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_주의

박권일님 외 4명
188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2(19명)
0.5
3.5
5
평가하기
3.2
평균 별점
(19명)
코멘트
더보기

알마 해시태그 시리즈 1권 '혐오' 편에서는 혐오는 왜 나쁜가? 이것을 생각해 나가다보면 혐오가 문제의 원인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고 말한다. 혐오는 '증상'이다. 증상을 관찰하는 일은 중요하지만 거기에 함몰되어선 곤란하다. 즉, 우리는 혐오를 사회악으로 지목할 게 아니라 혐오를 만들어내는 메커니즘을 찾아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혐오표현에 대해 법이 개입할 경우 그 방식은 형사적 제재(형벌)의 방식, 민사적 제재(손해배상)의 방식, 차별시정의 방식 등 다양하게 구체화될 수 있는데, 혐오표현의 피해자가 입는 인격적 피해를 우선시킬 것인지, 혐오표현의 주체가 주장하는 표현의 자유에 포함된 중요성을 우선시킬지를 합리적으로 고려하여 구체적인 법적 규제 방안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끝맺는다.

NEW 팝콘 붕어싸만코

문상훈을 울린 달콤한 만남

빙그레 붕어싸만코 · AD

별점 그래프
평균 3.2(19명)
0.5
3.5
5

NEW 팝콘 붕어싸만코

문상훈을 울린 달콤한 만남

빙그레 붕어싸만코 · AD

저자/역자

코멘트

2

목차

#혐오는_원인이_아니라_증상이다 박권일 _____ 7 #순수함에의_의지와_정치혐오 김학준 _____ 35 #지금_가장_정치적인_것은_여성적인_것이다 허윤 _____ 73 #대중문화에서_여성혐오는_어떻게_작동하는가 위근우 _____ 111 #혐오표현을_법으로_처벌할_수_있을까? 이준일 _____ 155

출판사 제공 책 소개

#해시태그 알마 해시태그 시리즈는 사회를 잇고 모으는 연결고리입니다. 소셜 키워드를 통해 사회 현상을 읽고 지금 바로 여기, 그리고 미래를 탐구합니다. 그 첫 번째 키워드는 ‘혐오’입니다. 혐오는 왜 나쁜가? 지금 가장 정치적인 것은 여기에 있다. 혐오는 왜 나쁜가? 이것을 생각해 나가다보면 혐오가 문제의 원인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혐오는 ‘증상(symptom)’이다. 증상을 관찰하는 일은 중요하지만 거기에 함몰되어선 곤란하다. 우리는 혐오를 사회악으로 지목할 게 아니라 혐오를 만들어내는 메커니즘을 찾아내야 한다. _박권일, 〈혐오는_원인이_아니라_증상이다〉 중에서 ‘김치녀’ ‘맘충’이란 단어가 유행하자, 곧 이에 대적할 만한 혐오표현인 ‘개저씨’와 ‘한남충’이 등장했다. 그간 남성이 여성을 대하는 방식을 ‘미러링’하여 똑같은 방식으로 되갚아 주겠다는 ‘메갈리아’라는 인터넷사이트를 두고 남성들은 ‘남성혐오’라고 분노했다. ‘헬조선’이라고 자조하며 사회 자체를 혐오하는 청년들을 향해 장년층은 젊어서 그런 고생도 견디지 못하냐며 혀를 찬다. 그리고 요즘 사람들은 광화문 광장에 매일같이 모여 나라를 망친 장본인들을 향해 촛불을 들고서 정치를 혐오한다. 현재 대한민국에는 ‘혐오’란 감정이 난무한다. 사실 굳이 혐오라고 부르지 않아도 되는 감정까지 ‘혐오’라는 단어를 빌릴 정도다. 그러나 단순히 이 국가를 ‘혐오사회’라고 단정 짓고 끝내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이제는 현재 사회에 존재하는 수많은 혐오의 ‘결’을 들여다보고, 그 ‘혐오’의 감정과 마주할 때다. 알마 해시태그 시리즈의 첫 시작인 《#혐오_주의》는 사회학자 박권일의 혐오의 메커니즘을 찾아보는 〈#혐오는_원인이_아니라_증상이다〉를 시작으로, 진보와 보수 가리지 않고 존재하는 정치혐오를 ‘촛불집회’라는 코드로 해석해보는 김학준의 〈#순수함에의_의지와_정치혐오〉, 그리고 여성혐오와 메갈리아의 언어를 살펴보는 여성학자 허윤의 〈#지금_가장_정치적인_것은_여성적인_것이다〉와 대중문화에서 은연중에 드러나는 여성혐오를 꼬집는 대중문화기자 위근우의 〈#대중문화에서_여성혐오는_어떻게_작동하는가〉, 마지막으로 이러한 혐오표현을 법적으로 제재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는 법학자 이준일의 〈#혐오표현을_법으로_처벌할_수_있을까?〉등으로 현재 대한민국 사회를 지배하는 코드 중 하나인 ‘혐오’의 다양한 결을 파헤쳐본다. 혐오의 증상을 파악해야 한다 소셜 키워드를 통해 사회 현상을 읽고 지금 바로 ‘여기’를 바탕으로 ‘미래’를 탐구하고자 하는 ‘알마 해시태그’는 그 첫 번째 키워드로 ‘혐오’를 택했다. 우리 사회에 난무하는 혐오의 감정을 사회학, 정치, 여성학, 대중문화, 법이라는 범주로 분석하며 그 실체를 파악하고, 그를 바탕으로 혐오의 감정을 넘어서는 새로운 지점을 그려보려 했다. 《혐오주의》는 사회학자 박권일의 ‘헬조선’ 담론을 통해 사회에 만연한 혐오 감정의 원인을 파악하는 〈#혐오는_원인이_아니라_증상이다〉로 시작한다. 혐오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왜 혐오가 나쁘냐는 물음에 “혐오는 나쁜 감정이니까 나쁘다”거나, “혐오가 약자와 소수자를 차별하게 만드니까 나쁘다”라고 답하곤 한다. 이런 대답들은 분명 선한 의지에서 나온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이런 대답들은 우리가 직면한 문제의 성격을 오인하게 만들 수 있다. 혐오라는 정동(affection)에 집중할수록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만 바라보는’ 우를 범하기 쉬워진다. (중략) 혐오는 왜 나쁜가? 이것을 생각해 나가다보면 혐오가 문제의 원인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혐오는 ‘증상(symptom)’이다. 증상을 관찰하는 일은 중요하지만 거기에 함몰되어선 곤란하다. 우리는 혐오를 사회악으로 지목할 게 아니라 혐오를 만들어내는 메커니즘을 찾아내야 한다. _pp.8∼9, 1장〈#혐오는_원인이_아니라_증상이다〉 중에서 박권일은 혐오라는 감정을 사회악으로 여기고 무조건 꺼려할 것이 아니라, 그것을 증상으로 보고 원인을 살펴봐야 한다고 역설한다. 그는 특히 헬조선 담론을 예로 들며 혐오가 만연하는 현상의 사회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했다. 헬조선이란 용어의 등장과 특징, 그것에 대한 기성세대의 반응을 짚어나가면서, 특히 헬조선 담론과 밀착해 있는 단어가 “미개”임을 주목한다. 인터넷 게시글(트위터·일간베스트 저장소)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헬조선’은 ‘미개’나 ‘탈출’이란 단어와 함께 사용되는 빈도가 높았다는 통계(p.18)가 있는데, 그는 더럽고 추한 것을 가리키는 말이 모두 “미개”로 수렵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헬조선 담론에 자주 등장하는 ‘문명’과 ‘미개’라는 이분법이 결국 전형적인 식민주의 사고방식임을 지적하며, 혐오는 다른 어떤 정서보다도 식민주의적인 감정이라는 것이다. 오염을 거부하는, 순수함과 완전함에 대한 환상은 타인뿐 아니라 자기에 대한 혐오를 일으킨다. 식민주의적 인식은 식민주의적 감정을 낳고 그 감정은 다시 주체와 대상 간의 거리를 더욱 벌려놓는다. 대상에 개입할 수 없으니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하지만 그 대상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날 수도 없다. 남는 것은 자기모멸뿐이다. _pp.24~25, 〈#혐오는_원인이_아니라_증상이다〉 중에서 그는 헬조선 담론의 원인을 사회에 만연한 ‘과잉능력주의’라고 본다. 과잉능력주의는 평등을 어떻게 달성할지보다 불평등을 어떻게 정당화할지에 몰두해온 사회의 산물이며, “사회 곳곳에 넘실대는 혐오는 바로 우열의 논리, 과잉능력주의라는 토양에서 배양되어 확산되어온 감정(p.31)”이라고 말한다. 과잉능력주의라는 색안경으로 세상을 바라보면 모든 것이 열등하고 피해야 할 것들로 보인다. 이것이 곧 혐오라는 감정으로 이어지고, 이는 ‘분노’와는 다른 증상이다. 분노는 “주체로 하여금 분노를 일으키게 하는 대상으로 다가가게 만드는 감정”인 반면, 혐오는 “무조건 주체를 대상과 가능한 멀리 떨어뜨리려는 감정”이다. 결국 사회 모순에 대한 반발심에서 비롯한 헬조선론이 분노가 아닌 혐오라는 정서로 나타나는 현상이 문제라는 것이다. 그는 이제 우리 사회가 현실을 혐오하고 무조건 피할 것이 아니라, 이에 맞서야 할 때임을 강조한다. 순수한 시민에 의한 정치혐오 ‘일베’에 관한 석사논문으로 주목을 받았던 사회학자 김학준은 〈#순수함에의_의지와_정치혐오〉를 통해 진보와 보수를 가리지 않고 나타나는 ‘정치혐오’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가 21세기적 정치혐오의 원전으로 소환하는 사건은 바로 2008년 촛불집회다. 그는 그 당시 ‘다음 아고라’에 공유된 루머 중 ‘여대생 사망설’과 ‘소화기남’ 사건에 주목한다. 우선 여대생 사망설의 경우, ‘순수한 촛불시민’을 상징하는 ‘여대생’과 이를 군홧발로 짓밟았다는 ‘폭력경찰’의 이분법적 의미체계는 결국 국가의 제도에 대한 시민들의 불신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제도에 대한 불신은 민주주의 자체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지고, 저자는 이것이 ‘순수’를 갈망하는 참여 민주주의와 광장에 대한 유토피아적 환상을 부추기며 이후 한국에서의 정치적 참여에 심각한 제약을 불러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고 보았다. 소화기남 사건의 경우, 시민들은 촛불집회에서 경찰을 향해 “빨간 소화기”를 휘두르는 남자를 프락치로 몰며 그가 촛불시민이 아님을 선언했다. 그의 폭력성은 촛불집회의 대의를 해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렇게 형성된 ‘순수한 시민’이라는 자기정체성이 외부 세력이라는 유령을 빙의시킨 장본인인 동시에 이해관계를 둘러싼 협상이라는 정치 행위 자체를 불가능하게 했고, 시민들로 하여금 상황에서 비롯된 수많은 우발적인 행위들에 ‘의도’가 있다는 의심을 불러일으켜 결국 정치 자체에 ‘역겨움’을 느끼고 혐오하게 만들었다고 보았다. 여대생 사망설의 경우와 같이, 소화기남 사건 역시 촛불집회라는 거대한 의례에 참여한 시민들의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