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 공감, 창의성, 무의식…
가장 뜨거운 심리학의 키워드를 한데 모았다!
심리학에 대한 관심은 날로 높아지고 있지만, 우리는 심리학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을까? 『심리학 프리즘』은 행복, 공감, 창의성 등 요즘 가장 뜨거운 심리학의 이슈들을 중심으로 심리학이라는 학문이 우리 삶에 대해 얼마나 깊고 풍부하게 고민하고 있는지, 심리학의 현주소를 한눈에 보여주는 책이다. 이를 위해 최인철, 폴 블룸, 최인수, 김민식, 마이클 가자니가, 헤이즐 로즈 마커스 등 심리학의 각 분야를 대표하는 석학들이 어떻게 우리의 의식을 변화시키고 행동을 바꿔나갈 수 있을지에 대한 여섯 가지 조언을 제시한다.
이 책에서는 심리학을 ‘인간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한다. 인간을 가장 체계적이고 치열하게 연구하는 분야인 심리학을 알아야 인간은 어떤 존재이며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는 과학적인 답을 구하는 심리학의 프리즘을 통해 독자들은 나는 누구이며 어떻게 살아야 할지에 대한 저마다의 답을 구하고, 더 나은 삶을 위한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심리학의 진면목을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
“워라밸을 유지하면 우리는 행복해질까?”
“어떻게 잠든 창의성을 깨울 수 있을까?”
내 삶을 바꿔줄 심리학의 지혜
심리학은 인간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어떻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것인지에 대한 관심을 발전시켜가고 있다. 1부 ‘PRISM-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서는 ‘행복, 공감, 창의성’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우리 삶의 질을 높이는 법을 제시한다.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을까? 그렇게 되면 과연 우리는 행복해질까? 서울대 심리학과 최인철 교수는 나쁜 삶이 무엇인지를 정의함으로써 우리가 추구해야 할 ‘좋은 삶’의 조건을 역설적으로 알려준다. 좋아하는 일만 하며 살 수 없다고 믿어라, 노력해도 변화할 수 없다고 믿어라… 우리 삶을 망치는 심리학의 조언들을 비틀어보면 ‘굿 라이프’에 한발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공감은 무조건 좋은 것인가? 공감 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훌륭한 사람일까? 예일대 심리학과 폴 블룸 교수는 그렇지 않다고 대답하며 도덕성에 대한 우리의 상식과 편견을 깨뜨린다. 공감이 만들어낸 사회적 문제들을 살펴보며 공감이라는 인간의 능력을 우리가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를 알 수 있다.
어떻게 자주적인 삶을 살 수 있을까? 창의성은 타고 나는 것인가? 성균관대 인재개발학과 교수이자 긍정심리학자인 최인수 교수는 창의성을 키우기 위해 필요한 개인적?사회적 해법을 제시한다. 긍정심리학에서 강조하는 ‘열린 마음’이 창의성을 높이는 핵심이며, 한 번도 해보지 않은 것에 대한 너그러운 마음을 가질 때 창의적인 사회로 나아갈 수 있다고 말한다.
“내가 몰랐던 나, 진짜 나를 만날 수 있을까?”
“무엇이 우리의 행동을 결정할까? 나일까, 나의 뇌일까?”
나를 발견하고 세상을 꿰뚫는 심리학의 조언
인간을 이해하려면 어디서부터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 심리학에서는 세포, 호르몬 등 비교적 낮은 층위에서부터 문화와 진화에 이르기까지 다층적인 수준에서 인간을 분석하고 있다. 2부 ‘SPECTRUM-우리는 어떤 존재인가’에서는 ‘무의식, 자유의지, 공존’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나와 세상을 이해하는 스펙트럼을 넓힌다.
알지 못했던 나, 무의식의 나를 만날 수 있을까? 연세대 심리학과 김민식 교수는 무의식의 나를 알아야 ‘진짜 나’를 알 수 있다고 말한다. 우리의 모든 행동은 뇌의 놀라운 정보처리능력을 기반으로 하는데, 그중 상당수는 무의식적인 것들이다. 마음과 행동에 대한 과학적 사고의 중요성을 깨닫고 나 자신의 놀라움을 자각하는 것에서부터 진짜 나를 발견해나갈 수 있음을 강조한다.
우리에게 자유의지가 있을까? 반사회적 행위는 뇌 탓인가, 내 탓 인가? 인지신경과학의 창시자이자 캘리포니아대 심리학과 교수인 마이클 가자니가는 우리 사회에 만연한 뇌 결정론에 대해 반박한다. 뇌 이상의 존재, 뇌를 넘어서는 사회적?문화적 산물이 바로 우리, 인간이라는 것이다. 저자가 제시하는 근원적 질문을 따라 가다 보면 인간 존재의 본질을 탐구할 수 있다.
인종과 국경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다문화 세계, 이 혼란의 시기 끝에 평화가 올 수 있을까? 세계적인 문화심리학자이자 스탠퍼드대 심리학과 교수인 헤이즐 로즈 마커스는 다문화 세계에서 나를 지키고 조화롭게 살아가는 방법을 제시한다. 개인주의적인 서양인, 상호 의존적인 동양인이 조화를 이루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서로의 차이를 인정할 때 인류가 한 단계 더 나아갈 수 있음을 강조한다.
이처럼 『심리학 프리즘』은 무의식의 영역부터 문화 전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준에서 인간을 탐구함으로써 나와 세상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가능케 한다. 내 삶을 한 뼘 더 성장시키고픈,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을 꿈꾸는 독자들에게 희망적인 메시지를 건네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