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보다 : 봄

위수정님 외 2명 · 소설
146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3.0(168명)
0.5
3
5
평가하기
3.0
평균 별점
(168명)

<소설 보다>는 문학과지성사가 분기마다 '이 계절의 소설'을 선정, 홈페이지에 그 결과를 공개하고 이를 계절마다 엮어 출간하는 단행본 프로젝트로 2018년에 시작되었다. 선정된 작품은 문지문학상 후보로 삼는다. 지난 2년간 꾸준히 출간된 <소설 보다> 시리즈는 젊은 작가들의 소설은 물론 선정위원이 직접 참여한 작가와의 인터뷰를 수록하여 독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앞으로도 매 계절 간행되는 <소설 보다>는 주목받는 젊은 작가와 독자를 가장 신속하고 긴밀하게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충실히 해낼 것이다. 에는 2020년 겨울 '이 계절의 소설' 선정작인 김멜라의 「나뭇잎이 마르고」, 나일선의 「from the clouds to the resistance」, 위수정의 「은의 세계」 총 3편과 작가 인터뷰가 실렸다. 선정위원(강동호, 김보경, 김형중, 양순모, 이수형, 조연정, 조효원, 홍성희)은 문지문학상 심사와 동일한 구성원이며 매번 자유로운 토론을 거쳐 작품을 선정한다. 심사평은 문학과지성사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별점 그래프
평균3.0(168명)
0.5
3
5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저자/역자

코멘트

10+

목차

「나뭇잎이 마르고」 김멜라 인터뷰 김멜라 × 양순모 「from the clouds to the resistance」 나일선 인터뷰 나일선 × 홍성희 「은의 세계」 위수정 인터뷰 위수정 × 김보경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새로운 세대가 그려내는 봄의 소설적 풍경 독자에게 늘 기대 이상의 가치를 전하는 특별 기획, 『소설 보다: 봄 2021』이 출간되었다. 〈소설 보다〉는 문학과지성사가 분기마다 ‘이 계절의 소설’을 선정, 홈페이지에 그 결과를 공개하고 이를 계절마다 엮어 출간하는 단행본 프로젝트로 2018년에 시작되었다. 선정된 작품은 문지문학상 후보로 삼는다. 지난 2년간 꾸준히 출간된 〈소설 보다〉 시리즈는 젊은 작가들의 소설은 물론 선정위원이 직접 참여한 작가와의 인터뷰를 수록하여 독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앞으로도 매 계절 간행되는 〈소설 보다〉는 주목받는 젊은 작가와 독자를 가장 신속하고 긴밀하게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충실히 해낼 것이다. 『소설 보다 : 봄 2021』에는 2020년 겨울 ‘이 계절의 소설’ 선정작인 김멜라의 「나뭇잎이 마르고」, 나일선의 「from the clouds to the resistance」, 위수정의 「은의 세계」 총 3편과 작가 인터뷰가 실렸다. 선정위원(강동호, 김보경, 김형중, 양순모, 이수형, 조연정, 조효원, 홍성희)은 문지문학상 심사와 동일한 구성원이며 매번 자유로운 토론을 거쳐 작품을 선정한다. 심사평은 문학과지성사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봄, 이 계절의 소설 “체와 대니는 먼 훗날 누군가 발견하게 될 산의 비밀을 상상하며 나무 아래 씨앗을 심었다.” 김멜라의 「나뭇잎이 마르고」는 “‘퀴어/장애/여성’이 그려지는 방식”(조연정)에 관한 이야기다. 대학 동아리 선후배 사이인 ‘체’와 ‘앙헬’은 죽음을 앞둔 체의 할머니를 뵙기 위해 오랜만에 재회한다. 소설은 앙헬의 기억을 빌려 체를 설명하는 데 여러 대목을 할애한다. 길이가 다른 다리 때문에 “작은 웨이브를 그리며” 걷는 체, 시와 전시회, 술과 밴드 연주를 즐기는 체, “난 여자 가슴이 좋아”라고 태연하게 말하는 체. 그런 체의 얼굴을 떠올리는 사이 익숙하게 그의 정체성으로 따라 붙던 ‘퀴어/장애/여성’ 같은 단어는 사라지고,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한 “체가 하는 말을 다 알 수 있었던 시절”이 찾아온다. 한때 “둘만의 비밀”을 공유할 만큼 가까웠던 그들은 흔히 그렇듯 “합당한 이유” 없이 멀어진다. 그 결말을 예상하면서도 “먼저 주고, 준 만큼 되돌려받지 못해도, 다시 자기의 것을 주”는 체의 모습은 사랑을 베푸는 것도 하나의 의지임을 헤아리게 한다. “실제 생활에서도 저는 별명 부르기를 좋아합니다. [……] 속뜻은 그리 대단치 않거나 장난스러운 것이기 마련이지만 (그래서 비밀로 간직하지만) 바로 그 점이 좋습니다. 서로 장난을 칠 수 있는 관계를 좋아하는 것이겠지요. 서로의 비밀을 간직하면서도 애정이 깃든 장난이 허용되는 관계에서 소설의 어떤 부분이 흘러나오는 것 같습니다.” 「인터뷰 김멜라 × 양순모」에서 “삶이란 게 있었다고 한다면, 아니 꿈이란 게 있긴 했다면, 우리는 백지처럼 시간에 대해 얘기한다.” 다양한 매체를 경유하며 소설의 새로운 형식을 실험해온 나일선의 「from the clouds to the resistance」는 1959~60년의 일기와 2018년의 일기가 교차하며 진행된다. 소설 제목은 동명의 영화에서 차용한 것으로 보이는데, 장 마리 스트로브 감독의 이니셜이 JMS (혹은 JS)라는 인물로 등장한다. 작가는 이처럼 실재하는 작가와 작품을 허구의 이야기 곳곳에 섞어 독자의 시간을 교묘히 흩뜨린다. “나일선의 텍스트에서 구축되는 모호한 정서적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적합한 단어는 ‘대화’ 아닐까?”(강동호). 사실과 픽션이 혼재한 채 교차하는 텍스트는 두 대의 카메라를 마주 보게 배치해 “리버스 숏”으로만 촬영한 다큐멘터리 영화처럼 보이기도 하고, 현세기와 전세기의 예술가들이 주고받는 편지처럼 읽히기도 한다. 소설의 화자를 포함해 창작자와 향유자는 서로 다른 시공간과 감정 상태에 놓일 텐데 그 “간극이 주는 가능성”(작가 인터뷰)이야말로 나일선 소설의 가장 큰 매력이다. “어떻게 말하면 좋을지 모르겠는데 무언가 중첩되는 느낌에 끌리는 것 같아요. 그러면서도 문장과 문장 사이, 장면과 장면 사이에 무언가 충돌되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완결되는 느낌이 희박했으면 좋겠다. 어딘가로 연결되는 통로나 과정처럼 느껴졌으면 좋겠다, 쓰면서 그런 생 각은 자주 하는 것 같아요.” 「인터뷰 나일선 × 홍성희」에서 “그때만 해도 팬데믹이 이렇게 오래 지속될지 아무도 몰랐다.” 위수정의 「은의 세계」는 팬데믹으로 드러난 사회의 그늘을 섬세하게 짚어낸다. 재난은 다양하게 분화된 도시 계층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작용하는데, 온라인 영역에서 일하는 ‘하나’와 ‘지환’ 부부가 안온한 생활을 유지하는 반면, 사촌동생 ‘명은’은 청소와 소독을 하는 파트타임 노동자로 타인의 위험을 대신하며 생계를 유지한다. 처음에 “도와주는 셈 치”고 명은에게 청소를 의뢰했던 하나와 지환은 시간을 거듭하며 묘한 불편함을 느낀다. 명은이 집에 혼자 있는 상황을 꺼리거나 명은이 머무른 자리에 소독제를 뿌리는 장면은 안전을 빌미로 “혐오와 차별의 시선을 죄책감 없이 분출”(작가 인터뷰)하는 현실을 비판적으로 그려낸다. 한편, 명은이 다녀간 첫날 책을 읽다 잠든 지환은 “날이 바짝 선 식칼”이 복부를 찌르는 환상통을 겪게 되고, 이후 지속적으로 갑작스러운 사고나 살해를 ‘당하는’ 감각에 시달린다. 이는 사회적으로 안전지대에 속했다 하더라도 그것이 결국은 얄팍한 허구에 불과함을 반증하는 것은 아닐까? 이러한 지환의 환상은 재난 상황의 근원적 공포를 “우리는 다행인 줄 알자”라는 말로 쉽게 덮어버릴 수 없음을 상기한다. “팬데믹은 삶의 아이러니를 경험할 수 있는 배경이 되리란 생각을 했습니다. 결국 이 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누구나 불안에 시달릴 테고, 그것은 본능적으로 감지되는 붕괴와 멸망, 죽음의 징후에 기인한 것일 테니까요.” 「인터뷰 위수정 × 김보경」에서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0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