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더스트럭

브라이언 셀즈닉 · 소설
641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4.0(21명)
0.5
4
5
평가하기
4.0
평균 별점
(21명)
코멘트
더보기

2008년 칼데콧 상 수상작이자 마틴 스콜세지 감독의 걸작 영화 [휴고]의 원작인 <위고 카브레>의 작가 브라이언 셀즈닉 소설. 남몰래 다른 삶을 꿈꾸는 벤과 로즈. 두 아이는 혼자서 자신이 꿈꿔 왔던 것을 찾으러 뉴욕으로 떠난다. 글로 펼쳐지는 벤의 이야기와 그림으로 펼쳐지는 로즈의 이야기는 50년이라는 세월의 거리를 두고 앞뒤를 오가면서 전개된다.

별점 그래프
평균 4.0(21명)
0.5
4
5

저자/역자

코멘트

5

목차

1부 2부 3부 감사의 말 참고자료

출판사 제공 책 소개

2008년 칼데콧 상 수상작이자 마틴 스콜세지 감독의 걸작 영화 <휴고>의 원작인 『위고 카브레』의 작가 브라이언 셀즈닉의 최신작! (* 영화 <휴고>는 아카데미 5개 부문과 2012년 골든글로브 감독상을 수상했습니다.) 이제껏 없었던 새로운 형식의 그림소설 『위고 카브레』에서 한발 더 나아간 브라이언 셀즈닉이 또다시 독자 여러분을 데리고 미지의 곳으로 멋진 여행을 떠납니다. 벤과 로즈는 남몰래 다른 삶을 꿈꿉니다. 벤은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아빠를 그리워하고, 로즈는 스크랩북 속 아름다운 여배우를 동경합니다. 돌아가신 엄마의 방에서 수수께끼 같은 단서를 발견한 벤과 마음을 끄는 신문기사를 본 로즈, 두 아이는 혼자서 자신이 꿈꿔 왔던 것을 찾으러 뉴욕으로 떠납니다. 글로 펼쳐지는 벤의 이야기와 그림으로 펼쳐지는 로즈의 이야기는 50년이라는 세월의 거리를 두고 앞뒤를 오가면서 전개됩니다. 두 사람의 이야기는 어떻게 서로 얽히게 될까요? 책을 읽는 여러분은 경이로움과 흥미진진함에 숨이 막힐지도 모릅니다. 아름다운 그림과 함께 이어지는 풍성하고 복잡하고 충격적인 이야기, 『원더스트럭』은 재능이 넘치는 예술가의 상상력이 낳은 깜짝 놀랄 만한 결과물입니다. 제목 ‘원더스트럭WONDERSTRUCK’에 대해 이 책의 원제이자 책 속의 책의 제목이기도 한 ‘원더스트럭(wonderstruck)’은 ‘놀라움에 압도당하다’라는 뜻을 가진 영어 단어입니다. 본래 뜻은 그렇지만, ‘경이로움(wonder)’에 ‘타격당했다(struck)’는 중의적인 의미를 가졌다고 보아도 좋습니다. 이 제목은 책 내용에 자주 등장하는 ‘벼락에 맞는다’는 영어 표현 ‘struck by lightning’과도 연결됩니다. 작가 브라이언 셀즈닉이 작품 속에서 다룬 소재에 대해 1. ‘호기심의 방’과 ‘미국 자연사박물관’ ‘호기심의 방’은 유럽에서 16세기 중반에서 17세기에 유행한 것으로, 진귀하고 드문 수집품을 모아 둔 일종의 수집실입니다. 독일어로 쿤스트카머(kunstkammer), 또는 분더카머(wunderkammer)라고 하며, 영어로는 ‘cabinet of curiosity’ 혹은 ‘cabinet of wonder’로 불립니다. ‘예술의 방, 경이의 방, 호기심의 방’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날의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기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작가는 이 ‘호기심의 방’과 책 속의 책 『원더스트럭』에 대한 이야기를 미국 자연사박물관을 배경으로 펼쳐놓습니다. 책 속 그림에 묘사된 미국 자연사박물관은 1927년 무렵의 자료를 바탕으로 실제와 가깝게 그린 것으로, 독자들은 이 책을 읽으며 마치 뉴욕의 박물관을 탐험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것입니다. 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작가가 박물관을 배경으로 한 뛰어난 어린이책인 『클로디아의 비밀(From the Mixed-up Files of Mrs. Basil E. Frankweiler)』에 바치는 오마주입니다. 책의 곳곳에는 『클로디아의 비밀』을 떠올리게 하는 장치가 숨겨져 있습니다. 벤의 친구인 ‘제이미’의 이름, 로즈의 성인 ‘킨케이드’도 이 책에서 빌려 왔습니다. 2. 청각장애와 농문화 작가가 직접 쓴 ‘감사의 말’에 의하면, 작가는 청각장애를 의학적이나 신체적인 측면에서 다루지 않고 문화적인 면에 집중해서 다뤄 보고 싶었다고 합니다. 청각장애인은 스스로를 청각에 ‘장애’가 있는 사람으로 인식하는 것을 바라지 않아 ‘농인’이나 ‘농아인’으로 불리기를 선호합니다. 반대로 청각에 문제가 없는 사람을 정상인, 혹은 비장애인이라고 칭하는 대신 ‘청인’ 혹은 ‘건청인’으로 부릅니다. 이들의 시각으로 보면 농인은 그저 귀가 안 들리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아니라, 말하기가 아닌 다른 수단(수화, 필담, 입술 읽기 등)으로 소통하는 사람들일 뿐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말하기를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는 농인이나 그 가족, 혹은 친구들은 청인과는 다른 특별한 문화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를 ‘농문화’라 합니다. 이 이야기의 두 주인공은 모두 농인으로, 로즈는 선천적으로 귀가 들리지 않는 상태로 태어나 어린 시절에 ‘입술 읽기’와 ‘말하기’를 배우도록 강요당했고, 이후에 수화로 소통하는 법을 배웁니다. 벤은 후천적으로 청각을 잃었지만 아직 수화를 배우지 못해 필담과 말하기로 소통합니다. 3. 무성영화에서 유성영화로 로즈의 시대는 무성영화가 막을 내리고 유성영화가 막 도입되기 시작하는 때인데, 이 부분이 이야기 속에서도 묘사됩니다. 로즈의 엄마는 무성영화의 여배우이고, 로즈는 농인입니다. 그때까지는 로즈와 같은 농인이 청인들과 똑같이 영화를 즐길 수 있었지만, 유성영화의 시대가 오면서는 그렇게 할 수 없게 되므로, 문화적으로 소외됩니다. 작가는 전작인 『위고 카브레』에서도 조르주 멜리에스라는 영화의 거장을 소재로 삼아 영화에 대한 애정을 드러낸 바 있습니다.

비슷한 작품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