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장. 들어가며 정답 없는 전쟁을 바라보며 보론: 전쟁과 시민사회 1 보론: 전쟁과 시민사회 2 보론: 전쟁과 시민사회 3 2장. 전쟁의 성격과 원인 1 대리전쟁으로서의 우크라이나전쟁 — 나토 동진과 러시아의 ‘실존 위협론’ — 나토 동진과 러시아의 대응 — 우크라이나전쟁은 제2의 아프가니스탄전쟁인가? 2 ‘내전의 계속’으로서 우크라이나전쟁 — 2014년 마이단: 존엄혁명 아니면 ‘뻔뻔한 쿠데타’ — 우크라이나의 네오나치 3 루소포비아의 정치학 3장. 2022년 전쟁의 전개 1 전쟁은 언제 시작되었나? 2 전쟁의 1단계: 러시아의 패배인가 거대한 기만인가? 3 전쟁 2단계의 전개와 특성 — 전쟁의 전개 양상: 작전과 전투 — 아조프연대와 마리우폴 전투 — 탈산업화 시대의 물량전 4 하이브리드전쟁 — 경제전쟁으로서 대러 제재: EU의 자해인가 러시아의 고립인가? — 프레스티튜트와 포스트트루스 시대의 언론(정보)전쟁 5 전쟁의 3단계: 돈바스를 넘어 노보로시야? 4장. 우크라이나전쟁과 신세계질서 1 지정학적 대전환과 신냉전: 단극에서 다극으로 — 다극 체제로의 평화적 이행은 가능한가?: 지정학의 귀환과 중러 전략협력 체제 — 미국의 대전략: 글로벌 나토와 동맹 궁핍화 — 다극 체제와 글로벌사우스 2 달러 헤게모니의 위기: 새로운 준비통화의 출현 3 산업 자본주의와 금융 자본주의: 글로벌 경제의 종말? 4 정의로운 신세계질서? 5장. 한국의 ‘지정치경제적’ 대위기? 1 한국의 지정학적 정체성과 오리엔탈리즘 2 한국의 대전략: 다극 체제와 포스트 한반도평화프로세스 6장. 클라우제비츠와 함께 칸트로?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