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01장: 프로그래밍
1.1 프로그래밍이란?
1.2 프로그래밍 언어
1.3 구문과 의미
▣ 02장: 자바스크립트란?
2.1 자바스크립트의 탄생
2.2 자바스크립트의 표준화
2.3 자바스크립트 성장의 역사
____2.3.1 Ajax
____2.3.2 jQuery
____2.3.3 V8 자바스크립트 엔진
____2.3.4 Node.js
____2.3.5 SPA 프레임워크
2.4 자바스크립트와 ECMAScript
2.5 자바스크립트의 특징
2.6 ES6 브라우저 지원 현황
▣ 03장: 자바스크립트 개발 환경과 실행 방법
3.1 자바스크립트 실행 환경
3.2 웹 브라우저
____3.2.1 개발자 도구
____3.2.2 콘솔
____3.2.3 브라우저에서 자바스크립트 실행
____3.2.4 디버깅
3.3 Node.js
____3.3.1 Node.js와 npm 소개
____3.3.2 Node.js 설치
____3.3.3 Node.js REPL
3.4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____3.4.1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설치
____3.4.2 내장 터미널
____3.4.3 Code Runner 확장 플러그인
____3.4.4 Live Server 확장 플러그인
▣ 04장: 변수
4.1 변수란 무엇인가? 왜 필요한가?
4.2 식별자
4.3 변수 선언
4.4 변수 선언의 실행 시점과 변수 호이스팅
4.5 값의 할당
4.6 값의 재할당
4.7 식별자 네이밍 규칙
▣ 05장: 표현식과 문
5.1 값
5.2 리터럴
5.3 표현식
5.4 문
5.5 세미콜론과 세미콜론 자동 삽입 기능
5.6 표현식인 문과 표현식이 아닌 문
▣ 06장: 데이터 타입
6.1 숫자 타입
6.2 문자열 타입
6.3 템플릿 리터럴
____6.3.1 멀티라인 문자열
____6.3.2 표현식 삽입
6.4 불리언 타입
6.5 undefined 타입
6.6 null 타입
6.7 심벌 타입
6.8 객체 타입
6.9 데이터 타입의 필요성
____6.9.1 데이터 타입에 의한 메모리 공간의 확보와 참조
____6.9.2 데이터 타입에 의한 값의 해석
6.10 동적 타이핑
____6.10.1 동적 타입 언어와 정적 타입 언어
____6.10.2 동적 타입 언어와 변수
▣ 07장: 연산자
7.1 산술 연산자
____7.1.1 이항 산술 연산자
____7.1.2 단항 산술 연산자
____7.1.3 문자열 연결 연산자
7.2 할당 연산자
7.3 비교 연산자
____7.3.1 동등/일치 비교 연산자
____7.3.2 대소 관계 비교 연산자
7.4 삼항 조건 연산자
7.5 논리 연산자
7.6 쉼표 연산자
7.7 그룹 연산자
7.8 typeof 연산자
7.9 지수 연산자
7.10 그 외의 연산자
7.11 연산자의 부수 효과
7.12 연산자 우선순위
7.13 연산자 결합 순서
▣ 08장: 제어문
8.1 블록문
8.2 조건문
____8.2.1 if...else 문
____8.2.2 switch 문
8.3 반복문
____8.3.1 for 문
____8.3.2 while 문
____8.3.3 do...while 문
8.4 break 문
8.5 continue 문
▣ 09장: 타입 변환과 단축 평가
9.1 타입 변환이란?
9.2 암묵적 타입 변환
____9.2.1 문자열 타입으로 변환
____9.2.2 숫자 타입으로 변환
____9.2.3 불리언 타입으로 변환
9.3 명시적 타입 변환
____9.3.1 문자열 타입으로 변환
____9.3.2 숫자 타입으로 변환
____9.3.3 불리언 타입으로 변환
9.4 단축 평가
____9.4.1 논리 연산자를 사용한 단축 평가
____9.4.2 옵셔널 체이닝 연산자
____9.4.3 null 병합 연산자
▣ 10장: 객체 리터럴
10.1 객체란?
10.2 객체 리터럴에 의한 객체 생성
10.3 프로퍼티
10.4 메서드
10.5 프로퍼티 접근
10.6 프로퍼티 값 갱신
10.7 프로퍼티 동적 생성
10.8 프로퍼티 삭제
10.9 ES6에서 추가된 객체 리터럴의 확장 기능
____10.9.1 프로퍼티 축약 표현
____10.9.2 계산된 프로퍼티 이름
____10.9.3 메서드 축약 표현
▣ 11장: 원시 값과 객체의 비교
11.1 원시 값
____11.1.1 변경 불가능한 값
____11.1.2 문자열과 불변성
____11.1.3 값에 의한 전달
11.2 객체
____11.2.1 변경 가능한 값
____11.2.2 참조에 의한 전달
▣ 12장: 함수
12.1 함수란?
12.2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12.3 함수 리터럴
12.4 함수 정의
____12.4.1 함수 선언문
____12.4.2 함수 표현식
____12.4.3 함수 생성 시점과 함수 호이스팅
____12.4.4 Function 생성자 함수
____12.4.5 화살표 함수
12.5 함수 호출
____12.5.1 매개변수와 인수
____1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