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출발 준비 서론 1. 경제학과 한국사? 2. 한국사를 보는 눈 3. 한국사의 흐름: 시대 구분 1부. 고대: 선사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 4. 선사시대: 농업의 시작 5. 고대국가의 성립과 경제적 변화 6. 우리나라 고대는 노예제사회였을까? 7. 고대의 대외 무역과 거래비용 2부. 중세 Ⅰ: 고려시대부터 조선 전기까지 8. 우리나라 중세는 서양 중세와 무엇이 달랐을까? 9. 고려시대: 경제통합 10. 중세 농업의 발전 방향 11. 중세의 토지는 누구의 소유였을까? 12. 조선왕조의 건국: 단절과 연속 13. 조선시대의 인구: 장기 변동 14. 조선 전기의 국가재정: 전세, 공납, 군역, 상납의 네트워크 15. 양반: 조선왕조의 특권 신분 16. 조선시대 노비의 수요와 공급 3부. 중세 Ⅱ: 조선 후기부터 개항 전까지 17. 소농 경영의 성장과 지주제의 발달 18. 대동법과 공납제도의 개혁: 변화 속의 지속성 19. 조선시대는 상품화폐 시대 20. 조선 후기 시장경제의 발전과 한계 21. 조선왕조는 세계 최대의 곡물 저장 국가 22. 조선왕조는 어떻게 500년이나 지속될 수 있었을까? 23. 조선 후기와 ‘대분기’의 세계사 24. 19세기의 위기 4부. 근현대: 개항부터 1970년대까지 25. 개항: 근대의 시작과 새로운 국제 질서 26. 자유무역의 시작과 산업구조의 변화 27. 새로운 영리 기회의 출현과 회사 설립 28. 재정 능력 함정과 갑오개혁 29. 대한제국은 근대국가였을까? 30. 황실재정의 팽창 31. 일본은 어떻게 대한제국의 재정을 장악했을까? 32. 토지조사사업은 과연 토지를 수탈했을까? 33. 식민지 농업 정책과 지주제의 발달 34. 식민지 공업화와 경제성장 35.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체제 선택 36. 수출 지향 공업화와 급속한 경제성장 에필로그: 귀환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