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 주도 설계로 시작하는 마이크로서비스 개발

한정헌님 외 3명
436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2.8
평균 별점
(3명)
코멘트
더보기

위키북스 IT Leaders 시리즈 33권. 마이크로서비스 개발에 입문하고자 하는 분들을 위해 전반적인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개념과 주요 패턴들을 소개하고 마이크로서비스 개발 방법으로 가장 주목받는 도메인 주도 설계를 살펴본다. 특히 도메인 주도 설계의 업무 분석 및 설계 기법인 이벤트 스토밍을 통해 업무를 빠르게 분석하고 마이크로서비스를 도출 및 설계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 책은 초심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마이크로서비스의 전반적인 개념을 설명한 후 실제 마이크로서비스 개발을 위한 아키텍처 정의, 마이크로서비스 도출, 도메인 모델 설계, 구현, 빌드 및 배포와 같은 마이크로서비스 개발 활동들을 단계별로 알아본다.

캘린지 1주년! 생일 축하해 🎂

영화 6편을 골라보고 캘린지 완주해 보세요

왓챠피디아

캘린지 1주년! 생일 축하해 🎂

영화 6편을 골라보고 캘린지 완주해 보세요

왓챠피디아

저자/역자

목차

▣ 01장: 아마존 비즈니스 민첩성의 비밀 1.1 성공한 인터넷 기업들과 비즈니스 민첩성 ___1.1.1 성공 사례: 아마존의 배포 속도 ___1.1.2 클라우드 인프라의 등장 ___1.1.3 클라우드 인프라에 어울리는 애플리케이션의 조건 ______스케일 업과 스케일 아웃 ______특정 서비스만 탄력성 있게 확장(스케일 아웃) ______클라우드 프렌들리와 클라우드 네이티브 1.2 마이크로서비스란 무엇인가? ___1.2.1 모노리스와 마이크로서비스 비교 ___1.2.2 SOA와 마이크로서비스 1.3 마이크로서비스를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 ___1.3.1 조직의 변화: 업무 기능 중심 팀 ___1.3.2 관리체계의 변화: 자율적인 분권 거버넌스, 폴리글랏 ___1.3.3 개발 생명주기의 변화: 프로젝트가 아니라 제품 중심으로 ___1.3.4 개발 환경의 변화: 인프라 자동화 ___1.3.5 저장소의 변화: 통합 저장소가 아닌 분권 데이터 관리 ___1.3.6 위기 대응 방식의 변화: 실패를 고려한 설계 1.4 정리 ▣ 02장: MSA의 이해 2.1 리액티브 선언: 현대 애플리케이션이 갖춰야 할 바람직한 속성들 2.2 강 결합에서 느슨한 결합의 아키텍처로의 변화 2.3 마이크로서비스의 외부 아키텍처와 내부 아키텍처 2.4 MSA 구성요소 및 MSA 패턴 ___2.4.1 인프라 구성요소 ______퍼블릭 클라우드와 베어 메탈, 프라이빗 클라우드 환경 ______VM과 컨테이너 ______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______그 밖의 다양한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___2.4.2 마이크로서비스 운영과 관리를 위한 플랫폼 패턴 ______개발 지원 환경: 데브옵스 인프라 구성 ______빌드/배포 파이프라인 설계 ______마이크로서비스 생태계와 운영 관리 요소의 탄생 ______경험으로 획득한 지혜: 마이크로서비스 관리/운영 패턴 ______스프링 클라우드: 스프링 부트 + 넷플릭스 OSS ______다양한 서비스의 등록 및 탐색을 위한 서비스 레지스트리, 서비스 디스커버리 패턴 ______서비스 단일 진입을 위한 API 게이트웨이 패턴 ______BFF 패턴 ______외부 구성 저장소 패턴 ______인증/인가 패턴 ______장애 및 실패 처리를 위한 서킷 브레이커 패턴 ______모니터링과 추적 패턴 ______중앙화된 로그 집계 패턴 ______MSA 기술 변화 흐름 ______서비스 메시 패턴 ___2.4.3 애플리케이션 패턴 ______UI 컴포지트 패턴 또는 마이크로 프런트엔드 ______마이크로서비스 통신 패턴 ______저장소 분리 패턴 ______분산 트랜잭션 처리 패턴 ______읽기와 쓰기 분리: CQRS 패턴 ______API 조합과 CQRS ______쓰기 최적화: 이벤트 소싱 패턴 2.5 정리 ▣ 03장: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3.1 비즈니스 로직은 어디에? - 관심사의 분리 ___3.1.1 데이터베이스 중심 아키텍처의 문제점 3.2 헥사고날 아키텍처와 클린 아키텍처 ___3.2.1 레이어드 아키텍처 ___3.2.2 헥사고날 아키텍처 ___3.2.3 클린 아키텍처 3.3 마이크로서비스의 내부 구조 정의 ___3.3.1 바람직한 마이크로서비스의 내부 아키텍처: 클린 마이크로서비스 ___3.3.2 내부 영역 - 업무 규칙 ______트랜잭션 스크립트 패턴 ______도메인 모델 패턴 ______도메인 주도 설계의 애그리거트 패턴 ___3.3.3 외부 영역 - 세부사항 ______API 퍼블리싱 어댑터 ______API 프락시 어댑터 ______저장소 처리 어댑터 ______도메인 이벤트 발행 어댑터 ______도메인 이벤트 핸들러 3.4 정리 ▣ 04장: 마이크로서비스와 애자일 개발 프로세스 4.1 도메인 주도 설계와 마이크로서비스 4.2 기민한 설계/개발 프로세스 ___4.2.1 점진/반복적인 스크럼 생명주기 ___4.2.2 아키텍처 정의와 마이크로서비스 도출 ___4.2.3 스프린트 내 개발 공정 4.3 정리 ▣ 05장: 마이크로서비스 설계 5.1 마이크로서비스를 도출하는 방법 ___5.1.1 비즈니스 능력에 근거한 도출 ___5.1.2 DDD의 바운디드 컨텍스트 기반 도출 5.2 DDD에서의 설계 5.3 DDD의 전략적 설계 ___5.3.1 도메인과 서브도메인 ___5.3.2 유비쿼터스 언어와 도메인 모델, 바운디드 컨텍스트 ___5.3.3 컨텍스트 매핑 ______주요 컨텍스트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넷플릭스, 우버, 아마존, 쿠팡 등의 대규모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들의 애플리케이션은 어떤 구조로 만들어졌을까? 가상화되고 유연하게 변경되는 클라우드 인프라에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 형태는 무엇일까? 이러한 질문의 해답이 되는 애플리케이션 형태가 바로 마이크로서비스이며, 마이크로서비스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장 진화된 애플리케이션 형태다. 이 책은 마이크로서비스 개발에 입문하고자 하는 분들을 위해 전반적인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개념과 주요 패턴들을 소개하고 마이크로서비스 개발 방법으로 가장 주목받는 도메인 주도 설계를 살펴본다. 특히 도메인 주도 설계의 업무 분석 및 설계 기법인 이벤트 스토밍을 통해 업무를 빠르게 분석하고 마이크로서비스를 도출 및 설계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 책은 초심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마이크로서비스의 전반적인 개념을 설명한 후 실제 마이크로서비스 개발을 위한 아키텍처 정의, 마이크로서비스 도출, 도메인 모델 설계, 구현, 빌드 및 배포와 같은 마이크로서비스 개발 활동들을 단계별로 알아본다. ★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 ◎ 마이크로서비스의 주요 개념과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패턴 ◎ JHipster를 이용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구현 ◎ 이벤트 스토밍 기법을 활용한 마이크로서비스 도출 ◎ 도메인 모델 중심의 마이크로서비스 내부 설계 ◎ 카프카를 활용한 이벤트 기반 마이크로서비스 개발과 클라우드 환경 배포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