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펴내며
국가폭력 트라우마 위에 꽃피운 처절한 사랑, 두 사람의 재결합에는 “가자.”라는 말만 필요했을 뿐!!
1장 사직동의 당돌한 소녀
보름날에 태어난 갓난아기/ 경기도 진위에서 서울 사직동으로/ 집에서 봉변을 당한 다섯 살 소녀/ “현경아, 언니 숙제 좀 해줘!”/ 팔방미인 외할머니/ 선머슴 언니의 화려한 변신/ 걸출한 사업가 아버지와 두 명의 작은어머니
2장 문학소녀와 시인의 만남
시인 김수영과의 첫 만남/ 태평양 전쟁의 와중에서 선생이 되다/ 위기일발, 체포령이 떨어진 새내기 교사/ 해방된 나라에서 시를 써야지/ 어디서든 빛이 나는 여대생/ 시로는 당해낼 수가 없겠네/ 박인환과 임화 그리고 배인철
3장 마침내 시인과의 사랑이 익어가던 날
충격적인 총격사건과 희대의 스캔들/ 한줄기 구원의 빛, “문학 하자!”/ 누구도 흉내 못 내는 아방가르드 여자/나는 또 이별을 하는구나/ 가장 로맨틱한 프로포즈, My soul is dark/ 동거, 운명적인 사랑에 모든 것을/ 시어머니는 언제나 든든한 언덕
4장 전쟁이 남긴 것, 그 상처가 배태한 것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끝내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 몰살을 피한 아찔한 피란길/ 피란 시절의 웃지 못할 이야기들/ 어둠 뚫고 사선 넘어 귀환한 시인/ 전쟁이 끝났지만 다시 엇갈리는 두 사람/ 불편한 동거로 번민이 깊어지고
5장 운명보다 지독한 사랑이었다
깊은 상처는 짙은 그리움이었다/ 그날부터 다시 부부가 된 사연/ 선천적으로 타고난 연극쟁이/ 멋진 양옥집으로 탈바꿈한 구수동 안식처/ 김수영 문학이 피어오른 구수동 시절/ 10년간 양계를 하면서 얻은 것들/ 구수동을 떠올리는 일상의 조각들
6장 눈부신 광휘가 햇살처럼 비치던 날들
전란의 혼돈 속에서도 학업을 이어간 동생들/ 꼬마 기자와 엔젤 양장점/ 신문로에 새롭게 단장한 양장점을 냈지만/ 위대한 시인이 떠나가던 날/ 잠파노의 울음보다 더한 반성의 울부짖음/ 마지막 꿈, “서사 담은 생활문학관 짓겠다!”
발문
어떤 후기(後記) - 고은(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