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부 (16세기) 이황?성제원?이이?성혼 19
1장 이황 : 현실적 원인과 전환시대의 논리 21
1. 16세기를 바라보는 눈 22
2. 생애를 통해 본 현실적 원인 : ‘사화’ 26
1) 성장기 28
2) 수학기 32
3) 정립기 36
4) 완성기 39
3. 전환시대의 논리 : ‘리발’ 41
1) 현실부정주의와 현실낙관주의 : ‘리기의 분속’ 43
2) 평등주의와 차등주의 : ‘본연지성과 기질지성’ 50
3) 사단의 직출 : ‘리발’ 59
4. 남겨진 문제들 64
2장 성제원 : 삶으로서의 철학, 철학으로서의 삶 67
1. 처사의 길과 공부의 방법 68
2. 서간문에 그려진 유학자의 초상 70
3. 시에 깃든 회통의 의미 81
4. 철학적 사유로서의 삶 85
5. 세상을 건너는 소요유의 삶 94
3장 이이 : 리기지묘를 통한 회통 철학 99
1. 회통 철학의 연원과 맥락 100
2. 회통 철학의 유학적 전거 103
1) ??주역??의 회통 철학 103
2) ??중용??의 회통 철학 110
3. 리기지묘에 나타난 회통 철학 116
4. 리통기국에 나타난 회통 철학 124
5. 기발리승에 나타난 회통 철학 131
6. 유교와 불교의 회통 136
7. 유교와 도가의 회통 141
8. 다원적 성리학의 가능성 148
4장 이이 : 유가의 생태 철학 153
1. 생태계 파괴에 대한 인식 154
2. 생태학과 유학의 상관관계 160
3. 우주론의 생태학적 해석 165
4. 생태계 안에서 인간의 자세 173
5. 생태계 복원을 위하여 178
5장 성혼 : 리기일발에 나타난 주리이발의 함의와 경향성183
1. 절충파라는 이름의 제고를 위하여 184
2. 리기일발에 나타난 주리이발의 함의 187
1) 리기호발은 천하의 정리이다 188
2) 인심도심은 리기호발과 같은 맥락이다 192
3. 리기일발에 나타난 주리이발의 경향성 195
1) 리는 기의 주재이다 196
2) 리기의 두 물건은 선재한다 199
4. 주리이발의 철학적 문제의식 202
1) 리의 능동성과 기의 중요성 203
2) 실제 내용이 중요하다 209
5. 주리이발의 현대적 해석 210
제 2 부 (17세기) 송시열?박세당?윤휴?정경세 215
6장 송시열 : 이황의 리발 비판에 대한 검토 217
1. 주희와 이황의 리발의 문제 218
2. 문헌학적 고찰; 주희의 기록이 오기인가? 주희는 리발을 부정하였는가? 223
3. 송시열은 왜 사단부중절을 강조하는가? 235
1) 송시열의 사단칠정 재해석; 이황 리발의 근거 비판 236
2) 송시열의 사단부중절 강조에 나타난 철학적 의미 241
4. 주희에게로 복귀가 발전인가? 퇴행인가? 252
7장 박세당 : 도가를 통한 회통 철학 255
1. 17세기의 현실 인식 256
2. 기존 연구 성과에 대한 검토 260
3. 도?명의 체용론적 회통 268
4. 유?무의 체용론적 회통 275
5. 음?양의 대대적 회통 283
6. 회통의 남겨진 문제들 288
8장 17세기의 인식론에 관한 입장들 293
1. 예학의 시대를 넘어서 294
2. 기존 연구 성과에 대한 검토 298
3. 격물치지론의 전거 309
1) 주희의 격물치지론 309
2) 이황의 격물치지론 313
3) 이이의 격물치지론 317
4. 인식주체의 문제 320
5. 물격지지의 문제 326
6. 나오는 말 330
9장 17세기 비유와 상징을 통해 본 유학자의 사유모형 333
1. 양난을 극복하는 철학자의 사유 334
2. 유가 지식인의 문집에 나타난 비유와 상징의 모형들337
3. 도가 지식인의 문집에 나타난 비유와 상징의 모형들350
4. 17세기 비유적 상징체계에 나타난 철학적 전개양상 356
5. 17세기 사유모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