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이해하는 시스템 설계

이시구로 나오키
284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5.0
평균 별점
(1명)
코멘트
더보기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

이 책의 목표는 시스템 설계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본이자 핵심이 되는 이론을 짧고 굵게 설명하고, 그림으로 설계 샘플을 보여주거나 관련 자료를 표로 정리하여 일목요연하게 제시한다. 애플리케이션 개발, 서버/인프라 구축 등 직접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시스템 설계란 무엇인지, 전체 설계란 무엇인지부터 시작해 공통 부분 설계, 개별 기능 설계까지 총망라해 설명했다. 설계는 물론이고, 시스템 설계의 전체적인 모습을 이해하고, 시스템 개발 이후 설계서를 활용하는 방법까지 배울 수 있도록 구성했다. 시스템 설계의 아웃풋으로 산출되는 '설계서'는 다른 설계서를 작성하거나, 연관 부서나 담당자에게 내용을 공유하거나, 인수인계 및 유지보수할 때 등 다방면으로 사용된다. 이 설계서에 무엇을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설명하면서 중간중간 실무자로서의 저자의 조언과 팁도 풍부하게 담았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저자/역자

목차

1장 시스템 설계가 차지하는 위치 Section 01 이 책의 전제 조건과 시스템 개발의 전체 모습 Section 02 요구사항 정의란? Section 03 설계란? Section 04 개발, 테스트란? Section 05 릴리스란? Section 06 유지보수, 운영이란? COLUMN 프로세스마다 리소스가 얼마나 필요할까? 2장 시스템 설계란? Section 07 이 책에서 말하는 시스템 설계의 정리 방법 Section 08 설계서를 작성하는 이유 Section 09 설계서의 종류 Section 10 전체 설계 개요 Section 11 입출력 설계 개요 Section 12 데이터베이스 설계 개요 Section 13 로직 설계 개요 Section 14 네트워크 설계 개요 Section 15 서버 설계 개요 COLUMN 깊고 넓은 시스템 설계 3장 시스템 설계에 영향을 주는 개념 Section 16 소프트웨어 설계 모델 Section 17 프레임워크 Section 18 외부 요인, 내부 요인 Section 19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Section 20 가상화 기술 Section 21 미들웨어 COLUMN 소프트웨어 제작은 공부해야 하지만 사실은 재미있는 일 4장 전체 설계 Section 22 전체 설계의 흐름과 핵심 Section 23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Section 24 신뢰성/안전성 설계(종합편) Section 25 환경 설계(종합편) Section 26 성능 설계(종합편) Section 27 보안 설계(종합편) Section 28 운영 방식 설계(종합편) Section 29 외부 접속 방식 설계(종합편) Section 30 표준화 설계 Section 31 테스트 방식 설계(종합편) Section 32 마이그레이션 방식 설계(종합편) COLUMN 이렇게까지 전체적인 설계가 필요한가? 5장 입출력 설계 Section 33 설계서 목록 Section 34 화면계: 화면 목록 Section 35 화면계: 화면 전이도 Section 36 화면계: 화면 공통 설계 Section 37 화면계: 화면 레이아웃 Section 38 화면계: 화면 입력 설계 Section 39 장표계: 장표 레이아웃 Section 40 IF계: 외부 접속 대상 목록 Section 41 IF계: 외부 접속 방식 설계 Section 42 IF계: IF 레이아웃 Section 43 기타: 전송 이메일 설계 COLUMN 입출력 설계에는 시스템 지식과 더불어 의사소통 능력이 필요하다 6장 데이터베이스 설계 Section 44 설계서 목록 Section 45 볼륨 목록 Section 46 RDB: 데이터베이스 설정 Section 47 RDB: ER 다이어그램 Section 48 RDB: 테이블 레이아웃 Section 49 파일: 파일 설계 COLUMN 데이터베이스 설계라면 일단 RDB 7장 로직 설계 Section 50 설계서 목록 Section 51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Section 52 액티비티 다이어그램 Section 53 클래스 다이어그램 Section 54 시퀀스 다이어그램 Section 55 프로세스 흐름 다이어그램(플로차트) Section 56 상태 전이 설계 Section 57 배치 전체 설계 Section 58 처리 설계(프로그램 사양서) COLUMN 시스템 구축에는 시스템적 사고방식과 업계 특유의 지식이 필요하다 8장 네트워크 설계 Section 59 설계서 목록 Section 60 네트워크 전체 구성도(물리 구성) Section 61 네트워크 전체 구성도(논리 구성) Section 62 네트워크 제공 서비스 목록 Section 63 통신 요구사항 목록 Section 64 IP 주소 설계 Section 65 네트워크 서비스 설계 Section 66 방화벽 규칙 설정 정책서 Section 67 처리량 제어 설계 COLUMN 네트워크의 기초는 OSI 모델 배우기부터 9장 서버 설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시스템 설계의 기본과 핵심을, 그림과 표로 쉽고 체계적으로! 전체 설계→공통 부분 설계→개별 설계 순서로 총망라하고, 설계서로 실무까지 파악한다! 이 책의 목표는 시스템 설계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본이자 핵심이 되는 이론을 짧고 굵게 설명하고, 그림으로 설계 샘플을 보여주거나 관련 자료를 표로 정리하여 일목요연하게 제시한다. 애플리케이션 개발, 서버/인프라 구축 등 직접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시스템 설계란 무엇인지, 전체 설계란 무엇인지부터 시작해 공통 부분 설계, 개별 기능 설계까지 총망라해 설명했다. 설계는 물론이고, 시스템 설계의 전체적인 모습을 이해하고, 시스템 개발 이후 설계서를 활용하는 방법까지 배울 수 있도록 구성했다. 시스템 설계의 아웃풋으로 산출되는 '설계서'는 다른 설계서를 작성하거나, 연관 부서나 담당자에게 내용을 공유하거나, 인수인계 및 유지보수할 때 등 다방면으로 사용된다. 이 설계서에 무엇을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설명하면서 중간중간 실무자로서의 저자의 조언과 팁도 풍부하게 담았다. 읽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쉽게 이해하는 시스템 설계의 이론과 실무! 시스템을 구현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바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입니다. 시스템을 설계한다는 건, 즉 하드웨어를 원하는 대로 조작하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일입니다. 시스템 설계는 주어진 요구사항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 어떤 제품과 기능을 선택할지, 어떤 메커니즘을 사용해 어떻게 설정하면 제대로 작동할지 그 방법을 고민하는 것입니다. 시스템 설계 과정은 기본적으로 전체 설계 → 공통 부분 설계 → 개별 설계 순서로 진행됩니다. 개별 설계를 할 때도 개념적, 논리적 설계에서 시작해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구체적인 수준으로 다듬어 갑니다. 이 흐름에 맞춰 이 책 역시 전체 설계, 입출력 설계, 데이터베이스 설계, 로직 설계, 네트워크 설계, 서버 설계 단위로 나눠서 구성했습니다. 시스템 개발을 처음 접하는 분, 앞으로 시스템 개발에 참여하려는 분들은 이 책을 통해 ① 시스템 설계의 전체 모습을 이해하고 ② 포괄적인 개요를 파악하고 ③ 팁과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시스템 개발을 경험해본 분들이라면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하고 실무에 활용 가능한 노하우를 체득하기에 좋습니다. 이 책은 시스템 개발에 흥미를 갖고, 시스템 설계가 어떤 것인지 이해하여 다음 단계로 성장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베타리더 후기] 중요한 내용이 섹션별로 잘 정리되어 있어서 내용을 쉽게 살펴볼 수 있다. 강찬석_LG전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시스템 설계에 관해 전체 설계로 숲을 보고, 분야별 상세 설계로 세부적인 내용으로 접근해 나무까지 들여다볼 수 있다. 운영 중인 시스템이 설계되는 과정을 이해하고 운영에 필요한 주안점을 파악하는 데 필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해 줄 것이다. 김용회_(주)씨에스피아이 이사, 시스템 운영 조직 담당 시스템 설계부터 보안, 배치, 화면 기획서, 서버 장애 등 IT 전반적인 구성에 대해서 확인하고, 필요한 절차 및 구성요소에 대해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박찬웅_롯데렌탈 소프트웨어 개발자 프로젝트 개발 및 유지보수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시스템 설계 문서화다. 이 책은 시스템 설계와 관련 문서에 대해 정확히 배울 수 있다. 여병훈_엔티소프트 서버 개발자, PM 개발 경력이 쌓이고 개발자에서 아키텍처 또는 그에 준하는 업무를 맡게 되었을 때 소개하고 있는 내용들이 얼마나 필요한지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유형진_데브구루 디바이스 드라이버 개발자 복잡한 시스템을 설계할 때 필요한 이론과 실제 적용 방법을 명확하고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각 장에서 제시된 이론들은 실제 사례를 통해 구체화되어 실용적이고 이해하기 쉽다. 이학인_법원행정처 사법정보화실 실무관 시스템 설계라는 숲을 파악할 수 있게 아주 꼼꼼히 설명한다. 특히 각 챕터별로 해당 챕터와 연관된 문서 작성 시 참고할 수 있는 목차 가이드라인은 따로 기록해 둘 만큼 유용한 정보라고 생각한다. 장태욱_단디소프트 대표 복잡한 시스템 설계에 대한 큰 그림을 살펴보는 데 매우 적절하다. 전봉규_LG CNS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자 시스템 설계의 전체를 파악할 수 있어 유익하다. 최규민_국가정보자원관리원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실무자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최치영_매드업 SRE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