에 대해서 말하는 방식에 관심을 가짐 / 사실적 용어로 위장된 언어적 명제들 / 철학은 결국 정의임
제3장 철학적 분석의 본질 93
철학은 사전에서 제공되는 것과 같은 명시적 정의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상의 정의를 제공함. 이 차이에 대한 설명 / 철학적 분석의 예로서 러셀의 “기술구 이론” / 애매한 기호에 대한 정의 / 논리적 구성물의 정의 / 물질적 사물은 감각내용으로부터 논리적으로 구성됨 / 물질적 사물의 개념을 감각내용에 의해서 정의함으로써 이른바 지각의 문제를 해결함 / 철학적 분석에 대한 또 다른 예로 나타나는 문제에 대한 해결 / 그러한 분석의 효용성 / 철학은 의미와 관련된다고 말하는 것이 갖는 위험성 / 철학의 명제는 단어를 실제로 사용하는 방식과 관련된 경험명제가 아님. 그것은 언어적 규약의 논리적 귀결과 관련됨 / “모든 언어는 그 언어로는 말할 수 없는 구조를 갖는다”는 견해를 거부함
제4장 선험성 111
경험론자로서 우리는 사실에 관한 어떤 일반명제도 확실하게 타당하게 알 수 있다는 것을 거부해야 함 / 그렇다면 우리는 형식논리학의 명제와 수학의 명제를 어떻게 취급해야 하는가? / 이러한 명제는 귀납적 일반화라는 밀의 견해를 거부함 / 이러한 명제는 분석적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참임 / 분석판단과 종합판단에 대한 칸트의 정의 / 칸트의 정의의 수정 / 분석명제는 동어반복임. 분석명제는 사실에 관해서 아무것도 언급하지 않음 / 분석명제는 우리의 언어적 용법의 의미를 조명해준다는 점에서 새로운 지식을 제공함 / 논리학은 “사유의 법칙”을 기술하고 있지 않음 / 기하학도 물리적 공간의 속성을 기술하고 있지 않음 / 선험적 진리에 대한 우리의 설명은 칸트의 선험철학체계를 손상시킴 / 선험적 진리가 동어반복이라면 어떻게 수학과 논리학에서 발견과 발명이 가능한가?
제5장 진리와 개연성 133
진리란 무엇인가? / 명제의 정의 / “참이다”와 “거짓이다”는 술어는 문장에서 단순히 주장기호나 부정기호로 기능함 / “진리의 문제”는 어떻게 명제가 타당하다고 인정되는가의 문제로 환원됨 / 경험명제의 타당성 기준은 순수하게 형식적이지 않음 / 어떤 경험명제도, 즉각적 경험을 지칭하는 명제조차도 확실하지 않음 / 관찰은 단순히 하나의 가설만이 아니라 가설체계를 확증하거나 불신하게 함 / “경험사실”은 결코 우리에게 어떤 가설을 포기하도록 강요하지 않음 / 종합명제를 분석명제로 오해하는 위험성 / 미래경험에 대한 우리의 기대를 지배하는 규칙으로서의 가설 / 합리성의 정의 / 개연성을 합리성에 의해서 정의함 / 과거를 지칭하는 명제들
제6장 윤리학과 신학에 대한 비판 155
경험론자는 가치판단을 어떻게 취급하는가? / 다양한 유형의 윤리적 탐구 사이의 구별 / 경험론과 무모순적인 공리주의적 윤리학설과 주관주의적 윤리학설 / 다른 근거 위에서는 받아들여질 수 없는 윤리학설 / 규범적 윤리학 용어와 기술적 윤리학 용어의 구별 / 직관주의 비판 / 가치주장은 과학적이 아니라 “정서적”임 / 그러므로 가치주장은 참도 거짓도 아님 / 가치주장은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