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새로운 주거문화를 찾다 철근콘크리트로 지은 최초의 아파트 오귀스트 페레, 파리 프랭클린 가 25번지 아파트, 1904 19세기 파리의 아파트 이성과 감성이 결합되어 탄생한 집 안토니 가우디, 밀라 주택, 1912 에이샴플라 지구 집합주택은 사회적 예술이다 미셸 더클레르크, 에이헌 하르트 집합주택, 1921 네덜란드 주택법 전원도시의 이념을 담은 도시 안 성채 미힐 브링크만, 스팡언 지구 집합주택, 1921 공중 가로의 변신 단순한 형태와 자유로운 공간구성, 근대적 주거의 표상 미스 반데어로에, 슈투트가르트 바이센호프의 판상형 아파트, 1927 독일의 평지붕 논란 소외된 그들을 낙원에서 살게 하라 양떼가 풀을 뜯는 주거지, 프랑크푸르트에 펼쳐진 노동자의 낙원 에른스트 마이, 뢰머슈타트 주거단지, 1928 건축과 권력, 에른스트 마이 vs. 알베르트 슈페어 말굽형 ‘왕관’을 중앙에 둔 다채색의 전원도시 브루노 타우트 ?마르틴 바그너, 브리츠 주거단지, 1927 왕관을 쓴 도시 도시 속 오아시스, 길을 향해 빛나는 백색의 미학 야코뷔스 요하네스 피터르 아우트, 키프훅 주거단지, 1930 베를라허의 도시 vs. 근대건축국제회의의 도시 판상의 아파트가 늘어선 첨단 주거단지 한스 샤로운 외 5인, 지멘스슈타트 주거단지, 1931 기능주의의 두 얼굴 거대한 블록 속에 담은 사회주의 이념 카를 엔, 카를 마르크스 호프, 1930 사회주의 주거모델, 돔 코뮤나 새로운 주거모델의 등장 이상적 주거공동체 르코르뷔지에, 위니테 다비타시옹, 1952 페사크의 집합주택 주거로 구현한 최초의 철과 유리의 마천루 미스 반데어로에, 레이크쇼어 드라이브 860-880번지 아파트, 1951 콘크리트 고층아파트의 탄생 200개의 기둥으로 조성한 가난한 자들의 궁전 페르낭 푸이용, 클리마 드프랑스, 1957 프랑스의 그랑 앙상블 신개인주의 이념을 표출하는 곡선 표면의 고층아파트 알바르 알토, 노이에 파아 아파트, 1962 주거단지 로미오와 줄리엣 도시 맥락에 스며든 집합주택 호세 루이스 세르트, 피바디 테라스, 1964 혼합개발, 그리고 런던의 알톤 지구 집합의 본질을 다시 생각하다 20세기 최초의 저층?고밀 집합주택 아틀리에 파이브, 할렌 주거단지, 1961 뉴욕주 도시개발공사가 지은 저층?고밀 집합주택 도시에 구축한 산토리니의 구릉지 마을 모셰 사프디, 해비타트 67, 1967 집합주택 인터레이스 카펫 하우징 루이스 사워, 펜스 랜딩 스퀘어, 1970 뉴욕의 불도저, 로버트 모지스 길, 커뮤니티의 중심이 되다 니브 브라운, 알렉산드라 로드 주거단지, 1978 신합리주의 건축, 길과 광장의 부활 시간이 만들어낸 특별한 집합체 마키 후미히코, 힐사이드 테라스, 1969년(제1기), 1992년(최종) 메타볼리즘 건축 역사, 문화, 도시의 존중 주민을 위한, 주민에 의한 주거지 만들기 랠프 어스킨, 비커 재개발 주거단지, 1982 고든 컬런의 ‘도시풍경’ 역사성, 근대성, 지역성을 모두 품은 집합주택 알바루 시자, 말라게이라 지구, 1977년(1단계), 1998년(최종) 포르투의 집합주택 보사 노동자들의 궁전 리카르도 보필?타예르 데아르키텍투라, 아브락사스 집합주택, 1983 유형으로 접근한 갈라라테제 집합주택 블록을 지키는 집합주택 로브 크리어 외, 라우흐슈트라세 주거단지, 1985 키르히슈타이크펠트, 역사적 도시조직을 재현한 신도시 올림픽이 낳은 대한민국 최고의 아파트단지 우규승?건축연구소 일건(황일인, 김인석, 최관영), 서울 올림픽 선수촌?기자촌 아파트, 1988 디자인 명품 주거단지 세기말, 미래의 주거상 찾기 도시에 만든 집의 수풀 핏 블롬, 큐브하우스, 1984 핏 블롬과 르코르뷔지에의 유작 구릉지 위에 구현한 건축의 자연화, 자연의 건축화 안도 다다오, 롯코 집합주택 1, 2, 3, 1983년(1기), 1993년(2기), 1999년(3기) 집합주택 ‘별’, 인공적 환경 속에 자연을 담다 가족과 사회의 관계를 새롭게 공간화한 폐쇄된 공동체 야마모토 리켄, 호타쿠보 주거단지, 1991 일본 집합주택 변신의 주역들 판상형 아파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