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출판사 제공 책 소개
21개 도시 구석구석을 여행하며 배우는 이슬람의 역사와 문화 중동-이슬람 최고 권위자 이희수 교수가 들려주는 이슬람에 대한 오해와 진실 “이슬람을 믿는 무슬림은 잠재적 테러리스트인가?” 이 책의 저자 이희수 교수는 이슬람이 태동하고 확산해 나간 주요 도시를 돌아보며 이슬람 세계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중동-이슬람 최고 권위자로 40년간 현장 연구를 해온 저자는 “이슬람만큼 왜곡된 이미지를 갖고 있는 종교도 없다”라고 강조한다. 이슬람도 다른 기성 종교와 마찬가지로 마음의 평온과 세상의 평화를 지향한다. 그런데 왜 유독 이슬람은 폭력적인 이미지를 갖게 되었을까? 57개 나라 20억이 이슬람을 믿는다. 전 세계 인구의 4분의 1에 해당하는데, 점점 확장되는 추세다. ‘폭력적인’ 종교가 어떻게 성장세를 지속할 수 있을까? 이슬람이 폭력적인 이미지를 갖게 된 데는 몇 가지 원인이 있다. 오랜 시간에 걸친 서구와 이슬람 세계의 정복 전쟁, 중동 지역에 무분별하게 개입한 강대국의 자국 이기주의,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이슬람 원리주의 집단을 비호하는 아랍의 독재 정권 등을 들 수 있다. 실제로 테러집단은 이슬람 세계에서 대중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있다. 현재 중동 지역 이슬람권과 적대적인 나라는 미국과 이스라엘이다. 우리는 이슬람과 접촉이 취약한 상태에서 미국과 이스라엘이 제공하는 정보와 시각만으로 이슬람을 바라보게 된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이슬람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된 것이다. 같은 이슬람 국가라도 해도 실제 모습은 천차만별이다. 여성에게 율법으로 히잡을 강요하는 나라가 있는가 하면, 히잡 착용을 자율에 맡기는 나라도 있다. 간통죄에 투석형을 고집하는 나라가 있는 반면 시대착오라며 폐지한 나라도 있다. 일부다처를 법으로 금지하는 나라가 늘고 있으니 이 악습도 곧 사라질 전망이다. 이처럼 이슬람은 하나의 모습이 아니고, 또 끊임없이 변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는 무슬림 하면 “무섭고 피하고 싶은”, “잠재적 테러리스트”로 인식하고 있다. 만나지 않고 알려고 하지 않으니 고정관념과 편견은 점점 더 견고해진다. 저자는 글로벌시대에, 더구나 대외의존도가 매우 높은 한국이 오해와 편견에 사로잡혀 가장 큰 단일 문화권을 적대시하는 일이 더 이상 지속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편견에서 벗어나는 길은 만나고 대화하는 것이다. 저자는 여행가이드가 되어 21개 주요 이슬람 도시로 독자를 안내한다. 상업을 중시하는 종교로 출발한 이슬람은 도시를 중심으로 뿌리를 내렸다. 도시는 이슬람 문명의 뿌리인 셈이다. 도시를 장식하고 있는 화려한 건축물은 물론 시장, 뒷골목 구석구석을 다니며 이슬람과 만난다. “각 도시의 역사와 현재의 모습,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속내를 충실하게 전달하고자 애를 썼다. 무엇보다 왜곡된 역사 인식을 걷어내고 인류사를 보다 공정하고 균형 잡힌 방향으로 되돌려놓고자 노력했다.” 저자와 함께 여행하면서 독자는 이슬람 세계가 탄생하고 번성한 과정을 배우고, 그들이 일군 찬란한 문화유산을 감상하게 된다. 또한 중동 지역에서 전쟁과 테러가 난무하는 원인에 대해서도 일방의 관점이 아니라 균형 잡힌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된다. 도시는 이슬람 문명의 뿌리! 21개 도시 구석구석을 여행하며 배우는 이슬람의 역사와 문화 중동-이슬람 권위자 이희수 교수가 들려주는 이슬람에 대한 오해와 진실 “이슬람을 믿는 무슬림은 잠재적 테러리스트인가?” 올해 2월 울산에서는 무슬림인 아프카니스탄 출신 귀화자 자녀들이 인근 초등학교에 입학하지 못하게 해달라는 시위가 있었다. 이 사건은 주요 외신의 해외토픽란을 장식하기도 했다. 시위에 참가한 학부모들은 “우리 아이들을 잠재적 테러리스트와 한 교실에서 공부하게 할 수는 없어요. 아이를 학교에 보내기가 겁이 나요”라고 주장했다. 학부모들의 주장대로 모든 무슬림은 잠재적 테러리스트일까? 저자는 이슬람이 태동하고 확산해 나간 주요 도시를 돌아보며 이슬람 세계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중동-이슬람 최고 권위자로 40년간 현장 연구를 해온 저자는 “이슬람만큼 왜곡된 이미지를 갖고 있는 종교도 없다”라고 강조한다. 이슬람은 왜 이토록 폭력적인 이미지를 갖게 되었을까? 57개 나라 20억 인구가 이슬람을 믿는다. 전 세계 인구의 4분의 1에 해당한다. 게다가 이슬람 신자들은 계속 늘고 있다. ‘폭력적인’ 종교가 성장세를 지속한다는 이 아이러니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다른 기성 종교와 마찬가지로 이슬람 역시 내면의 평안과 세계의 평화를 지향한다. 그런데 유독 이슬람이 폭력적인 이미지를 갖게 된 데는 몇 가지 원인이 있다. 오랜 시간에 걸친 서구와 이슬람 세계의 정복 전쟁, 중동 지역에 무분별하게 개입한 강대국의 자국 이기주의,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이슬람 원리주의 집단을 비호하는 아랍의 독재 정권 등을 들 수 있다. 실제로 테러집단은 이슬람 세계에서 대중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있다. 여러 원인으로 인해 중동 지역에서 전쟁과 테러가 빈번하게 발생해 우리는 이슬람과 아랍, 테러를 하나로 연결 짓지만, 이슬람의 70퍼센트 이상이 아시아에 분포한다. 인도네시아, 인도, 파키스탄, ‘ㅇㅇ스탄’을 쓰는 중앙아시아의 여러 나라가 이슬람권이다. ‘아랍=이슬람’이라는 인식부터 올바르지 않다. 중동 지역 이슬람권과 적대적인 나라는 미국과 이스라엘이다. 우리는 이슬람과 접촉이 취약한 상태에서 미국과 이스라엘이 제공하는 정보와 시각으로 이슬람을 바라보게 된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이슬람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된 것이다. 같은 이슬람 국가라도 그 모습은 다양하고, 또 끊임없이 변하고 있다. 여성에게 율법으로 히잡을 강요하는 나라가 있는가 하면, 히잡 착용을 자율에 맡기는 나라도 있다. 간통죄에 투석형을 고집하는 나라가 있는 반면 폐지한 나라도 있다. 일부다처를 법으로 금지하는 나라가 늘고 있으니 이 악습도 곧 사라질 전망이다. 그런데 우리는 무슬림 하면 “무섭고 피하고 싶은”, “잠재적 테러리스트”로만 인식하고 있다. 만나지 않고 알려고 하지 않으니 고정관념과 편견은 점점 더 견고해진다. 저자는 오늘날과 같은 글로벌시대에, 더구나 대외의존도가 매우 높은 한국이 오해와 편견에 사로잡혀 가장 큰 단일 문화권을 적대시하는 오류를 더이상 지속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편견에서 벗어나는 길은 만나고 대화하는 것이다. 저자는 여행가이드가 되어 21개 주요 이슬람 도시로 독자를 안내한다. 상업을 중시하는 종교로 출발한 이슬람은 도시를 중심으로 뿌리를 내렸다. 도시는 이슬람 문명의 뿌리인 셈이다. 도시를 장식하고 있는 화려한 문화유산부터 시장, 뒷골목 구석구석을 다니며 이슬람과 만난다. “각 도시의 역사와 현재의 모습,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속내를 충실하게 전달하고자 애를 썼다. 무엇보다 왜곡된 역사 인식을 걷어내고 인류사를 보다 공정하고 균형 잡힌 방향으로 되돌려놓고자 노력했다.” 저자와 함께 여행하면서 독자는 이슬람 세계가 탄생하고 번성한 과정을 배우고, 그들이 일군 찬란한 문화유산을 감상하게 된다. 또한 중동 지역에서 분쟁과 갈등이 난무하는 원인에 대해서도 균형 잡힌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천년의 역사가 살아 숨 쉬는 이슬람 도시의 매력 뒷골목, 시장, 카페에서 만나는 무슬림의 진짜 모습 이번 여행은 이슬람이 태동한 도시 메카(사우디아라비아)에서 출발해 인도,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이베리아반도, 서부 아프리카를 지나 서울 이태원에서 여정을 마무리한다. 이 도시들을 여행하면서 독자는 이슬람이 어떻게 빠른 속도로 확산되어 천년 제국을 건설할 수 있었는지 자연스럽게 이해하게 된다. 이슬람은 유럽이 중세 암흑의 시대를 보내는 동안 세계 최고의 과학기술과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