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완 고3~N수 수능독서 배경지식

김태희
292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코멘트
더보기

수능 국어 영역 독서 기출 & 출제 예상 배경지식을 학습할 수 있는 교재다.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경제, 철학, 과학, 기술을 집중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분야별 개념, 관점, 지식, 이론, 논점의 체계적 이해가 가능하다. 꼬리를 무는 의미 전개, 내용 연계와 흐름으로 배열하였다.

캘린지 1주년! 생일 축하해 🎂

영화 6편을 골라보고 캘린지 완주해 보세요

왓챠피디아

캘린지 1주년! 생일 축하해 🎂

영화 6편을 골라보고 캘린지 완주해 보세요

왓챠피디아

저자/역자

목차

제1장 인문·철학 1. 철학의 분야 형이상학/ 인식론/ 윤리학/ 미학/ 논리학 2. 서양철학 사상 (1) 서양 고대 자연철학/ 아르케(arche)/ 원자론/ 소피스트/ 무지의 지(知)/ 아레테(arete)/ 플라톤의 이데아(idea)/ 이데아계와 현상계/ 에로스/ 동굴의 비유/ 철인정치/ 이상 국가/ 형상과 질료/ 가능태와 현실태/ 사원인설/ 목적론/ 최고선/ 에우다이모니아/ 지성적 덕과 윤리적 덕/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 필리아(philia)/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 에피쿠로스학파/ 스토아학파/ 회의학파 (2) 서양 중세 아가페/ 교부철학/ 스콜라철학/ 보편논쟁/ 오컴의 면도날/ 안셀무스의 신의 존재 증명/ 중세 신비주의 철학 (3) 서양 근대 합리론/ 방법적 회의/ 본유관념/ 경험론/ 이돌라/ 귀납/ 연역/ 일원론(一元論)/ 이원론(二元論)/ 연장(延長)/ 범신론(汎神論)/ 코나투스(conatus)/ 모나드(monade)/ 예정조화/ 타블라 라사/ 단순 관념과 복합 관념/ 일차 성질과 이차 성질/ 존재하는 것은 지각되는 것이다/ 지각의 구속/ 인과관계/ 실체(實體)/ 모럴리스트/ 자연 상태/ 리바이어던/ 저항권/ 일반의지/ 계몽주의/ 아프리오리/ 분석판단과 종합판단/ 물자체(物自體)/ 카테고리/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도덕법칙/ 선의지/ 정언명령/ 격률/ 자율/ 비판철학/ 관념론/ 독일 관념론/ 절대정신/ 변증법/ 헤겔의 ‘역사’/ 헤겔의 ‘인륜’/ 쇼펜하우어의 ‘페시미즘’/ 주체적 진리/ 예외자/ 실존주의/ 실존의 3단계/ 자유방임주의/ 공리주의/ 벤담의 ‘쾌락계산’/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질적 공리주의/ 생산관계/ 소외/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이데올로기/ 유물사관/ 니힐리즘/ 노예도덕/ 힘을 향한 의지/ 영원회귀/ 초인(超人)/ 프래그머티즘/ 무의식/ 이드, 자아, 초자아/ 집단 무의식 (4) 서양 현대 랑그와 파롤/ 시니피에와 시니피앙/ 언어의 자의성/ 기표와 기의/ 현상학/ 현상학적 환원/ 에포케(epoche)/ 지향성/ 노에시스와 노에마/ 상호주관성/ 현존재/ 세계-내-존재/ 기투와 피투/ 죽을 수밖에 없는 존재/ 한계상황/ 일리야/ 타인의 얼굴/ 생철학/ 그림이론/ 의미 있는 명제와 의미 없는 명제, 헛소리/ 언어게임/ 가족 유사성/ 분석철학/ 논리실증주의/ 프레게의 ‘의미’/ 프레게의 ‘문장’/ 프레게의 ‘의의’/ 기술이론/ 언어행위론/ 반증 가능성/ 패러다임/ 과학혁명/ 과학철학/ 실증주의/ 홀리즘/ 자연주의/ 경험주의의 두 가지 도그마/ 네오프래그머티즘/ 도구 이성/ 전체주의/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 즉자존재와 대자존재/ 앙가주망/ 몸의 철학/ 구조주의/ 야생사고/ 브리콜라주/ 리버럴리즘/ 자유지상주의/ 공동체주의/ 포스트구조주의/ 포스트모더니즘/ 차이의 원리/ 시뮬라크르/ 에피스테메/ 규율 권력/ 파놉티콘/ 지식과 권력/ 이항대립/ 탈구축/ 차연(差延)/ 트리와 리좀/ 노마드/ 페미니즘/ 젠더(gender)/ 오리엔탈리즘/ 멀티튜드/ 이마쥬/ 순수지속/ 창조적 진화/ 에로티시즘/ 부정변증법/ 아우라/ 파사쥬/ 가다머의 ‘지평’/ 거울단계/ 상상계와 상징계/ 현실계/ 인식론적 단절/ 진리의 유용성/ 도구주의/ 창조적 지성/ 정신철학/ 물리주의/ 카테고리 착오/ 행동주의/ 동일설/ 기능주의/ 튜링테스트/ 퀄리아(qualia)/ 수반현상설/ 철학적 좀비/ 자연주의적 이원론/ 현대 윤리학/ 직관주의/ 덕 윤리/ 배려윤리/ 동물권/ 이익평등 고려의 원칙/ 행위 공리주의와 규칙 공리주의/ 생명윤리와 환경윤리/ 또 하나의 공동체/ 호모 사케르 3. 동양철학 사상 (1) 중국의 철학 사상 제자백가/ 유가/ 인(仁)과 예(禮)/ 덕치주의/ 도(道)/ 논어/ 성선설/ 호연지기/ 왕도정치/ 역성혁명/ 성악설/ 예치주의/ 묵가/ 겸애/ 법가/ 법치주의/ 병가/ 명가/ 음양가/ 도가/ 도(道)/ 무위자연/ 상선약수/ 소국과민/ 노장사상/ 호접지몽/ 만물제동(萬物齊同)/ 무용의 용/ 소요유(逍遙遊)/ 제물(齊物)/ 지인, 진인, 천인, 신인/ 사서오경/ 성리학/ 이기이원론/ 성즉리/ 심성론/ 거경궁리론/ 경세론/ 격물치지/ 양명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수능 국어 영역 독서 기출 & 출제 예상 배경지식 학습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경제, 철학, 과학, 기술 집중 대비 분야별 개념, 관점, 지식, 이론, 논점의 체계적 이해 꼬리를 무는 의미 전개, 내용 연계와 흐름 배열 구성과 특징 비문학 독서 배경지식을 갖추면 백배 유리하다 경제, 철학, 과학, 기술 지문 이해력이 향상된다 지식 학습과 독해 훈련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1. 비문학 독서 영역 분야별 배경지식 학습으로 지문 이해력, 독해력 향상 수능 국어는 독서 전 분야에 대한 상식 이상의 배경지식을 요구합니다. 글에 대한 독해 속도는 이러한 배경지식의 수준에 따라 좌우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독서 영역 분야별 배경지식과 개념을 익혀 독해 속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당 주제에 대한 지식을 어느 정도 갖고 있으면 없는 경우보다 지문이 훨씬 많이 보이고 해석하기가 수월해집니다. 2. 인문·철학, 사회·경제, 과학·기술, 예술·심리 기출 및 출제 예상 배경지식 학습 시험 현장에서 알지 못하는 낯선 주제의 지문을 접하게 되면 당황하게 됩니다. 평소에 다양한 분야의 글을 읽는 것이 필요하지만, 어떤 분야든지 배경지식을 조금이라도 갖고 있으면 마음이 편해지고 집중력이 생깁니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특히 어려워하는 경제, 철학, 과학, 기술 등의 기출 및 출제 예상 배경지식을 집중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이 분야 지문들에 대한 효과적인 대비가 가능할 것입니다. 3. 사전식 배열이 아닌 개념과 지식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엮어 계통적 이해 수능 독서 영역은 인문, 사회, 과학, 기술,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출제됩니다. 배경지식을 사전식 배열이 아닌 연관성 있는 것들을 묶어서 구성하고, 핵심 개념과 연관 지식을 같이 학습함으로써 지식과 개념의 계통적 이해가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출제 비중이 높은 분야의 주제들에 대해 보다 많은 분량을 배정하였으며, 내용을 충실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도표, 시각자료 등을 활용하였습니다. 4. 꼬리를 무는 의미 전개, 내용 연계로 인문 및 동서양 철학 사상의 원리적 이해 인문·철학에서는 철학의 분야와 동서양 철학 사상 전반에 대한 조망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특히 철학사를 기반으로 각 사상가의 주장과 논점, 주요 개념과 사상 등을 꼬리를 무는 방식으로 전개하고 관련 있는 내용들을 연계해 철학과 인문 지식들을 원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인문ㆍ철학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용어도 별도로 정리하였습니다. 5. 마인드맵, 개념과 흐름 배열로 사회·경제, 예술·심리 용어의 체계적 이해 사회ㆍ경제, 예술ㆍ심리는 ‘경제’에서는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개념과 관계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사회문화’, ‘법과 정치’에서는 논점에 대한 이해를 통해 관점을 세우는데 주력하였습니다. ‘예술’에 있어서는 각 분야별 흐름과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였으며, ‘심리’에서는 심리 이론과 용어, 심리 실험 등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각 영역별 테마학습을 통해 분야별 개념, 관점, 지식, 이론, 논점의 이해가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6. 과학기술의 철학적 이해에서부터 응용과학과 실용기술에 걸친 전략적 이해 학생들에게 과학기술 영역은 당연히 어렵습니다. 배경지식은 이미 머릿속에 들어 있거나 기본적으로 필요한 지식을 말합니다. 과학기술 지문을 접할 때도 배경지식을 갖고 있으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백배 유리한 것이 사실입니다. 학습 과정에 있어서도 과학ㆍ기술과 관련한 관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의 철학적 이해’를 구성하였으며, ‘기초과학’과 ‘응용과학과 실용기술’의 지식들을 구성하였습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