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채색의 세계에 대항하는 개성적 주체
2018년 《시와경계》로 등단한 김영미 시인의 첫 시집 『기린처럼 걷는 저녁』(걷는사람)이 출간되었다. “권태로운 일상성의 메타포”가 돋보이는 이번 시집에는 무채색의 세계에 저항하는 시인으로서의 주체성이 담겨 있다. 시인 겸 문학평론가인 이병철이 김영미의 시세계를 두고 “고독 안에서 변방이자 차가운 칼날으로서의 자기정체성을 날카롭게 벼린다”고 강조한 것처럼, 시인 김영미는 “B주류”, “아웃사이더”를 자처한다.
“안개가 나를 지웠다 나는 어디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다”(「안개 속에 집이 자라났다」)고 시인이 진술할 때, 시인을 둘러싼 세상은 회색 도시가 된다. “하나같이 귀먹은 사람들”(「거기, 안개도시」)이 가득한 도시는 “아무도/그 핏속을 들여다보지 않”(「스테이크」)는 창백한 세상이며, “기억에 엉겨 붙은 선명한,/아직도 꿈을 파먹고 있는”(「뗄 수 없는 딱지」) 삭막한 세상이다. 그 회색빛의 도시 외곽에 “누구도 알 수 없는 발자국”(「누구의 집인가」)을 남기며 “되레 환하고 넓은 길에선 길을 헤”(「간판이 간판을 밀어내는 골목」)매는 화자가 있다. 화자는 자신이 속한 세계에 “적당히 게으르게 참여”하며 “누군가의 배경이 되”(「B급」)지만 이내 융화되지 못하고 그만두는 것을 택한다. 다만 “누가 알아주기를, 중심에 있기를 바라지 않”(「내 스타일」)으며 “밤하늘이 길게 지나가는 것을” (「단춧구멍」) 지켜볼 뿐이다.
하지만 화자는 그러한 일상의 권태에 마냥 순응하지 않는다. “있는 그대로 존재하는 건 없”(「꽃은 고속촬영을 한다」)다고 믿으며 “고독 안에서”(「내 스타일」) 한 명의 시인으로서의 “존재”가 되기 때문이다. 이때 화자는 무력한 개인에서 세상에 대응하는 개성적 주체 “탈출을 꿈꾸는 어린 소녀”(「사막의 검은 새」)로 탈바꿈한다. “사라진 밀어들의 푸른 흔적”(「안개 속에 집이 자라났다」)을 좇으며 자신을 둘러싼 회색빛의 “저 골목을 어떻게 지나갈까 고민”(「입속의 물주머니」)하고, “물속에 잔을 던”(「병 속에서 말이 쏟아졌네」)진다. 획일화의 굴레로부터 탈주하려는 시도는 비단 개인의 혁명이 아니다. 권태와 우울로 뒤덮인 무채색의 세계로부터 독자들을 이끌고 나올 보편의 혁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